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둔 자영업자 17만명↓…'현재 일 유지하겠다' 0.6%P↓
코로나 직격탄 맞은 4050 자영업자…1년새 24만명 줄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의 영향으로 40·50대 자영업자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을 시작할 때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추세가 이어지면서 직원을 둔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7만2천명이 줄었지만, '나홀로' 자영업자는 6만6천명이 늘었다.

통계청은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8월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4050 자영업자 24만명↓…'나홀로' 자영업자↑ 추세 계속
자영업자에 무급가족종사자를 합친 비임금근로자는 올해 8월 기준 663만9천명으로 한해 전보다 16만1천명 감소했다.

이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6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2천명 줄었다.

반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19만3천명으로 6만6천명 늘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줄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늘어나는 것은 2019년 2월부터 시작된 추세"라고 밝혔다.

이어 "자영업자로 진입 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람을 쓰지 않고, 창업 때 자동주문 시스템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반영된 것 같다"며 "코로나19 영향으로 그 증감의 폭은 더 깊어졌다"고 말했다.

연령별로 보면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40·50세대에서 비임금근로자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50대에서 14만명, 40대에서 10만4천명이 각각 줄어들었다.

반면 60세 이상은 8만8천명, 15∼29세는 1만5천명 각각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9만5천명), 건설업(-4만1천명), 숙박·음식점업(-2만8천명) 등에서 비임금근로자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타격이 컸던 업종들이다.

직업별로는 서비스·판매종사자가 1년 전보다 10만1천명이 감소했다.

학원강사 등 관리자·전문가도 3만6천명이 줄었다.

반면 배달, 주방보조 등 단순노무종사자는 4만6천명 증가했다.

비임금근로자의 근로 장소는 사업장이 61.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야외작업현장은 0.8%포인트 줄어든 21.4%로 나타났지만, 운송수단 내 또는 기타는 0.7%포인트 증가한 10.3%로 나타났다.

비임금근로자의 평균 운영(소속) 기간은 1년 전보다 3개월 늘어난 14년8개월로 집계됐다.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46.0시간으로 0.8시간 감소했다.

◇ 불확실성 증가에 '현재 일 계속하겠다' 0.6%P↓
향후 계획을 물었을 때 현재 사업체 또는 일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88.6%로 한해 전보다 0.6%포인트 줄어들었다.

현재 일을 그만두겠다는 응답은 4.7%로 1년 전과 동일했고, 그중 1년 이후 그만둘 계획이 54.7%로 가장 많았다.

자영업자가 사업체 또는 일을 그만두겠다는 이유로는 '전망이 없거나 사업부진'이 52.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정동욱 과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하다 보니까 일을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 같다"고 밝혔다.

1년 이내 사업을 시작한 자영업자의 71.4%가 사업 시작 동기로 '자신만의 사업을 직접 경영하고 싶어서'를 꼽았다.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는 19.6%로 1년 전보다 5.6%포인트 늘었다.

사업준비 기간은 1∼3개월 미만이 52.6%로 가장 많았고, 최초 사업 자금은 5천만원 미만이 77.5%를 차지했다.

사업 자금 조달 방법은 본인 또는 가족이 마련한 돈이 69.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임금근로자였던 비중은 61.8%로 1년 전보다 3.8%포인트 늘었다.

일자리 경험이 없었다는 응답은 20.5%였다.

업종전환 사유로는 '직전 사업이 부진하여'라는 응답이 3.1%포인트 늘어난 32.7%였고, '수익이 더 나은 업종으로 바꾸기 위해서'라는 응답은 35.6%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