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유행 '8.15집회 영향' 서울시 발표 논란…"특정집단과 무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논란 일자 중대본 "당시의 전체적인 유행이 최근 일상공간으로 확대된 것"
정부가 20일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유행'이 진행중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힌 가운데 이번 유행의 직접적 원인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시가 전날 브리핑에서 '8·15 집회'를 거론한 것이 논란의 발단이 됐다.
박유미 서울시 방역통제관은 코로나19 온라인 브리핑에서 "확진자들의 GPS(위성항법장치)를 분석한 결과 핼러윈데이나 지난 주말 (민주노총) 도심 집회와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8.15 집회 당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해서 아마 지역사회에 꽤 많이 잔존감염을 시켜놨다고 판단한다.
이것이 최근 발생하는 소규모 다발성 집단감염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3차 유행의 근원이 3개월 전 8.15 집회에 있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이 같은 서울시의 상황 진단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서울시의 설명이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관련 기사에서 누리꾼들은 '정확한 근거가 무엇이냐', '이런 논리대로라면 중국 우한이 원인이라고 말하는 게 더 명확하다'는 등의 비판이 나왔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종 감염병은 어디서나 시작될 수 있는 만큼 방역 대응을 위한 협력이 중요한데 '누구 때문이다, 무엇이 원인이다' 이런 식으로 나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엄 교수는 그러면서 "지금은 중앙 정부든, 지방자치단체든 방역 현장에서 얼마나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을 할지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논란이 이어지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이날 서울시와는 다소 결이 다른 입장을 내놓으며 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8∼9월 2차 유행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특정한 어떤 집단이나 그룹이 원인은 아니라는 것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8월 유행에서 8·15 집회도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했지만, 당시 집회 참석자와는 무관한 일상생활 곳곳에서의 감염도 존재했다"며 "그런 전체적인 유행이 최근 일상 공간에서 확대되면서 집단감염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현재 하루 3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오는 유행이 특정한 행사나 집단의 기여로 발생했다고 직접적으로 설명을 하기는 어렵다"며 "서울시에서도 그런 차원에서 설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10월 31일 핼러윈데이와 함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지난 14일 동시다발 집회 영향으로 확진자가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서울시는 물론 중앙정부도 아직 관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윤 반장은 민주노총의 주말 집회와 이번 3차 유행의 연관성에 관한 질문에 "집회와 관련한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정보는 받은 바 없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전날 브리핑에서 '8·15 집회'를 거론한 것이 논란의 발단이 됐다.
박유미 서울시 방역통제관은 코로나19 온라인 브리핑에서 "확진자들의 GPS(위성항법장치)를 분석한 결과 핼러윈데이나 지난 주말 (민주노총) 도심 집회와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8.15 집회 당시 (확진자가) 많이 발생해서 아마 지역사회에 꽤 많이 잔존감염을 시켜놨다고 판단한다.
이것이 최근 발생하는 소규모 다발성 집단감염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3차 유행의 근원이 3개월 전 8.15 집회에 있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이 같은 서울시의 상황 진단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서울시의 설명이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관련 기사에서 누리꾼들은 '정확한 근거가 무엇이냐', '이런 논리대로라면 중국 우한이 원인이라고 말하는 게 더 명확하다'는 등의 비판이 나왔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종 감염병은 어디서나 시작될 수 있는 만큼 방역 대응을 위한 협력이 중요한데 '누구 때문이다, 무엇이 원인이다' 이런 식으로 나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엄 교수는 그러면서 "지금은 중앙 정부든, 지방자치단체든 방역 현장에서 얼마나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을 할지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논란이 이어지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이날 서울시와는 다소 결이 다른 입장을 내놓으며 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8∼9월 2차 유행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특정한 어떤 집단이나 그룹이 원인은 아니라는 것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8월 유행에서 8·15 집회도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했지만, 당시 집회 참석자와는 무관한 일상생활 곳곳에서의 감염도 존재했다"며 "그런 전체적인 유행이 최근 일상 공간에서 확대되면서 집단감염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현재 하루 3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오는 유행이 특정한 행사나 집단의 기여로 발생했다고 직접적으로 설명을 하기는 어렵다"며 "서울시에서도 그런 차원에서 설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10월 31일 핼러윈데이와 함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지난 14일 동시다발 집회 영향으로 확진자가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서울시는 물론 중앙정부도 아직 관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윤 반장은 민주노총의 주말 집회와 이번 3차 유행의 연관성에 관한 질문에 "집회와 관련한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정보는 받은 바 없다"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