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파업설 속 외교단에 '8·9일 정국 불안 최고조 주의' 메시지 전파설도
미야와디 경찰 '고무탄' 발포 신호탄?…군부 대응에 주목
미얀마 군부가 민의에 의해 수립된 미얀마 문민정부 2기로부터 정권을 찬탈한 지 8일로 일주일이 됐다.

주말 이틀 동안 쿠데타 반대 민심이 폭발하면서 이번 주가 시위 확산으로 이어질지, 군부의 강경 대응이 시작될지가 결정될 분수령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얀마 군부는 1일 새벽 전격적으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과 윈 민 대통령 등 정부 주요 인사를 구금했다.

작년 11월 총선에서 유권자 1천만 명 이상이 선거명부와 불일치하는 심각한 부정이 있음에도 정부가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쿠데타를 일으켰다.

군부는 이어 1년간의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문민정부 장·차관 24명을 교체하고, 이전 군정에서 일하던 11명을 새 각료로 임명하면서 문민정부 지우기에 속도를 냈다.

3일에는 수치 고문을 불법 수입된 워키토키를 소지하고, 이를 허가 없이 사용한 혐의(수출입법 위반)로 기소했다.

유죄판결 시 최장 3년 형에 처할 수 있어 비상사태 이후 총선에서 수치 고문의 정치권 복귀를 막으려는 의도로 해석됐다.

미얀마 국민은 2일부터 비폭력 시민불복종 운동을 펼쳤다.

집안의 냄비나 주전자 등을 두드리며 소음을 내거나, 차량 경적을 울리는 방식을 통해서였다.

네티즌들은 SNS를 통해 전 세계에 미얀마 상황을 알리고 군정에 대한 압박을 호소했다.

미국이 제재를 검토하고 나서는 등 국제사회도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미얀마 민심은 주말 폭발했다.

6일 최대 도시 양곤에서는 1만여명이 거리로 나왔다.

3일 페이스북, 5일 트위터 및 인스타그램 차단에 이어 6일 오전 군정은 인터넷 접속까지 막았지만, 시위대 규모는 쿠데타 이후 최대였다.

7일에는 그 수가 양곤에서만 수 만 명으로 급증했다.

이른바 '샤프론 혁명'으로 불리는 2007년 군정 반대 시위 이후 최대 규모로 평가됐다.

샤프론 혁명은 군정의 급격한 유가 인상에 항의해 불교 승려들이 주축이 돼 일어난 사건으로, 당시 수백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위는 양곤 외에도 제2 도시 만달레이, 수도 네피도 등 미얀마 전역 10여 개 도시로 퍼졌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시위는 금주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이날부터 총파업이 진행될 것이라는 얘기도 현지 SNS에서 퍼지고 있다.

한 외교 공관에서는 이날과 9일 정국 불안이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의가 요구된다는 메시지가 내부에 전파됐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군부는 시위 확산에 아직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지난 3일 "폭동과 불안을 조장하기 위해 소셜미디어에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매체나 개인에 대해 처벌받을 수 있다"며 경고한 적은 있다.

그러나 주말 동안 민심의 흐름이 심상치 않음을 확인한 군부가 어떤 식으로든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전날 남동부 국경도시인 미야와디에서 경찰이 시위대 해산 과정에서 총기를 발포한 것이 신호탄이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로이터 통신은 경찰이 고무탄을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인권단체 '포티파이 라이츠'도 최근 만달레이 경찰의 내부 문서라며 경찰이 시위 통제를 위해 발포 지침을 내렸다고 주장한 바 있다.

역사학자인 탄트 민-우는 전날 트위터에 쿠데타 항의 시위가 힘을 얻고 있다며 "역사를 고려할 때 (군부) 반응이 올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오늘날의 미얀마는 1988년과 2007년과는 완전히 다르다.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고 적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미얀마에서는 1988년과 2007년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져 각각 3천여 명과 수백 명이 군부의 무자비한 탄압에 목숨을 잃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