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경남 창원·통영시에 들어설 수소교통복합기지 조감도.   한국가스공사 제공
내년 경남 창원·통영시에 들어설 수소교통복합기지 조감도. 한국가스공사 제공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과 해당 기업은 세계적인 ‘탄소 제로화’ 열풍이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천연가스 공급·유통이 주력 사업인 한국가스공사도 마찬가지다. 가스공사는 일찌감치 이런 흐름을 감지하고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작업을 벌여왔다. 2019년 4월 발표한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이 대표적이다. 로드맵에는 대표적인 저탄소 연료로 꼽히는 수소 사업 기반으로 회사의 DNA를 바꾸겠다는 전략이 담겼다.

노력은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수소 생산 분야에선 작년 9월 거점형 수소 생산기지 건설에 착공했다. 창원시와 광주광역시에 하나씩 건설된다. 계획대로 내년 하반기 완공되면 각 시설에서 하루 4t의 수소가 생산될 예정이다. 승용차 1만 대 분량의 연료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가스공사, 수소기반으로 DNA 교체…친환경 에너지기업 변신
가스공사는 거점형 수소 생산기지 구축을 전국 각지로 확대해 정부 목표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수소를 공급할 계획이다.

가스공사는 수소 충전·유통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3월 13개 수소 관련사가 참여하는 수소충전소 설치·운영 특수목적법인인 ‘하이넷(Hynet·수소에너지네트워크)’을 설립했다. 하이넷을 통해 내년까지 수소충전소 100개를 구축할 계획이다. 작년 1월엔 경남 김해시에 ‘제조식 수소충전소’를 짓는 작업에 착수했다. 충전소 자체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다. 올해 8월 완공 예정이다.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세 곳에는 액화천연가스(LNG)와 수소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복합충전소를 구축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수소교통복합기지’ 시범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교통 수요가 많은 지역에 대용량 수소 충전시설과 수소 생산시설, 편의시설 등을 함께 설치하는 사업이다. 가스공사는 시범사업지 다섯 곳 가운데 경남 창원·통영시 두 곳에 참여한다. 내년 완공이 목표다. 가스공사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바이오가스 수소화시설 시범사업’과 연계한 수소 충전소 구축도 준비 중이다. 바이오가스 수소화시설 시범사업은 기존 폐기물 처리시설을 에너지 생산시설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가스공사는 작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수소 유통 전담기관’으로 선정됐다. 전국 4908㎞의 천연가스 배관망과 411개의 공급관리소 등 수소 공급·유통에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와 운영 노하우를 갖춘 점을 인정받았다. 가스공사는 올해부터 전국 각지에 ‘수소유통센터’를 신설해 수급 관리 등 유통 전반에 관여할 예정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도시가스사만 공급 가능했던 수소제조용 천연가스를 가스공사도 수소제조시설(수송용)에 직공급하는 것이 허용될 전망”이라며 “회사의 판매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소산업은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아예 없는 ‘그린수소’를 확보하는 게 숙제로 꼽힌다. 현재 주요 생산 방식인 ‘천연가스 분해’는 화석연료보다는 적은 양이지만 탄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은 탄소 제로가 가능한 수전해 방식 생산기술을 개발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가스공사는 해외 수소 기업과의 협력, 인수합병(M&A) 등을 적극 추진해 그린수소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 1월 회사 수소사업본부 내 ‘M&A부’를 신설하기도 했다. 호주 등 그린수소 개발에 앞서 있는 나라를 대상으로 그린수소 도입도 추진한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수소의 생산과 공급, 유통 등 전 과정을 주도하는 수소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며 “수소산업이 대한민국 핵심 산업으로 성장하는 데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