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반도체 산증인 권오현 "강력한 리더십이 초격차 좌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전자 반도체 역사의 주역인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이 일본 반도체 기업들을 추월한 비결은 리더십에 있었다고 회고했다.
권오현 전 회장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64메가 D램 시제품 개발에 성공한 8월 1일을 앞두고 오늘(28일) 사내방송을 통해 "1992년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이)질적으로나 양적으로 1위가 된 뜻 깊은 해"였다며 "거기에 제가 일익을 담당하게 된 걸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1992년 64M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당시 세계 메모리 반도체 선두주자였던 일본을 넘어섰고, 이를 발판으로 1994년 256M D램, 1996년 1G D램을 개발하며 세계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다. 권오현 전 회장은 당시 D램 개발팀장을 맡아 64메가 D램 개발을 이끌었다. ○ "日 반도체 넘은 비결은 과감하고 빠른 투자"
권 전 회장은 삼성 반도체가 그동안 `초격차`를 유지할 수 있는 비결로 이병철·이건희 회장의 리더십과 직원들의 도전정신을 꼽았다.
권 전 회장은 "반도체 사업은 워낙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고 투자 규모도 커서 리스키(risky)한 비즈니스"라며 "1990년대 일본의 기술 수준이 높았는데, 이후 ‘잃어버린 10년’이 됐다. 그건 투자 시점을 잘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권 전 회장은 "일본은 `100% 경영전문인 시스템`이라 빠른 결정을 못했고, 불황일 때 투자하자는 말을 못했다"고 회상하면서 "위험한 순간에서 과감하게 결정할 수 있는 최고경영자층의의 결단, 리더십이 필요한 것처럼 반도체 사업은 앞으로도 그런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강력한 리더십이 삼성 반도체 미래 좌우"
권오현 전 회장은 총수와 전문경영인의 역할 분담이 삼성 반도체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전 회장은 이재용 부회장이 내세운 `2030년 시스템반도체 1위 달성`이라는 목표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이럴 때일수록 중요한 것은, 과거의 경험에 비춰보더라도 어려운 시기일수록 제일 중요한 건 강력한 리더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순간적으로 빨리빨리 결정해야 하는데, 그런 면에서는 전문경영인과 최고경영자층의 원활한 소통과 토의가 필요하다"며 "그게 없으면 굉장한 적자, 불황 상황에서 `몇조 투자하자`고 말하기 쉽지 않다. 그런 면에서는 전문경영인과 최고경영자층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초등학생과 박사과정 공부방법은 달라"
권오현 전 회장은 이제 삼성이 글로벌 반도체의 기준을 세우고 주도하고 있는 만큼 그에 걸맞는 새로운 문화를 구축해야한다고 역설했다.
권 전 회장은 "무엇을 해라 하는 기준점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기준점을 우리가 세팅해야 한다"며 "옛날에는 단순히 열심히 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했지만 지금은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초등학생이 공부하는 방법과 박사과정이 공부하는 방법은 다르다"며 "우리가 (기준점을) 세팅하려면 그에 맞는 새로운 문화를 구축해야지 지금까지 성공해 왔으니 그대로 열심히 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건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트렌드를 쫓지 말고 새로운 지식 찾아야"
35년을 삼성맨으로 현장에서 일한 권 전 회장은 후배들에게 세상의 트렌드를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권 전 회장은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발전이 더디게 된 것은 트렌드 세팅을 해야 하는데 자꾸 트렌드를 쫓아가기만 하기 때문"이라며 "이럴 때는 새로운 지식이나 지혜를 넓히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지식에 접근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수기자 ms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오현 전 회장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64메가 D램 시제품 개발에 성공한 8월 1일을 앞두고 오늘(28일) 사내방송을 통해 "1992년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이)질적으로나 양적으로 1위가 된 뜻 깊은 해"였다며 "거기에 제가 일익을 담당하게 된 걸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1992년 64M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당시 세계 메모리 반도체 선두주자였던 일본을 넘어섰고, 이를 발판으로 1994년 256M D램, 1996년 1G D램을 개발하며 세계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을 이끌고 있다. 권오현 전 회장은 당시 D램 개발팀장을 맡아 64메가 D램 개발을 이끌었다. ○ "日 반도체 넘은 비결은 과감하고 빠른 투자"
권 전 회장은 삼성 반도체가 그동안 `초격차`를 유지할 수 있는 비결로 이병철·이건희 회장의 리더십과 직원들의 도전정신을 꼽았다.
권 전 회장은 "반도체 사업은 워낙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고 투자 규모도 커서 리스키(risky)한 비즈니스"라며 "1990년대 일본의 기술 수준이 높았는데, 이후 ‘잃어버린 10년’이 됐다. 그건 투자 시점을 잘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권 전 회장은 "일본은 `100% 경영전문인 시스템`이라 빠른 결정을 못했고, 불황일 때 투자하자는 말을 못했다"고 회상하면서 "위험한 순간에서 과감하게 결정할 수 있는 최고경영자층의의 결단, 리더십이 필요한 것처럼 반도체 사업은 앞으로도 그런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강력한 리더십이 삼성 반도체 미래 좌우"
권오현 전 회장은 총수와 전문경영인의 역할 분담이 삼성 반도체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전 회장은 이재용 부회장이 내세운 `2030년 시스템반도체 1위 달성`이라는 목표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이럴 때일수록 중요한 것은, 과거의 경험에 비춰보더라도 어려운 시기일수록 제일 중요한 건 강력한 리더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순간적으로 빨리빨리 결정해야 하는데, 그런 면에서는 전문경영인과 최고경영자층의 원활한 소통과 토의가 필요하다"며 "그게 없으면 굉장한 적자, 불황 상황에서 `몇조 투자하자`고 말하기 쉽지 않다. 그런 면에서는 전문경영인과 최고경영자층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초등학생과 박사과정 공부방법은 달라"
권오현 전 회장은 이제 삼성이 글로벌 반도체의 기준을 세우고 주도하고 있는 만큼 그에 걸맞는 새로운 문화를 구축해야한다고 역설했다.
권 전 회장은 "무엇을 해라 하는 기준점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기준점을 우리가 세팅해야 한다"며 "옛날에는 단순히 열심히 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했지만 지금은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초등학생이 공부하는 방법과 박사과정이 공부하는 방법은 다르다"며 "우리가 (기준점을) 세팅하려면 그에 맞는 새로운 문화를 구축해야지 지금까지 성공해 왔으니 그대로 열심히 하면 되지 않을까 이런 건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트렌드를 쫓지 말고 새로운 지식 찾아야"
35년을 삼성맨으로 현장에서 일한 권 전 회장은 후배들에게 세상의 트렌드를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권 전 회장은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발전이 더디게 된 것은 트렌드 세팅을 해야 하는데 자꾸 트렌드를 쫓아가기만 하기 때문"이라며 "이럴 때는 새로운 지식이나 지혜를 넓히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지식에 접근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수기자 ms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