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세계유산본부 20일 국립제주박물관서…다양한 가치 재조명

조선 시대 제주 고을의 행정 및 군사 시설, 주민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국내 유일한 기록 화첩인 '탐라순력도'의 문화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학술 세미나가 열린다.

조선시대 제주 섬 기록화첩 '탐라순력도' 국보 승격 추진 세미나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국립제주박물관과 공동으로 20일 국립제주박물관에서 탐라순력도(보물 제652-6호)에 대한 연구 성과를 고찰하고 국보 승격 추진을 위한 세미나를 연다고 19일 밝혔다.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는 1702년(숙종 28년)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로 부임한 이형상(李衡祥)이 제주 각 고을을 순력한 내용과 여러 행사 장면 등을 담은 기록 화첩이다.

제주목 소속 화공 김남길에 41폭의 채색 그림으로 그림을 그렸고 유배인 오시복이 설명을 썼다.

당시에는 봄과 가을에 지방관이 관할 지역을 순회하면서 방어실태를 점검하고 생활 풍속을 살피는 순력(巡歷)을 진행했다.

20일 세미나에서는 오상학 제주대 교수가 '탐라순력도의 지도학적 특징과 의의'를 발표하며 김동전 제주대 교수는 '18세기 초 제주 사회와 탐라순력도의 역사적 가치'를 발제한다.

또 강영주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의 '탐라순력도의 화풍적 특징과 회화사적 가치', 신석하 제주국제대 교수의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3성 9진의 시설물 고찰', 이광표 서원대 교수의 '탐라순력도의 문화재적 가치와 활용 방향' 등의 주제 발표가 이어진다.

김기혁 부산대 명예교수, 신병주 건국대 교수, 고연희 성균관대 교수, 김동욱 경기대 명예교수, 장상훈 국립중앙박물관 과장 등은 각 주제 발표에 관해 토론을 벌인다.

이번 세미나는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유튜브(https://www.youtube.com/channel/UCAAFVPlvOy5rc30msx8DLdQ) 및 페이스북(https://m.facebook.com/wnhjeju)을 통해 생중계된다.

조선시대 제주 섬 기록화첩 '탐라순력도' 국보 승격 추진 세미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