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와 접점 없었던 문대통령…이재용과는 활발 교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靑 민정수석 시절 '삼성 봐주기 의혹' 금산법 개정 경위 조사
경제발전 기여 정도 등 고려해 조문 방식 고민할 듯 별세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한국 재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지만 생전에 문재인 대통령과는 이렇다 할 인연이 없었다.
역대 대통령들과 재계 총수들은 짧은 만남으로라도 인연을 맺었지만, 이 회장이 2014년 5월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쓰러진 뒤 여생을 병실에서 보내 2017년 5월 취임한 문 대통령을 만날 기회가 없었던 탓이다.
그나마 가깝게 얽혀있던 시기를 찾는다면 문 대통령이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2005년에 '삼성 봐주기 의혹' 논란이 일었던 금융산업 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 개정 논란과 관련한 경위를 조사했던 때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5년 7월 금산법 개정안이 의결되던 국무회의에서 일부 조항이 삼성전자의 삼성생명 및 삼성카드 계열사 지분 불법 보유에 면죄부를 준다고 지적했고, 이에 민정수석실은 금산법 개정 경위와 입법 취지 등을 조사했다.
문 대통령은 같은 해 10월 브리핑을 통해 절차상 문제는 있지만 삼성 측 로비가 작용했거나 정실이 개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 재계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영권 방어를 비롯한 지배구조 문제에 숨통이 트였다는 해석이 나왔다.
다만 문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부터 각종 경제민주화 공약을 내세워 재벌개혁 의지를 천명했던 만큼 이 회장을 비롯한 삼성가(家)와의 관계는 더 가까워지기는 쉽지 않았다는 시선이 많다.
문 대통령은 대선을 앞둔 2016년 12월 한 언론 인터뷰에서 "10대 재벌의 개혁을 지켜보되 삼성에 대해선 더욱 특별히 보겠다"며 "심하게 얘기하면 삼성이 그만큼 우리 사회를 지배한다고 할 정도로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것"이라고 한 바 있다.
대통령 취임 직후 이 회장의 처남인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을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으로 임명했으나 홍 전 회장이 한 달 만에 사퇴하기도 했다.
이 회장과의 인연은 거의 없었지만,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는 상대적으로 활발히 교류한 편이다.
2018년 7월 인도 방문 당시 현지 최대 핸드폰 공장인 삼성전자의 인도 노이다 신공장에 이 부회장과 함께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동행한 데 이어 반도체 공장 방문 등 총 10차례에 걸쳐 이 부회장을 만났다.
바이오,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중점육성 산업으로 지정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삼성전자가 적극적으로 뛰어든 만큼 이에 힘을 싣고자 하는 행보였다.
지난해 4월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서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언급에 이 부회장은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열정과 끈기로 반드시 1등을 하겠다"고 화답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경제발전 기여 정도 등 고려해 조문 방식 고민할 듯 별세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한국 재계를 대표하는 인물이지만 생전에 문재인 대통령과는 이렇다 할 인연이 없었다.
역대 대통령들과 재계 총수들은 짧은 만남으로라도 인연을 맺었지만, 이 회장이 2014년 5월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쓰러진 뒤 여생을 병실에서 보내 2017년 5월 취임한 문 대통령을 만날 기회가 없었던 탓이다.
그나마 가깝게 얽혀있던 시기를 찾는다면 문 대통령이 청와대 민정수석이던 2005년에 '삼성 봐주기 의혹' 논란이 일었던 금융산업 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금산법) 개정 논란과 관련한 경위를 조사했던 때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5년 7월 금산법 개정안이 의결되던 국무회의에서 일부 조항이 삼성전자의 삼성생명 및 삼성카드 계열사 지분 불법 보유에 면죄부를 준다고 지적했고, 이에 민정수석실은 금산법 개정 경위와 입법 취지 등을 조사했다.
문 대통령은 같은 해 10월 브리핑을 통해 절차상 문제는 있지만 삼성 측 로비가 작용했거나 정실이 개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 재계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영권 방어를 비롯한 지배구조 문제에 숨통이 트였다는 해석이 나왔다.
다만 문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부터 각종 경제민주화 공약을 내세워 재벌개혁 의지를 천명했던 만큼 이 회장을 비롯한 삼성가(家)와의 관계는 더 가까워지기는 쉽지 않았다는 시선이 많다.
문 대통령은 대선을 앞둔 2016년 12월 한 언론 인터뷰에서 "10대 재벌의 개혁을 지켜보되 삼성에 대해선 더욱 특별히 보겠다"며 "심하게 얘기하면 삼성이 그만큼 우리 사회를 지배한다고 할 정도로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것"이라고 한 바 있다.
대통령 취임 직후 이 회장의 처남인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을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으로 임명했으나 홍 전 회장이 한 달 만에 사퇴하기도 했다.
이 회장과의 인연은 거의 없었지만,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는 상대적으로 활발히 교류한 편이다.
2018년 7월 인도 방문 당시 현지 최대 핸드폰 공장인 삼성전자의 인도 노이다 신공장에 이 부회장과 함께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동행한 데 이어 반도체 공장 방문 등 총 10차례에 걸쳐 이 부회장을 만났다.
바이오,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중점육성 산업으로 지정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삼성전자가 적극적으로 뛰어든 만큼 이에 힘을 싣고자 하는 행보였다.
지난해 4월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서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언급에 이 부회장은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열정과 끈기로 반드시 1등을 하겠다"고 화답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