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실업급여 12조원 육박…코로나19 여파에 역대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장기화로 실업자가 급증하면서 작년 실업급여 지급액이 12조원에 육박했다.
고용노동부가 11일 발표한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구직급여 지급액은 9천566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1∼12월 구직급여 지급액을 합한 금액은 11조8천507억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기존 최대 기록인 2019년 지급액(8조913억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구직급여는 실업자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하는 수당으로, 실업급여의 대부분을 차지해 통상 실업급여로 불린다.
지난해 구직급여 지급액 급증은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의 여파로 풀이된다. 2019년 10월부터 구직급여 지급 기간을 확대하는 등 생계 보장 기능을 강화한 것도 지급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작년 12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0만8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만2천명(12.5%)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7월(11만4천명)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구직급여 수급자는 60만명으로, 18만1천명(43.2%) 급증했다.
지난해 12월 고용보험 가입자는 1천408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3만9천명(1.7%) 증가했다.
고용보험 가입자의 월별 증가 폭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작년 5월(15만5천명) 바닥을 친 뒤 점점 늘어나 9∼11월에는 30만명대를 유지했지만, 12월 들어 다시 20만명대로 떨어졌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세를 이끌어온 서비스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966만6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4만1천명(2.6%) 증가했다. 증가 폭이 11월(41만1천명)에 못 미쳤다.
연말을 맞아 정부와 지자체 일자리 사업이 줄줄이 종료되면서 서비스업 가운데 공공행정 분야의 가입자 증가세가 주춤해진 영향이 컸다.
공공행정 분야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작년 11월만 해도 전년 동월보다 20만5천명 늘었지만, 12월에는 6만2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코로나19 3차 확산의 직격탄을 맞은 숙박·음식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3만4천명 줄어 감소 폭이 커졌다. 여행업을 포함한 사업서비스업의 가입자도 1만4천명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수요가 급증한 인터넷 쇼핑몰을 포함한 무점포 소매업의 가입자는 2만1천명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국내 산업의 중추인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작년 12월 354만6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만1천명(0.6%) 줄었다.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2019년 9월부터 16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 감소 폭은 지난해 7월(6만5천명) 이후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고용보험 가입자 증감을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은 17만1천명 증가하고 50대와 40대도 각각 9만7천명, 2만4천명 늘었다. 이에 비해 30대는 5만6천명 감소했으며 29세 이하는 2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기업의 채용 축소·연기에 따른 청년 취업난이 여전함을 보여준 것이다.
노동부가 매월 발표하는 노동시장 동향은 고용보험 가입자 가운데 상용직과 임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특수고용직 종사자, 프리랜서, 자영업자, 초단시간 근로자 등은 제외된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용노동부가 11일 발표한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구직급여 지급액은 9천566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1∼12월 구직급여 지급액을 합한 금액은 11조8천507억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기존 최대 기록인 2019년 지급액(8조913억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구직급여는 실업자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하는 수당으로, 실업급여의 대부분을 차지해 통상 실업급여로 불린다.
지난해 구직급여 지급액 급증은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의 여파로 풀이된다. 2019년 10월부터 구직급여 지급 기간을 확대하는 등 생계 보장 기능을 강화한 것도 지급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작년 12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0만8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만2천명(12.5%)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7월(11만4천명) 이후 가장 큰 규모다.
구직급여 수급자는 60만명으로, 18만1천명(43.2%) 급증했다.
지난해 12월 고용보험 가입자는 1천408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3만9천명(1.7%) 증가했다.
고용보험 가입자의 월별 증가 폭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작년 5월(15만5천명) 바닥을 친 뒤 점점 늘어나 9∼11월에는 30만명대를 유지했지만, 12월 들어 다시 20만명대로 떨어졌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세를 이끌어온 서비스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966만6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4만1천명(2.6%) 증가했다. 증가 폭이 11월(41만1천명)에 못 미쳤다.
연말을 맞아 정부와 지자체 일자리 사업이 줄줄이 종료되면서 서비스업 가운데 공공행정 분야의 가입자 증가세가 주춤해진 영향이 컸다.
공공행정 분야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작년 11월만 해도 전년 동월보다 20만5천명 늘었지만, 12월에는 6만2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코로나19 3차 확산의 직격탄을 맞은 숙박·음식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3만4천명 줄어 감소 폭이 커졌다. 여행업을 포함한 사업서비스업의 가입자도 1만4천명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수요가 급증한 인터넷 쇼핑몰을 포함한 무점포 소매업의 가입자는 2만1천명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국내 산업의 중추인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작년 12월 354만6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만1천명(0.6%) 줄었다.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2019년 9월부터 16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 감소 폭은 지난해 7월(6만5천명) 이후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고용보험 가입자 증감을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은 17만1천명 증가하고 50대와 40대도 각각 9만7천명, 2만4천명 늘었다. 이에 비해 30대는 5만6천명 감소했으며 29세 이하는 2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기업의 채용 축소·연기에 따른 청년 취업난이 여전함을 보여준 것이다.
노동부가 매월 발표하는 노동시장 동향은 고용보험 가입자 가운데 상용직과 임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특수고용직 종사자, 프리랜서, 자영업자, 초단시간 근로자 등은 제외된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