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산악열차 건설 예정지는 반달곰 서식지…백지화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경단체 하동 형제봉서 한쌍 촬영…암컷 위치추적기 없어 야생 가능성
하동군 "개발계획 수정해 계속 추진, 반대 단체들과 협의 지속" 경남 환경단체들이 하동군에서 추진하는 지리산 산악열차 예정지인 형제봉 일대가 천연기념물 제329호 반달가슴곰의 서식지로 밝혀졌다며 백지화를 촉구했다.
'반달곰 친구들'과 '형제봉 생태 조사단'은 지난 7월부터 11월 말까지 지리산 형제봉에 설치한 무인 센서 카메라 2대에 반달가슴곰 한 쌍이 촬영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카메라를 설치한 곳과 산악열차 예정 노선까지 최단 거리는 413m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남부보전센터와 함께 회수한 4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촬영된 것이 반달가슴곰 2개체로 확인됐다.
한 마리는 국립공원공단에서 복원사업으로 방사한 KM-43과 RF-5 사이에서 자연 출생한 KM-61로 수컷이다.
다른 한 마리는 위치추적 발신기가 없어 지리산에 원래 살던 야생 반달가슴곰일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영상은 지난 7월 26일 오전 6시 45분에서 7시 9분 사이에 촬영됐다.
남부보전센터는 KM-61이 자연 출생해 태어난 연도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2016년쯤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KM-61의 최근 3개월간의 행동반경과 2019년 겨울잠 위치가 대부분 지리산 형제봉 일대여서 이곳이 KM-61의 주요 서식지임을 알 수 있다고 이들 단체는 설명했다.
이들 단체가 지난 3개월간 KM-61의 행동반경을 지리산 산악열차 예정지와 함께 도면화해 보니 노선과 KM-61의 서식지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공단이 형제봉 일대에서 추적한 반달가슴곰은 2017년 5마리, 2018년 4마리, 2019년 5마리, 2020년 8월 기준 4마리다.
이 수치는 위치 추적된 반달가슴곰 숫자이며 위치추적이 안 되는 반달가슴곰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추정이 나오고 있다.
윤주옥 반달곰 친구들 이사장은 "형제봉 일대는 반달가슴곰이 새끼를 낳아 기르고 먹이를 먹고 잠을 자는 서식지임이 확인됐다"며 "자연 파괴방식이 아닌 지속가능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들 단체는 환경부가 지리산 형제봉 일대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에 대해 정밀조사를 하고, 산림청은 정밀조사 결과가 구체화하기 전까지 형제봉 일대의 국유림 경영계획 중 미시행 사업을 유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하동군은 지리산 산악열차 건설 등을 포함한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를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는 지리산 일원 화개·악양·청암면 일원에 1천650억원(민자 1천500억원, 지방비 150억원)을 들여 리조트형 호텔, 산악열차(12㎞), 케이블카(3.6㎞), 모노레일(2.2㎞) 등을 만드는 사업이다.
윤상기 하동군수가 2018년 지방선거 때 공약으로 제시했다.
정부는 '농어촌 빈집 숙박사업' 및 '도심 내국인 공유숙박사업'과 함께 사회적 타협 메커니즘 '한걸음 모델'사업으로 선정했지만 최근 재검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하동군은 당초 정상부에 건립하기로 한 리조트형 호텔을 하부로 위치를 바꾸는 등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 계획안을 수정해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군은 이 프로젝트 백지화를 요구하는 환경·사회단체 등을 만나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와 100년 먹거리 마련에 필요한 사업임을 강조하며 설득해 나갈 방침이다.
/연합뉴스
하동군 "개발계획 수정해 계속 추진, 반대 단체들과 협의 지속" 경남 환경단체들이 하동군에서 추진하는 지리산 산악열차 예정지인 형제봉 일대가 천연기념물 제329호 반달가슴곰의 서식지로 밝혀졌다며 백지화를 촉구했다.
'반달곰 친구들'과 '형제봉 생태 조사단'은 지난 7월부터 11월 말까지 지리산 형제봉에 설치한 무인 센서 카메라 2대에 반달가슴곰 한 쌍이 촬영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단체는 카메라를 설치한 곳과 산악열차 예정 노선까지 최단 거리는 413m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남부보전센터와 함께 회수한 4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촬영된 것이 반달가슴곰 2개체로 확인됐다.
한 마리는 국립공원공단에서 복원사업으로 방사한 KM-43과 RF-5 사이에서 자연 출생한 KM-61로 수컷이다.
다른 한 마리는 위치추적 발신기가 없어 지리산에 원래 살던 야생 반달가슴곰일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영상은 지난 7월 26일 오전 6시 45분에서 7시 9분 사이에 촬영됐다.
남부보전센터는 KM-61이 자연 출생해 태어난 연도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2016년쯤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KM-61의 최근 3개월간의 행동반경과 2019년 겨울잠 위치가 대부분 지리산 형제봉 일대여서 이곳이 KM-61의 주요 서식지임을 알 수 있다고 이들 단체는 설명했다.
이들 단체가 지난 3개월간 KM-61의 행동반경을 지리산 산악열차 예정지와 함께 도면화해 보니 노선과 KM-61의 서식지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공단이 형제봉 일대에서 추적한 반달가슴곰은 2017년 5마리, 2018년 4마리, 2019년 5마리, 2020년 8월 기준 4마리다.
이 수치는 위치 추적된 반달가슴곰 숫자이며 위치추적이 안 되는 반달가슴곰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추정이 나오고 있다.
윤주옥 반달곰 친구들 이사장은 "형제봉 일대는 반달가슴곰이 새끼를 낳아 기르고 먹이를 먹고 잠을 자는 서식지임이 확인됐다"며 "자연 파괴방식이 아닌 지속가능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들 단체는 환경부가 지리산 형제봉 일대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에 대해 정밀조사를 하고, 산림청은 정밀조사 결과가 구체화하기 전까지 형제봉 일대의 국유림 경영계획 중 미시행 사업을 유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하동군은 지리산 산악열차 건설 등을 포함한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를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는 지리산 일원 화개·악양·청암면 일원에 1천650억원(민자 1천500억원, 지방비 150억원)을 들여 리조트형 호텔, 산악열차(12㎞), 케이블카(3.6㎞), 모노레일(2.2㎞) 등을 만드는 사업이다.
윤상기 하동군수가 2018년 지방선거 때 공약으로 제시했다.
정부는 '농어촌 빈집 숙박사업' 및 '도심 내국인 공유숙박사업'과 함께 사회적 타협 메커니즘 '한걸음 모델'사업으로 선정했지만 최근 재검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하동군은 당초 정상부에 건립하기로 한 리조트형 호텔을 하부로 위치를 바꾸는 등 하동 알프스 프로젝트 계획안을 수정해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군은 이 프로젝트 백지화를 요구하는 환경·사회단체 등을 만나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와 100년 먹거리 마련에 필요한 사업임을 강조하며 설득해 나갈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