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자연보호연맹 첫 발견…종 확인 위한 유전자 분석 진행

독도 바다에 해마가 산다…해양과기원, 혹돔굴 주변서 발견
독도 연안에 멸종위기종인 해마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는 독도 연안 해양생태계 조사 과정에서 서도 혹돔굴 주변 수심 20m 대황·감태 군락지에서 해마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기지는 정확한 해마 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유전자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해마는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서 지정한 세계멸종위기종으로 남해안과 서해안에서 종종 발견되지만, 독도에서 해마 서식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적으로 해마를 46종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산호해마, 가시해마, 복해마 등 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연안의 얕은 수초대에 서식하는 해마는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해서 세계 여러 국가가 연안 생태계 보전을 위한 깃대종으로 삼고 있다.

깃대종은 한 지역의 생태, 지리 등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동·식물을 말한다.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는 2005년 일본 시마네현 다케시마 조례 제정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돼 2014년부터 해양과학기술원이 위탁 운영을 맡고 있다.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환경 변화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매월 독도 현장에서 해양환경 특성, 해조류 분포, 지형변동 등 해양환경과 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해양과학기술원 김웅서 원장은 "해마의 독도 서식 확인은 동해 독도의 생태학적 가치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발견"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