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전문가 "역사적 사실, 한일 공동조사해야…인식공유가 우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선인 노무동원, 일본인과 달랐다는 것 모르는 사람 많은 듯"
도노무라 도쿄대 교수 "산업유산정보센터, 피해자 말 들었나 의문" 징용 판결에 따라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 강제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일본 전문가는 역사에 관한 한일 양국의 공감대를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도노무라 마사루(外村大) 도쿄대 교수(역사학)는 일본제철이 보유한 PNR 주식 압류명령의 공시 송달 발효(4일)를 앞두고 이뤄진 연합뉴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조선인 노무 동원과 일본인 노무 동원이 다른 것이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게 아닌가 추측한다"며 이런 견해를 표명했다.
부모나 조부모가 전쟁 중 동원돼 고생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란 일본인조차 조선인이 훨씬 열악하고 고통스러운 여건에서 동원됐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일본인도 노무 동원이 있었던 것은 확실하지만 집안의 중심적인 일손이 예고 없이 갑자기 먼 현장에 징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예를 들었다.
일본의 고령 세대는 전쟁 중 강제동원에 관해 보고 들었고, 조선인·중국인을 동원했다는 것이 (지금도) 교과서에도 실려 있지만 최근 10년 새 일본에서 혐한 언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본 시민들이 일본이 행한 가해의 역사를 마주하기 어렵게 됐다고 도노무라 교수는 평가했다.
그는 "한국인은 식민지 지배 피해를 점점 요란하게 말하고 일본인 일반을 비난하고 있으며 역사 문제에서 영원히 트집을 잡고 있다는 이미지가 현대 일본인 사이에서 일반적인 것이 됐는지도 모르겠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한국에서 역사적 사실(事實)로서 검증되지 않은 설(說)을 사실(史實)인 것처럼 말하는 행동 등이 '한국인은 거짓말쟁이'라고 주장하는 "혐한 언론에 힘을 실어주는 면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일본의 산업시설을 소개하는 산업유산정보센터가 조선인과 일본인이 사이좋게 살았다는 증언을 전시하고 탄광 노동의 가혹함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도노무라 교수는 "나와 있는 문헌을 어느 정도 참조했는지, 동원된 한국인 피해 당사자의 증언을 들었는지, 들으려고 노력했는지에 관해서 의문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현금화(일본 기업자산 강제매각)는 아마도 일본 정부의 반발을 부를 것이며 일본 시민의 한국에 대한 감정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면서도 기금을 조성해 징용 피해자를 구제하는 등 방안이 갈등의 실질적 해결책이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도노무라 교수는 "일본 시민 사이에서 한국의 노무 동원 피해자를 구제해야 한다는 인식이 공유된 것이 아니며 노무 동원으로 조선인에게 해를 끼쳤다고 인식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런 가운데 일부 기업만이 기금에 참가하거나 일본 정부가 기금에 협력하더라도 일본인의 혐한 감정을 강하게 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노무라 교수는 "구제해야 할 노무 동원 피해 당사자는 재판에서 승소한 사람뿐만이 아니다"며 피해자 범위를 놓고 다시 다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 정부가 일제 강제 동원에 관해 진상 조사를 하고 피해를 인정한 바 있으나 조사도 충분한지에 관한 논쟁이 있을 수 있고 이런 사정이 일본 시민들에게는 그리 공유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도노무라 교수는 "역사적 사실에 관해 공동조사를 실시해 무엇이 어떤 배경 속에서 벌어졌는지에 관한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제언했다.
그는 "정확한 사실에 토대를 둔 논의를 하는 것, 사실을 겸허하게 마주 보는 것이 한일 양국 시민에게 중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아울러 "노무 동원 문제는 민족의 차이라는 요소가 크다고 하더라도 노동 문제이며 노동자를 소중히 여기지 않은 정치가 이뤄지고 노동자가 힘을 지니지 못해 생겨난 비극이기도 하다.
그 점에 관해서 한일 양국 시민이 인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도노무라 도쿄대 교수 "산업유산정보센터, 피해자 말 들었나 의문" 징용 판결에 따라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 강제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일본 전문가는 역사에 관한 한일 양국의 공감대를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도노무라 마사루(外村大) 도쿄대 교수(역사학)는 일본제철이 보유한 PNR 주식 압류명령의 공시 송달 발효(4일)를 앞두고 이뤄진 연합뉴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조선인 노무 동원과 일본인 노무 동원이 다른 것이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게 아닌가 추측한다"며 이런 견해를 표명했다.
부모나 조부모가 전쟁 중 동원돼 고생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란 일본인조차 조선인이 훨씬 열악하고 고통스러운 여건에서 동원됐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일본인도 노무 동원이 있었던 것은 확실하지만 집안의 중심적인 일손이 예고 없이 갑자기 먼 현장에 징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예를 들었다.
일본의 고령 세대는 전쟁 중 강제동원에 관해 보고 들었고, 조선인·중국인을 동원했다는 것이 (지금도) 교과서에도 실려 있지만 최근 10년 새 일본에서 혐한 언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일본 시민들이 일본이 행한 가해의 역사를 마주하기 어렵게 됐다고 도노무라 교수는 평가했다.
그는 "한국인은 식민지 지배 피해를 점점 요란하게 말하고 일본인 일반을 비난하고 있으며 역사 문제에서 영원히 트집을 잡고 있다는 이미지가 현대 일본인 사이에서 일반적인 것이 됐는지도 모르겠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한국에서 역사적 사실(事實)로서 검증되지 않은 설(說)을 사실(史實)인 것처럼 말하는 행동 등이 '한국인은 거짓말쟁이'라고 주장하는 "혐한 언론에 힘을 실어주는 면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일본의 산업시설을 소개하는 산업유산정보센터가 조선인과 일본인이 사이좋게 살았다는 증언을 전시하고 탄광 노동의 가혹함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도노무라 교수는 "나와 있는 문헌을 어느 정도 참조했는지, 동원된 한국인 피해 당사자의 증언을 들었는지, 들으려고 노력했는지에 관해서 의문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현금화(일본 기업자산 강제매각)는 아마도 일본 정부의 반발을 부를 것이며 일본 시민의 한국에 대한 감정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면서도 기금을 조성해 징용 피해자를 구제하는 등 방안이 갈등의 실질적 해결책이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도노무라 교수는 "일본 시민 사이에서 한국의 노무 동원 피해자를 구제해야 한다는 인식이 공유된 것이 아니며 노무 동원으로 조선인에게 해를 끼쳤다고 인식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런 가운데 일부 기업만이 기금에 참가하거나 일본 정부가 기금에 협력하더라도 일본인의 혐한 감정을 강하게 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노무라 교수는 "구제해야 할 노무 동원 피해 당사자는 재판에서 승소한 사람뿐만이 아니다"며 피해자 범위를 놓고 다시 다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 정부가 일제 강제 동원에 관해 진상 조사를 하고 피해를 인정한 바 있으나 조사도 충분한지에 관한 논쟁이 있을 수 있고 이런 사정이 일본 시민들에게는 그리 공유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도노무라 교수는 "역사적 사실에 관해 공동조사를 실시해 무엇이 어떤 배경 속에서 벌어졌는지에 관한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제언했다.
그는 "정확한 사실에 토대를 둔 논의를 하는 것, 사실을 겸허하게 마주 보는 것이 한일 양국 시민에게 중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아울러 "노무 동원 문제는 민족의 차이라는 요소가 크다고 하더라도 노동 문제이며 노동자를 소중히 여기지 않은 정치가 이뤄지고 노동자가 힘을 지니지 못해 생겨난 비극이기도 하다.
그 점에 관해서 한일 양국 시민이 인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