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수족관 돌고래 27마리 생존…환경단체 "방류" vs 업계 "시설 관리"
수족관 돌고래 사육 금지 본격화…남은 돌고래 거취 놓고 공방
해양수산부의 수족관 관리 종합계획 발표에 따라 수족관 돌고래 사육 금지가 본격화하지만, 남은 돌고래의 거취가 정해지지 않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해수부는 동물 학대 논란을 낳은 해양동물 체험 행사를 금지하고 새로 개장하는 수족관에서 고래류 사육·전시를 막는 등 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동물보호 관련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1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이번 방침이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라면서도 "정부 발표에 의하면 현재 수조에 남아있는 돌고래 27마리에 대해서 계획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시설 사육이 부적합한 돌고래들을 좁은 수조에 가둬놓는 것 자체가 동물 학대"라고 비판하면서 시설에 생존해있는 돌고래를 야생 방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수족관 돌고래 사육 금지 본격화…남은 돌고래 거취 놓고 공방
그러나 수족관 시설 측은 "수족관에 살도록 적응한 돌고래를 방류하는 게 돌고래에게 무조건 좋다고 볼 수 없다"면서 시설에서 관리하면서 보호하는 게 맞는다는 입장이다.

현재 국내 시설에 있는 돌고래는 거제 씨월드 10마리, 울산 고래생태체험관·제주 퍼시픽랜드·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 각 4마리, 제주 마린파크·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 각 2마리, 서울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1마리 등 27마리다.

거제 씨월드는 13일 "자연 방류한 뒤 실종돼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하는 돌고래도 있다"면서 "수족관에서 돌고래 복지를 위해 노력한다면 시설에서 보호하는 방법도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지난해 8월 민간 수족관 업체와 시민단체 등과 함께 '수족관 돌고래 복지향상 협의체'를 구성해 수족관 운영 방식과 돌고래 복지에 대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수족관 돌고래 사육 금지 본격화…남은 돌고래 거취 놓고 공방
전문가는 돌고래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고 현실적인 관리 방식을 찾아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제주대학교 돌고래 연구팀 김병엽 교수는 "의견이 모인다면 원서식지로 보내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라면서도 "바다로 돌아간 돌고래가 다시 포획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바다쉼터에서 관리하는 방안도 있지만, 해안 환경상 쉼터를 조성하기 적절한 제주나 남해 부근도 태풍 때문에 위험성이 있다"고 봤다.

그는 "자연 방류가 어렵다면 수족관에서 관리하되 돌고래를 구경거리로 삼는 현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생태 친화적인 교육 현장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