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이상직 의혹'까지 거론하며 반격…"신뢰 훼손됐다"(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셧다운 지시 안했다"…이스타 주장 조목조목 반박
베트남 기업결합심사 완료…"이스타 선행조건 완수만 남아"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이 폭로전 양상으로 흐르는 가운데 제주항공이 체불임금 해소 책임과 셧다운·구조조정 지시 등 최근 불거진 쟁점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제주항공은 M&A 선행 조건 중 하나였던 베트남 기업결합심사가 끝나 제주항공이 수행해야 할 조건은 모두 완료됐다며 이스타항공 측에 선행 조건 완수를 촉구했으나, 업계 안팎에서는 결국 계약 파기 수순을 밟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항공은 7일 입장 자료를 내고 "그동안 인수 계약 이행을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최근 이스타 측에서 계약의 내용과 이후 진행 경과를 왜곡 발표해 제주항공의 명예가 실추됐다"며 "신뢰가 심각하게 훼손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양사 대표의 통화 내용과 간담회 회의록 등을 공개하며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셧다운과 인력 구조조정을 지시했다고 비난했다.
제주항공은 셧다운 지시 주장에 대해 "당시 운항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석주 당시 대표가 국내선도 셧다운하는 것이 좋겠다는 '조언'을 한 것"이라며 "셧다운을 요구하거나 강제한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다.
구조조정 지시 주장에 대해서도 전날에 이어 재차 "이스타가 자체적으로 작성한 내용"이라고 해명했다.
양사는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피해와 체불 임금 해소 책임 등을 놓고도 입장차를 보여왔다.
이에 제주항공은 "주식매매계약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사업 부진은 그 자체만으로는 '중대한 부정적 영향'으로서 제주항공이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내용이 규정돼 있을 뿐이며, 코로나19로 인한 모든 피해를 제주항공이 책임지기로 한다는 조항은 어디에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체불임금도 주식매매계약서상 이를 제주항공이 부담한다는 내용이 어디에도 없다"며 "당연히 현재 이스타 경영진이 전적으로 책임지고 해결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가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제기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 측의 각종 의혹은 이번 인수계약에서 제주항공이 매수하려는 지분의 정당성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낳고 있다"며 "해당 지분 인수에 따라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스타에서는 (이 의원의) 지분 헌납으로 체불임금을 해결하면 딜을 클로징(종료)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본질과 전혀 다른 이야기"라며 "현재 상황대로 딜을 클로징하면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 1천700억원과 향후 발생할 채무를 제주항공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스타홀딩스 보유 지분에는 제주항공이 지불한 계약금과 대여금 225억원에 대한 근질권이 이미 설정돼 이스타 측이 제주항공과 상의 없이 지분 헌납을 발표할 권리는 없다는 것이 제주항공의 주장이다.
제주항공은 실제로 이 의원의 지분 헌납에 따라 이스타항공에 추가적으로 귀속되는 금액은 80억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제주항공은 여전히 이스타항공이 오는 15일까지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날 베트남 기업결합심사가 끝나 국내외 결합심사가 모두 완료되면서 제주항공이 수행해야 할 선행조건은 모두 완료됐기 때문에 이스타 측의 선행 조건 완수만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자금난을 겪던 이스타항공의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00억원을 저리(1.3%)로 대여했고, 계약 보증금 119억5천만원 중 100억원을 이스타항공 전환사채로 투입하는데 동의한 점 등을 예로 들며 인수 계약 이행에 최선을 다했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제주항공은 "타이이스타젯 보증 문제가 해결됐다는 증빙을 받지 못했고 계약 체결 이후 미지급금도 해결되지 않고 있고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중이며 그 외에도 이행되지 않은 선행 조건이 다수 존재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거래 종결을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고 합리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항공은 "선행조건 이행이 지체되는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항공 시장의 어려움은 가중됐고, 이제 양사 모두 재무적인 불안정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이번 인수에 대해서도 '동반부실'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나 M&A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결국은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되는 것인 만큼, 견실하게 회사를 운영해 갚을 수 있는 확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업계 안팎에서는 제주항공이 결국 M&A 파기 수순을 밟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제기된 제주항공의 책임론에 대해 선을 그으며 M&A 지연에 대한 책임을 이스타항공에게 돌렸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스타항공이 15일까지 미지급금 등을 해결할 자금이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황"이라며 "양사의 갈등이 커진 만큼 결국 M&A가 성사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베트남 기업결합심사 완료…"이스타 선행조건 완수만 남아"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이 폭로전 양상으로 흐르는 가운데 제주항공이 체불임금 해소 책임과 셧다운·구조조정 지시 등 최근 불거진 쟁점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제주항공은 M&A 선행 조건 중 하나였던 베트남 기업결합심사가 끝나 제주항공이 수행해야 할 조건은 모두 완료됐다며 이스타항공 측에 선행 조건 완수를 촉구했으나, 업계 안팎에서는 결국 계약 파기 수순을 밟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항공은 7일 입장 자료를 내고 "그동안 인수 계약 이행을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최근 이스타 측에서 계약의 내용과 이후 진행 경과를 왜곡 발표해 제주항공의 명예가 실추됐다"며 "신뢰가 심각하게 훼손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양사 대표의 통화 내용과 간담회 회의록 등을 공개하며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의 셧다운과 인력 구조조정을 지시했다고 비난했다.
제주항공은 셧다운 지시 주장에 대해 "당시 운항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석주 당시 대표가 국내선도 셧다운하는 것이 좋겠다는 '조언'을 한 것"이라며 "셧다운을 요구하거나 강제한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다.
구조조정 지시 주장에 대해서도 전날에 이어 재차 "이스타가 자체적으로 작성한 내용"이라고 해명했다.
양사는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피해와 체불 임금 해소 책임 등을 놓고도 입장차를 보여왔다.
이에 제주항공은 "주식매매계약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사업 부진은 그 자체만으로는 '중대한 부정적 영향'으로서 제주항공이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내용이 규정돼 있을 뿐이며, 코로나19로 인한 모든 피해를 제주항공이 책임지기로 한다는 조항은 어디에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체불임금도 주식매매계약서상 이를 제주항공이 부담한다는 내용이 어디에도 없다"며 "당연히 현재 이스타 경영진이 전적으로 책임지고 해결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 일가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제기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 측의 각종 의혹은 이번 인수계약에서 제주항공이 매수하려는 지분의 정당성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낳고 있다"며 "해당 지분 인수에 따라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스타에서는 (이 의원의) 지분 헌납으로 체불임금을 해결하면 딜을 클로징(종료)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본질과 전혀 다른 이야기"라며 "현재 상황대로 딜을 클로징하면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 1천700억원과 향후 발생할 채무를 제주항공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스타홀딩스 보유 지분에는 제주항공이 지불한 계약금과 대여금 225억원에 대한 근질권이 이미 설정돼 이스타 측이 제주항공과 상의 없이 지분 헌납을 발표할 권리는 없다는 것이 제주항공의 주장이다.
제주항공은 실제로 이 의원의 지분 헌납에 따라 이스타항공에 추가적으로 귀속되는 금액은 80억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제주항공은 여전히 이스타항공이 오는 15일까지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날 베트남 기업결합심사가 끝나 국내외 결합심사가 모두 완료되면서 제주항공이 수행해야 할 선행조건은 모두 완료됐기 때문에 이스타 측의 선행 조건 완수만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자금난을 겪던 이스타항공의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00억원을 저리(1.3%)로 대여했고, 계약 보증금 119억5천만원 중 100억원을 이스타항공 전환사채로 투입하는데 동의한 점 등을 예로 들며 인수 계약 이행에 최선을 다했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제주항공은 "타이이스타젯 보증 문제가 해결됐다는 증빙을 받지 못했고 계약 체결 이후 미지급금도 해결되지 않고 있고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중이며 그 외에도 이행되지 않은 선행 조건이 다수 존재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거래 종결을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고 합리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항공은 "선행조건 이행이 지체되는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항공 시장의 어려움은 가중됐고, 이제 양사 모두 재무적인 불안정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이번 인수에 대해서도 '동반부실'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나 M&A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결국은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되는 것인 만큼, 견실하게 회사를 운영해 갚을 수 있는 확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업계 안팎에서는 제주항공이 결국 M&A 파기 수순을 밟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제기된 제주항공의 책임론에 대해 선을 그으며 M&A 지연에 대한 책임을 이스타항공에게 돌렸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스타항공이 15일까지 미지급금 등을 해결할 자금이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황"이라며 "양사의 갈등이 커진 만큼 결국 M&A가 성사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