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직격탄…근로·사업·재산소득 사상 첫 트리플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사태로 지난 2분기(4∼6월) 근로·사업·재산소득이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동반 감소했다.
자녀 학원비 등 교육, 오락·문화에 들어가는 씀씀이를 크게 줄인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을 자제하며 식료품, 가정용품 지출 등 `집콕` 소비는 크게 늘어났다.
통계청은 20일 이런 내용의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분기 전국 가구(2인 이상)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527만2천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4.8% 늘었다.
소득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로소득(-5.3%), 사업소득(-4.6%), 재산소득(-11.7%)이 동반 감소했다. 이런 `트리플 감소`는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모든 분기를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평균 322만원으로 작년 동기(340만원)보다 5.3% 줄었다.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은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3분기(-0.5%)에 이어 두 번째다. 2분기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0만7천명 감소해 근로자 가구 비중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다.
사업소득은 월평균 94만2천원으로 작년 동기(98만7천원)보다 4.6% 줄었다. 2018년 4분기∼작년 4분기에 5분기 연속 감소하다 올 1분기 증가로 돌아섰지만, 반짝 반등에 그쳤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자영업황 부진 때문이다.
재산소득은 월평균 3만4천원으로 작년 동기(3만8천원)보다 11.7% 줄었다. 배당소득, 개인연금소득 감소 때문이다.
반면 정부가 전국민에게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소득(77만7천원)을 포함한 이전소득(98만5천원)은 작년 동기(54만5천원)보다 무려 80.8% 늘어났다.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폭 증가다. 정부는 2분기에 긴급재난지원금, 저소득층 소비쿠폰, 특별돌봄쿠폰, 일자리쿠폰,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저소득층 구직촉진수당 등의 정책을 폈다.
비경상소득은 9만원으로 44.4% 증가했다. 비경상소득은 경조소득이나 퇴직수당,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정부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모든 소득분위의 근로·사업소득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적이전소득이 시장소득 감소를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2분기 가계 흑자액(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은 138만9천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15.5% 줄었다. 흑자율은 32.3%로 2.5%포인트 올랐다.
이는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430만1천원, +6.5%)이 소비지출(291만2천원, +2.7%)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 소비성향은 67.7%로 작년 동기보다 2.5%포인트 하락했다. 100만원을 벌면 67만원을 쓴다는 의미로, 2003년 이후 최저(조사방식 달랐던 2017, 2018년 제외)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1만2천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2.7% 증가했다.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외출을 자제하고 가정 내 활동이 증가하며 식료품, 가정용품 등 `집콕`에 따른 소비가 늘었다.
우선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45만4천원으로 전년 동분기보다 20.1% 증가했다.
채소, 육류 등 가격 인상과 최근 소비 증가로 인해 곡물(17.1%), 육류(33.6%), 신선수산동물(29.5%), 채소 및 채소가공품(24.7%) 등에서 지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은 18만원으로 21.4% 증가했다. 가구 및 조명(36.2%), 가전·가정용 기기(13.5%) 지출이 늘었다.
보건 지출은 25만3천원으로 7.5% 증가했다. 특히 마스크 구입으로 인해 의료용 소모품 지출이 무려 240.0% 증가했다.
교통 지출은 38만4천원으로 24.6% 늘었는데, 여기에는 개별소비세 인하(3∼6월)로 자동차 구입 지출이 144.0% 늘어난 영향이 컸다.
반면, 자녀 학원비 등 교육, 여가 위주로 허리띠를 졸라맸다. 코로나19로 외출·여행이 제한돼 의류, 오락 지출도 감소했다.
먼저 교육 지출이 16만8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9.4% 줄었다. 자녀 학원비에 쓴 돈은 작년 2분기 20만6천원에서 올 2분기 15만8천원으로 23.4% 줄었으며, 고교 무상교육 확대 시행으로 정규교육 지출도 54.1% 줄었다.
오락·문화 지출은 17만4천원으로 21.0% 감소했다. 국내·외 단체여행, 공연·극장 등 이용 감소로 단체여행비, 문화서비스 지출이 각각 92.7%, 13.7% 줄어든 영향이다.
음식·숙박 지출도 38만8천원으로 5.0% 줄었다. 외식과 주점 등 식사비(-4.8%), 여행 숙박비(-13.4%)에 돈을 아껴 썼다.
의류·신발 지출도 16만9천원으로 5.8% 줄었다.
한편, 올 2분기에 세금이나 국민연금 보험료, 건강보험료, 대출이자, 경조사비, 종교단체 헌금 등 소비 활동과 무관하게 빠져나간 가구 지출은 감소했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 규모는 1년 전보다 2.3% 줄어든 97만1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분기 기준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소로, 전년 동기 대비 비소비지출 감소는 올해 1분기와 2분기뿐이다.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을 뜻하는 경상조세(-5.5%), 연금기여금(-4.4%), 용돈·경조사비 등 가구 간 이전지출(-15.3%)이 줄어든 반면, 사회보험료(5.4%), 이자비용(8.8%)은 증가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녀 학원비 등 교육, 오락·문화에 들어가는 씀씀이를 크게 줄인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을 자제하며 식료품, 가정용품 지출 등 `집콕` 소비는 크게 늘어났다.
통계청은 20일 이런 내용의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분기 전국 가구(2인 이상)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527만2천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4.8% 늘었다.
소득 유형별로 살펴보면 근로소득(-5.3%), 사업소득(-4.6%), 재산소득(-11.7%)이 동반 감소했다. 이런 `트리플 감소`는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모든 분기를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월평균 322만원으로 작년 동기(340만원)보다 5.3% 줄었다.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은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3분기(-0.5%)에 이어 두 번째다. 2분기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0만7천명 감소해 근로자 가구 비중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다.
사업소득은 월평균 94만2천원으로 작년 동기(98만7천원)보다 4.6% 줄었다. 2018년 4분기∼작년 4분기에 5분기 연속 감소하다 올 1분기 증가로 돌아섰지만, 반짝 반등에 그쳤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자영업황 부진 때문이다.
재산소득은 월평균 3만4천원으로 작년 동기(3만8천원)보다 11.7% 줄었다. 배당소득, 개인연금소득 감소 때문이다.
반면 정부가 전국민에게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소득(77만7천원)을 포함한 이전소득(98만5천원)은 작년 동기(54만5천원)보다 무려 80.8% 늘어났다.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폭 증가다. 정부는 2분기에 긴급재난지원금, 저소득층 소비쿠폰, 특별돌봄쿠폰, 일자리쿠폰,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저소득층 구직촉진수당 등의 정책을 폈다.
비경상소득은 9만원으로 44.4% 증가했다. 비경상소득은 경조소득이나 퇴직수당, 실비보험을 탄 금액 등을 말한다.
정부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모든 소득분위의 근로·사업소득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적이전소득이 시장소득 감소를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2분기 가계 흑자액(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은 138만9천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15.5% 줄었다. 흑자율은 32.3%로 2.5%포인트 올랐다.
이는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430만1천원, +6.5%)이 소비지출(291만2천원, +2.7%)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 소비성향은 67.7%로 작년 동기보다 2.5%포인트 하락했다. 100만원을 벌면 67만원을 쓴다는 의미로, 2003년 이후 최저(조사방식 달랐던 2017, 2018년 제외)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1만2천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2.7% 증가했다.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외출을 자제하고 가정 내 활동이 증가하며 식료품, 가정용품 등 `집콕`에 따른 소비가 늘었다.
우선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45만4천원으로 전년 동분기보다 20.1% 증가했다.
채소, 육류 등 가격 인상과 최근 소비 증가로 인해 곡물(17.1%), 육류(33.6%), 신선수산동물(29.5%), 채소 및 채소가공품(24.7%) 등에서 지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은 18만원으로 21.4% 증가했다. 가구 및 조명(36.2%), 가전·가정용 기기(13.5%) 지출이 늘었다.
보건 지출은 25만3천원으로 7.5% 증가했다. 특히 마스크 구입으로 인해 의료용 소모품 지출이 무려 240.0% 증가했다.
교통 지출은 38만4천원으로 24.6% 늘었는데, 여기에는 개별소비세 인하(3∼6월)로 자동차 구입 지출이 144.0% 늘어난 영향이 컸다.
반면, 자녀 학원비 등 교육, 여가 위주로 허리띠를 졸라맸다. 코로나19로 외출·여행이 제한돼 의류, 오락 지출도 감소했다.
먼저 교육 지출이 16만8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9.4% 줄었다. 자녀 학원비에 쓴 돈은 작년 2분기 20만6천원에서 올 2분기 15만8천원으로 23.4% 줄었으며, 고교 무상교육 확대 시행으로 정규교육 지출도 54.1% 줄었다.
오락·문화 지출은 17만4천원으로 21.0% 감소했다. 국내·외 단체여행, 공연·극장 등 이용 감소로 단체여행비, 문화서비스 지출이 각각 92.7%, 13.7% 줄어든 영향이다.
음식·숙박 지출도 38만8천원으로 5.0% 줄었다. 외식과 주점 등 식사비(-4.8%), 여행 숙박비(-13.4%)에 돈을 아껴 썼다.
의류·신발 지출도 16만9천원으로 5.8% 줄었다.
한편, 올 2분기에 세금이나 국민연금 보험료, 건강보험료, 대출이자, 경조사비, 종교단체 헌금 등 소비 활동과 무관하게 빠져나간 가구 지출은 감소했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 규모는 1년 전보다 2.3% 줄어든 97만1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분기 기준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소로, 전년 동기 대비 비소비지출 감소는 올해 1분기와 2분기뿐이다.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을 뜻하는 경상조세(-5.5%), 연금기여금(-4.4%), 용돈·경조사비 등 가구 간 이전지출(-15.3%)이 줄어든 반면, 사회보험료(5.4%), 이자비용(8.8%)은 증가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