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배라더니…LTE보다 4배 빠른 '무늬만' 5G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동안 4G 롱텀에볼루션(LTE) 대비 20배 빠르다고 광고하며 5세대 이동통신(5G) 이용자를 유치했던 국내 이동통신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얘기와 달리 이들이 제공하는 5G 서비스가 기존 망 대비 4배가량 빠르다는 측정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일 발표한 국내 이통3사 5G 첫 품질평가 결과 서울과 6대 광역시에서 이들의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56.56Mbps, 평균 업로드 속도는 64.16Mbps로 나타났다.
지난해 LTE 품질 조사에서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158.53Mbps, 평균 업로드 속도가 42.83Mbps였다. 이날 조사결과 발표를 기준으로 5G는 LTE와 비교했을 때 다운로드 속도는 4.1배, 업로드 속도는 1.5배 빨라진 것이다.
유형별로 보면 지하철 역사에서 측정한 속도(885.26Mbps)와 객차 안에서 측정한 속도(703.37Mbps), KTX(272.75Mbps)나 SRT(368.35Mbps)에서 측정한 속도가 천차만별이었다.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지하철 객차 안에서는 5G가 LTE로 전환되는 비율도 19.49%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5G 커버리지(이용 가능 구역)도 서울시조차 100% 구축돼있지 않았다.
이통3사 평균 서울 커버리지는 425.53㎢로 서울시 전체 면적의 약 70%에 불과하다. 임야를 제외해도 일부 지역에는 커버리지가 아예 닿지 않았다.
백화점·여객터미널·대형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도 5G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파 신호 세기 비율(5G 가용률)은 아직 평균 67.93%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5G 품질 논란은 지난해 4월 상용화 이후부터 줄곧 불거졌다. 5G 가입자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품질은 상대적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다.
과기부에 따르면 지난해 5월 78만4200명에 불과했던 5G 가입자수는 지난 5월 687만6900명으로 8배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상용화 이후 1년간 소비자상담센터에 '5G' 관련 상담 접수는 총 2055건에 달했다. 이중 '계약해지'가 702건(34%)으로 가장 많았고, '품질' 관련이 590건(29%)으로 2위를 차지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일 발표한 국내 이통3사 5G 첫 품질평가 결과 서울과 6대 광역시에서 이들의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56.56Mbps, 평균 업로드 속도는 64.16Mbps로 나타났다.
지난해 LTE 품질 조사에서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158.53Mbps, 평균 업로드 속도가 42.83Mbps였다. 이날 조사결과 발표를 기준으로 5G는 LTE와 비교했을 때 다운로드 속도는 4.1배, 업로드 속도는 1.5배 빨라진 것이다.
유형별로 보면 지하철 역사에서 측정한 속도(885.26Mbps)와 객차 안에서 측정한 속도(703.37Mbps), KTX(272.75Mbps)나 SRT(368.35Mbps)에서 측정한 속도가 천차만별이었다.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지하철 객차 안에서는 5G가 LTE로 전환되는 비율도 19.49%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5G 커버리지(이용 가능 구역)도 서울시조차 100% 구축돼있지 않았다.
이통3사 평균 서울 커버리지는 425.53㎢로 서울시 전체 면적의 약 70%에 불과하다. 임야를 제외해도 일부 지역에는 커버리지가 아예 닿지 않았다.
백화점·여객터미널·대형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도 5G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파 신호 세기 비율(5G 가용률)은 아직 평균 67.93%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5G 품질 논란은 지난해 4월 상용화 이후부터 줄곧 불거졌다. 5G 가입자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품질은 상대적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다.
과기부에 따르면 지난해 5월 78만4200명에 불과했던 5G 가입자수는 지난 5월 687만6900명으로 8배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상용화 이후 1년간 소비자상담센터에 '5G' 관련 상담 접수는 총 2055건에 달했다. 이중 '계약해지'가 702건(34%)으로 가장 많았고, '품질' 관련이 590건(29%)으로 2위를 차지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