부평미군기지 유적 보존 여부 결정 지연에 토양정화 작업 차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민위원회, 내부 의견 엇갈려…"현장 조사 뒤 결론 예정"
인천 부평미군기지 '캠프마켓'에 있는 옛 주한미군 시설물 등에 대한 보존 여부 결정이 늦어지면서 오염 토양 정화작업이 중단될 처지에 놓였다.
2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한국환경공단은 인천시 등에 캠프마켓 B구역의 오염 토양 정화작업을 중지할 수도 있다는 내용의 공문을 여러 차례 보냈다.
국방부의 의뢰를 받아 캠프마켓 내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작업을 하는 한국환경공단은 B구역 내 시설물의 보존 여부 결정이 지연되자 더는 정화작업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해 10월 캠프마켓 전체 44만여㎡ 가운데 최근 개방된 야구장 부지 일대를 포함하는 10만여㎡ 면적의 B구역에 대한 조사를 벌여 3개 시설물에 대한 보존을 권고했다.
해당 시설물은 모두 일제강점기 캠프마켓 부지에 있었던 일본군 무기 제조공장인 '조병창'과 관련된 유적이다.
과거 조병창의 병원으로 사용됐던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도 포함돼 있다.
문화재청은 또한 주한미군이 사용했던 조사구역 내 야구장·수영장·창고 등 시설물도 추후 공원 활용계획에 반영해 보존 필요성을 검토해볼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인천시는 B구역 내 시설물 중 철거하지 않고 기존 상태로 보존할 대상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도시계획·건축·환경·역사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에서 시설물 보존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위원회 내부에서는 시설 철거 후 제대로 오염 토양을 정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시설물을 보존해 후대에 남겨야 한다는 의견 등이 나오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위원회 내 역사문화·환경·도시재생건축 등 3개 분과에서 돌아가면서 캠프마켓에 대한 현장 조사를 하고 있다"며 "다음 달 25일쯤 시민참여위원회를 열어서 관련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환경공단은 시설물 보존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더는 B구역에 대한 정화작업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해 10월 B구역에 대한 정화작업을 시작했으며 이달 기준 공정률은 10%다.
B구역은 납 등 중금속과 유류에 오염돼 있으며 정화해야 할 토양은 총 1만8천㎥ 규모로 추산됐다.
당초 B구역의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작업을 올해 말까지 끝낼 계획이었으나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공단은 캠프마켓 내 A구역으로 불리는 옛 군수품재활용센터(DRMO) 부지 10만9천957㎡는 문화재청의 권고에 따라 일제강점기 조병창의 주물공장으로 쓰였던 건물 등 6개 시설물을 보존한 채 정화작업을 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A구역의 경우 건물 하부 토양이 오염돼 있지 않아 시설물을 보존한 채 정화작업이 가능했다"며 "B구역은 오염이 광범위한데다 건물 하부도 오염돼 있어 존치 상태로 정화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2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한국환경공단은 인천시 등에 캠프마켓 B구역의 오염 토양 정화작업을 중지할 수도 있다는 내용의 공문을 여러 차례 보냈다.
국방부의 의뢰를 받아 캠프마켓 내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작업을 하는 한국환경공단은 B구역 내 시설물의 보존 여부 결정이 지연되자 더는 정화작업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해 10월 캠프마켓 전체 44만여㎡ 가운데 최근 개방된 야구장 부지 일대를 포함하는 10만여㎡ 면적의 B구역에 대한 조사를 벌여 3개 시설물에 대한 보존을 권고했다.
해당 시설물은 모두 일제강점기 캠프마켓 부지에 있었던 일본군 무기 제조공장인 '조병창'과 관련된 유적이다.
과거 조병창의 병원으로 사용됐던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도 포함돼 있다.
문화재청은 또한 주한미군이 사용했던 조사구역 내 야구장·수영장·창고 등 시설물도 추후 공원 활용계획에 반영해 보존 필요성을 검토해볼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인천시는 B구역 내 시설물 중 철거하지 않고 기존 상태로 보존할 대상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도시계획·건축·환경·역사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에서 시설물 보존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위원회 내부에서는 시설 철거 후 제대로 오염 토양을 정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시설물을 보존해 후대에 남겨야 한다는 의견 등이 나오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위원회 내 역사문화·환경·도시재생건축 등 3개 분과에서 돌아가면서 캠프마켓에 대한 현장 조사를 하고 있다"며 "다음 달 25일쯤 시민참여위원회를 열어서 관련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환경공단은 시설물 보존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더는 B구역에 대한 정화작업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해 10월 B구역에 대한 정화작업을 시작했으며 이달 기준 공정률은 10%다.
B구역은 납 등 중금속과 유류에 오염돼 있으며 정화해야 할 토양은 총 1만8천㎥ 규모로 추산됐다.
당초 B구역의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작업을 올해 말까지 끝낼 계획이었으나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공단은 캠프마켓 내 A구역으로 불리는 옛 군수품재활용센터(DRMO) 부지 10만9천957㎡는 문화재청의 권고에 따라 일제강점기 조병창의 주물공장으로 쓰였던 건물 등 6개 시설물을 보존한 채 정화작업을 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A구역의 경우 건물 하부 토양이 오염돼 있지 않아 시설물을 보존한 채 정화작업이 가능했다"며 "B구역은 오염이 광범위한데다 건물 하부도 오염돼 있어 존치 상태로 정화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