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환매가 중단·연기된 부실 사모펀드 규모가 6조원을 돌파했다. 사고 펀드 종류도 무역금융, 메자닌(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 등에서 원자재와 재간접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익과 리스크(위험)는 비례한다’ 등 몇 가지 기본 원칙만 지켜도 부실 사모펀드를 가려낼 수 있다고 조언한다.

부실펀드 5개월 만에 2조원↑

눈덩이처럼 커진 부실 사모펀드…'수익률 6% 보장' 일단 의심하세요
12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라임 사태 이후 지금까지 부실이 드러난 사모펀드 규모는 모두 6조3000억원에 달한다. 지난 4월 말 4조원 정도였던 것에 비하면 5개월 새 2조3000억원가량 늘었다.

6월에 터진 옵티머스 사태는 부실 사모펀드 ‘끝판왕’이었다. 옵티머스는 처음부터 작정하고 관련 문서를 위조해 당국-판매사-수탁회사-사무관리회사에 걸친 감시망을 무력화했다.

부실 사모펀드 사태가 끊이지 않자 각 은행과 증권사 일선 지점을 중심으로 한 자산관리(WM) 시장은 크게 위축됐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를 상대로 팔린 사모펀드 잔액은 8월 말 기준 19조3413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26.7%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8월부터 1만 개가 넘는 전체 사모펀드를 대상으로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하지만 부실 사모펀드 사태는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진 보험회사 상품과 글로벌 재간접펀드 등으로 계속 확산하는 추세다. 삼성생명이 신탁 형태로 판매한 금 관련 무역금융펀드인 유니버설인컴빌더 파생결합증권(DLS) 환매가 8월 현지 거래처 문제 등으로 연기됐다. 지난달엔 해외 운용사의 채권펀드를 재간접 형태로 담은 브이아이H2O멀티본드 환매가 중단됐다.

특히 해외 대체투자 펀드를 투자자산으로 편입한 재간접펀드가 요주의 대상에 올랐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국내 주요 20개 운용사가 판매한 재간접펀드는 8월 말 기준 219개 해외 사모펀드에 모두 9조2394억원을 넣고 있다. 작년 말에 비해 1조267억원(12.5%) 늘어난 규모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재간접펀드는 주로 유동성이 떨어지는 부동산과 인프라 등 해외 실물자산에 투자하고 있다”며 “현지 실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언제든 문제가 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뉴스·공시정보 조회 꼭 해야

전문가들은 우선 사모펀드가 제시하는 연 3~7% 수준의 ‘미끼’ 수익률을 믿지 말라고 입을 모은다. 라임·옵티머스 등은 리스크가 큰 주식이 아니라 공공기관 매출채권이나 메자닌 등 대체자산에 투자해 연 5% 안팎의 수익을 안정적으로 내준다는 점을 강조했다. 판매사와 운용사 등이 가져가는 보수·수수료를 고려하면 실제론 연 8% 이상 수익을 내야 하는 상품이다.

그런데 이런 대체자산 투자로 연 8% 이상 수익을 안정적으로 내긴 쉽지 않다. 사모운용사들은 이를 위해 총수익스와프(TRS) 레버리지(대출)를 포함한 복잡한 구조화 상품을 설계했다. 일반 투자자가 이런 펀드 상품의 구조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사모펀드가 공모펀드처럼 팔리는지도 눈여겨봐야 한다. 원래 사모펀드는 49인 이하의 ‘큰손’들이 자기 책임 아래 투자하도록 돼 있다. 그런데 부실 사모펀드들은 같은 펀드를 49인 이하씩 여러 개로 쪼개 시리즈펀드 형태로 팔렸다. 이런 펀드들은 나중에 들어온 투자자 돈으로 먼저 들어온 투자자에게 돌려줄 돈을 메우는 폰지 등 다단계 금융사기로 변질될 수 있다.

운용사와 대표 펀드매니저에 대한 공시 정보와 평판 조회도 중요하다. 옵티머스의 경우는 미리 운용사 관련 뉴스만 조회해봤어도 사기에 휘말리는 걸 피할 수 있었다. 옵티머스는 이미 코스닥시장 상장사 해덕파워웨이 등 무자본 인수합병(M&A)과 연루됐다는 보도가 나왔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 공시에서도 운용사 경영 현황과 대표이사 등의 경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