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기업 55%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경영 어려움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기협, 기업 R&D 대응 현황조사…"기술경쟁력 강화 기회…R&D 세제지원 확대해야"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 기업의 절반 이상이 미·중 무역 갈등과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으로 앞으로 2~3년간 경영에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이들은 지난 1간 국내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됐으며 현 상황을 경쟁력 강화 기회로 인식해 정부가 R&D 세제지원을 확대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는 7월 17∼30일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 연구소 보유기업 439개사(대·중견기업 22개, 중소기업 417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기업 R&D 대응 현황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응답 기업의 55.2%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기업경영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영향이 지속하는 기간에 대해서는 '2∼3년'이라는 응답이 41.2%였고, '5년 이상'이라는 응답은 20.3%였다.
규모별로는 대·중견기업 68.2%가, 중소기업 48.7%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3년간 기업 경영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어려움으로 '원자재 수급 애로 및 생산가동 중단 지연(40.5%)', '수출입 지연 및 중단(31.4%)' 등을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6%)'와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21.4%)'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방안으로 대·중견기업은 '국외 대체 공급선 확보(40.9%)','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3%)'를 꼽았고, 중소기업은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5%)'와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22.3%)'로 응답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 상황을 기술력 확보 기회로 활용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1년간 국내 소부장 산업 기술경쟁력 변화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 기업의 69.7%가 기술경쟁력이 강화됐다고 답했다.
기술경쟁력 강화요인으로는 '정부의 소부장 관련 기술 R&D 지원 정책 강화(58.5%)'와 '소부장 관련 기술확보의 중요성 인식조성(41.7%)', '공급기업의 자발적 R&D 강화(32.8%)' 등을 들었다.
기업들은 정부의 소부장 R&D 대책 중 '세제지원(83.2%)', '기술개발과제 지원(78.6%)', '인프라 지원(66.5%)' 순으로 유용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응답 기업 57.2%가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알고 있음에도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활용하지 않는 이유는 '지원 조건 까다로움(36.4%)', '정책에 대한 정보 부족(24.3%)' 등 순이었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GVC 재편은 우리 기업이 경쟁우위 부분에서 격차를 벌리고 경쟁력이 약했던 부분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중소기업 R&D 질적 성장과 기업 R&D 기획 지원으로 시장 기술개발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 기업의 절반 이상이 미·중 무역 갈등과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으로 앞으로 2~3년간 경영에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이들은 지난 1간 국내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됐으며 현 상황을 경쟁력 강화 기회로 인식해 정부가 R&D 세제지원을 확대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는 7월 17∼30일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 연구소 보유기업 439개사(대·중견기업 22개, 중소기업 417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기업 R&D 대응 현황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응답 기업의 55.2%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기업경영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영향이 지속하는 기간에 대해서는 '2∼3년'이라는 응답이 41.2%였고, '5년 이상'이라는 응답은 20.3%였다.
규모별로는 대·중견기업 68.2%가, 중소기업 48.7%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3년간 기업 경영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어려움으로 '원자재 수급 애로 및 생산가동 중단 지연(40.5%)', '수출입 지연 및 중단(31.4%)' 등을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6%)'와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21.4%)'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방안으로 대·중견기업은 '국외 대체 공급선 확보(40.9%)','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3%)'를 꼽았고, 중소기업은 '국내 대체 공급선 확보(27.5%)'와 '자체 R&D를 통한 국산화(22.3%)'로 응답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 상황을 기술력 확보 기회로 활용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 1년간 국내 소부장 산업 기술경쟁력 변화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 기업의 69.7%가 기술경쟁력이 강화됐다고 답했다.
기술경쟁력 강화요인으로는 '정부의 소부장 관련 기술 R&D 지원 정책 강화(58.5%)'와 '소부장 관련 기술확보의 중요성 인식조성(41.7%)', '공급기업의 자발적 R&D 강화(32.8%)' 등을 들었다.
기업들은 정부의 소부장 R&D 대책 중 '세제지원(83.2%)', '기술개발과제 지원(78.6%)', '인프라 지원(66.5%)' 순으로 유용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응답 기업 57.2%가 소부장 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알고 있음에도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활용하지 않는 이유는 '지원 조건 까다로움(36.4%)', '정책에 대한 정보 부족(24.3%)' 등 순이었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GVC 재편은 우리 기업이 경쟁우위 부분에서 격차를 벌리고 경쟁력이 약했던 부분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중소기업 R&D 질적 성장과 기업 R&D 기획 지원으로 시장 기술개발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