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이종석 "북한 사과, 전화위복 계기 됐으면"
문정인 "남북 정상회동 필요…김정은, 직접 구두로 설명해야"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는 25일 북한이 실종 공무원 사살에 대해 사과한 것과 관련해 "남북 정상이 회동해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상황을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이날 노무현재단이 통일부·서울시와 공동으로 주최한 10·4 남북정상선언 13주년 기념행사에서 토론 진행 중 김정은 위원장이 실종자 사살 사건에 대해 공개로 사과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같이 밝혔다.

그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이번 사건에 대해서는 남북 정상이 회동을 해야 한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구두로 상황을 설명하고, 어떻게 남북관계를 새로 정립해나갈지 (논의하는) 기회의 장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 특보는 "개성 연락사무소를 폭파할 때만 해도 사람이 죽지는 않았다"면서 "그런데 이 경우는 사람을 희생시킨 사례이기 때문에 북측도 책임자 색출과 처벌, 재발 방지 등 9·19 남북군사합의서의 기본 정신을 다지고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통지문이 청와대로 왔다는 건 우선 통신선이 사실상 복원이 됐다는 것"이라면서 "11월 미국 대선 전에 남북 정상이 만나서 협의를 하면서 핵 문제를 풀고 평화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정인 "남북 정상회동 필요…김정은, 직접 구두로 설명해야"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도 "유명을 달리한 이 씨(실종 어업지도원)와 가족들에게는 굉장히 유감스럽고 불행한 일이지만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면서 "이제는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남북관계 부활로도 연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으로는 "북한의 잔혹성과 무자비성이 부각되면서 '저런 사람들과 무슨 대화와 화해·협력을 하겠다는 거냐'는 식으로 여론이 나빠질 것이 걱정스럽다"면서 "대북정책이나 남북관계는 국민 여론이 뒷받침해줘야 가능하다"고 우려했다.

문정인 "남북 정상회동 필요…김정은, 직접 구두로 설명해야"
이종석 전 장관은 "북한의 사과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도 "그래도 남북 간에 엄청나게 큰 모멘텀이 될 것은 아닌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북한의 사과는 '정상 국가로서 할 것을 한다'는 수준이고, 대화의 계기로까지 만들기 위해서는 남측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 전 장관은 "당연히 북한에 끝까지 책임을 추궁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군사적으로 긴장이 고조된 결과로서 나온 것은 아니다"라면서 군사적 충돌 우려와는 분리해서 대처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