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성명에 정보공개 청구…시 "연내 착공해 2022년 완공 목표"
대구시 팔공산 구름다리 건설 두고 시민단체와 공방 재연
대구시가 관광자원 확보 등을 위해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시와 시민단체 간 공방이 재연되고 있다.

23일 대구시에 따르면 최근 공원위원회에서 팔공산 자연공원 계획 변경안을 심의해 구름다리 설치를 결정하고 11월 말에서 12월 초 사이에 착공할 예정이다.

또 대구시건설본부는 이를 위해 최근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공사 건설사업관리용역 업체 선정을 위한 사업수행능력평가서 제출 공고를 했다.

공고는 동구 용수동 일원 팔공산 케이블카 정상에서 동봉까지 폭 2m, 총 길이 320m의 도보현수교(구름다리)를 착수일로부터 25개월 만에 설치하도록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시가 구름다리 설치에 속도를 내면서 이 사업에 반대 목소리를 내온 시민·환경단체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대구경실련은 성명을 내고 "대구시는 전국 각지에서 한계가 드러난 구름다리 집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언택트 여행 시대에 대규모 관광객 집객이 예상되는 무모한 삽질을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예산 낭비성 토목사업을 철회하고 사업을 완전히 폐기할 것을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구름다리 설치 사업 정보공개를 청구하고 자료 검토 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이 단체 김민조 부장은 "코로나19로 비대면 방식이 일상화됐는데 구름다리로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경제적 증대효과가 있을지 의구심이 들고 자연 파괴라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고 말했다.

사업을 줄곧 반대한 이진련 시의원은 다음 달 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전면 재검토를 촉구할 예정이다.

대구시와 시민·환경단체의 공방은 2년 전과 같은 양상이다.

2018년 8월 대구시가 구름다리 사업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고 환경 영향성 검토 용역을 시행하자 대구경실련과 대구환경운동연합이 반대하고 나섰다.

단체들은 "팔공산에 구름다리를 만들면 생태계와 경관 훼손, 예산 낭비가 우려된다"며 "산을 보전하면서 관광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공방으로 사업 추진이 차질을 빚는 사이 대구시가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균특회계)에서 국비 70억원을 충당하려던 계획이 어그러졌다.

지난해 말 국가 재정 분권 관계 법률 개정으로 균특회계가 지방으로 이양돼 올해부터 국비를 지원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시는 지금까지 확보한 국비 25억원에 자체 예산 115억원을 더해 다리를 짓기로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구름다리 건설을 맡을 업체를 정해 연내 착공하고,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