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수소 분야 글로벌 석학 정훈택 박사 영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화솔루션은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분야의 석학인 정훈택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LN) 수석연구원(사진)을 수소연구센터장으로 영입했다고 1일 발표했다.
정 신임 센터장은 KAIST에서 재료과학 석·박사 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공업대의 박사 후 연구원(포스닥) 과정을 거쳐 미국 LANL에서 14년 넘게 수전해·연료전지의 핵심 소재와 시스템 전반을 연구해 왔다. LANL은 국가 안보,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슈퍼컴퓨터 등을 연구하는 세계 최대 연구소 중 한 곳이다.
정 센터장은 한화솔루션이 2023년 상업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음이온 교환막(AEM) 방식의 차세대 수전해 기술 개발을 총괄한다. 2019년부터 연세대와 KAIST, 미국 렌슬리어공과대(RPI) 등과 함께 추진해온 연구·개발(R&D)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수전해 방식은 물에 전기를 흘려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전기화학적 기술을 뜻한다. 현재 ‘알카라인 수전해 기술(AEC)’이 상업화됐다. 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데다 전력 변화에 대응이 늦어 재생에너지로 생산하는 전력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정 센터장은 미국 에너지부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쌓아온 기술로 기존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설비를 개발할 예정이다.
한화솔루션에 따르면 정 센터장은 물의 분해과정에서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데 필요한 촉매와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음이온 교환막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연구진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이를 통해 오는 2023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이 담당한 수전해 기술이 경제성을 갖추면 수소 생산·저장, 운송, 충전 등 전 가치사슬(밸류체인)에서 세계 선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큐셀 부문은 태양광과 풍력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한다. 첨단소재 부문은 최근 인수한 미국의 고압탱크업체 시마론 등과 함께 수소의 저장·운송을 맡는다.
정 센터장은 “그린수소에 대한 각국의 기술 경쟁이 본격화하는 시점에 수전해 기술 연구 경험과 관련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국가 수소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정 신임 센터장은 KAIST에서 재료과학 석·박사 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공업대의 박사 후 연구원(포스닥) 과정을 거쳐 미국 LANL에서 14년 넘게 수전해·연료전지의 핵심 소재와 시스템 전반을 연구해 왔다. LANL은 국가 안보,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슈퍼컴퓨터 등을 연구하는 세계 최대 연구소 중 한 곳이다.
정 센터장은 한화솔루션이 2023년 상업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음이온 교환막(AEM) 방식의 차세대 수전해 기술 개발을 총괄한다. 2019년부터 연세대와 KAIST, 미국 렌슬리어공과대(RPI) 등과 함께 추진해온 연구·개발(R&D)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수전해 방식은 물에 전기를 흘려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전기화학적 기술을 뜻한다. 현재 ‘알카라인 수전해 기술(AEC)’이 상업화됐다. 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데다 전력 변화에 대응이 늦어 재생에너지로 생산하는 전력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정 센터장은 미국 에너지부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쌓아온 기술로 기존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설비를 개발할 예정이다.
한화솔루션에 따르면 정 센터장은 물의 분해과정에서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데 필요한 촉매와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음이온 교환막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연구진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이를 통해 오는 2023년까지 그린수소 생산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이 담당한 수전해 기술이 경제성을 갖추면 수소 생산·저장, 운송, 충전 등 전 가치사슬(밸류체인)에서 세계 선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큐셀 부문은 태양광과 풍력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한다. 첨단소재 부문은 최근 인수한 미국의 고압탱크업체 시마론 등과 함께 수소의 저장·운송을 맡는다.
정 센터장은 “그린수소에 대한 각국의 기술 경쟁이 본격화하는 시점에 수전해 기술 연구 경험과 관련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국가 수소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