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8조원 벌었다…코로나 뚫고 '어닝서프라이즈'(종합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에도 시장 전망치 뛰어넘어 영업이익 작년 대비 22.73%↑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7.36% 감소한 52조원
반도체 날고, 우려했던 가전·모바일도 예상밖 선전
디스플레이 부문 일회성 이익 반영 영향도…3분기는 '갈림길'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전망치를 훌쩍 뛰어넘는 호실적을 냈다.
코로나 '셧다운(폐쇄)' 여파로 전체 매출은 작년보다 감소했지만 언택트(비대면) 수요 증가에 따른 반도체 실적 호조에 힘입어 시장 예측을 뛰어넘는 수준의 영업이익을 내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연결 기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영업이익이 8조1천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전 분기(6조4천500억원) 대비 25.58% 증가한 것이면서 지난해 동기(6조6천억원) 대비 22.73% 늘어난 것이다.
이에 비해 매출은 52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36% 감소했다.
전분기에 비해서도 6.02% 줄었다.
수익성은 좋았지만 코로나 여파로 소비자를 상대로 하는 제품들의 판매는 부진했다는 얘기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인 영업이익률은 15.6%로 2018년 4분기(24.2%) 이후 가장 높았다.
2분기에 삼성전자가 거둔 영업이익은 최근 한 달 치 증권사가 예상한 실적 전망치(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6조5천385억원보다 23.9% 높다.
삼성전자는 코로나 팬데믹 여파에도 특히 반도체 부문에서 기대 이상의 실적을 올렸다.
스마트폰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화상회의, 게임 등 언택트(비대면) 수요 증가로 서버·PC 업체들의 반도체 수요가 증가한 덕분이다.
반도체 수요가 탄탄히 받쳐주면서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의 주력 제품인 D램 고정 거래 가격도 지난 5월까지 5개월 연속 상승하며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을 7조6천억원으로 가장 높게 전망한 IBK투자증권은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을 1분기보다 37.3% 증가한 5조4천750억원으로 전망했다.
또 현대차증권은 반도체 부문의 매출을 19조6천540억원, 영업이익이 5조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로 인한 매장 폐쇄 등으로 극심한 부진이 예상됐던 모바일(IM)과 가전(CE) 부문은 작년보다는 부진하지만 당초 시장의 우려에 비해서는 양호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TV와 생활가전, 모바일은 6월 들어 미국의 베스트바이, 유럽 세코노미 등 대형 가전유통업체의 오프라인 매장 재개장으로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다.
국내 가전 시장에서도 삼성이 선보인 그랑데 AI 건조기와 에어드레서, 비스포크 냉장고 등 '신가전' 부문의 판매가 비교적 선전했다.
모바일(IM) 부문은 당초 갤럭시 S20의 판매 부진에 따른 실적 악화가 우려됐으나 6월 이후 북미와 유럽 등 글로벌 시장의 판매가 늘면서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무선·가전사업부 모두 오프라인 매장 폐쇄로 인한 마케팅 비용이 절감되며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개선됐다.
특히 모바일 부문은 예년 대비 매출이 많이 감소했음에도 마케팅 비용 절감에 힘입어 1조원대 후반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실적 호조에는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일회성 이익이 포함된 영향도 크다.
당초 디스플레이 부문은 모바일 OLED 가동률 하락으로 고정비 부담이 커지면서 5천억∼7천억원가량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일회성 이익이 반영되며 흑자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는 애플이 아이폰 판매 부진으로 당초 약정한 스마트폰용 OLED 패널 물량을 사지 못하게 되면서 9천억원가량의 보상금을 지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예상외의 실적을 올린 것과 관련해 재계에서는 이재용 부회장이 위기를 강조하며 현장경영을 펼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부회장은 반도체는 물론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생활가전 등 각 사업부문의 현장을 직접 챙겼고, 5월에는 코로나를 뚫고 중국 출장길에 올라 반도체 생산 시설을 둘러보고 임직원을 격려했다.
전문가들은 일단 3분기에는 2분기보다 실적 개선이 뚜렷할 것으로 예상한다.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일시적 감소와 가격 하락이 예상되지만 모바일과 게임기 등에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가전과 모바일 판매도 늘면서 매출은 60조원, 영업이익은 9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증권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다만 3분기로 예상했던 디스플레이 부문의 일회성 이익이 2분기에 선반영된 점을 고려하면 3분기 실적이 2분기 수준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
하반기는 코로나19 재확산 여부도 기업 경영의 또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가 다시 맹위를 떨치고 있어 이에 따른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이 크고, 미중 갈등 지속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아 하반기 실적 호조를 장담할 수만은 없다"며 "3분기 들어 본격적인 회복세로 전환할 지, 코로나 등으로 인해 다시 상황이 악화될 지 갈림길에 서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7.36% 감소한 52조원
반도체 날고, 우려했던 가전·모바일도 예상밖 선전
디스플레이 부문 일회성 이익 반영 영향도…3분기는 '갈림길'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전망치를 훌쩍 뛰어넘는 호실적을 냈다.
코로나 '셧다운(폐쇄)' 여파로 전체 매출은 작년보다 감소했지만 언택트(비대면) 수요 증가에 따른 반도체 실적 호조에 힘입어 시장 예측을 뛰어넘는 수준의 영업이익을 내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연결 기준 잠정실적을 집계한 결과 영업이익이 8조1천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전 분기(6조4천500억원) 대비 25.58% 증가한 것이면서 지난해 동기(6조6천억원) 대비 22.73% 늘어난 것이다.
이에 비해 매출은 52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36% 감소했다.
전분기에 비해서도 6.02% 줄었다.
수익성은 좋았지만 코로나 여파로 소비자를 상대로 하는 제품들의 판매는 부진했다는 얘기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인 영업이익률은 15.6%로 2018년 4분기(24.2%) 이후 가장 높았다.
2분기에 삼성전자가 거둔 영업이익은 최근 한 달 치 증권사가 예상한 실적 전망치(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6조5천385억원보다 23.9% 높다.
삼성전자는 코로나 팬데믹 여파에도 특히 반도체 부문에서 기대 이상의 실적을 올렸다.
스마트폰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화상회의, 게임 등 언택트(비대면) 수요 증가로 서버·PC 업체들의 반도체 수요가 증가한 덕분이다.
반도체 수요가 탄탄히 받쳐주면서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의 주력 제품인 D램 고정 거래 가격도 지난 5월까지 5개월 연속 상승하며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을 7조6천억원으로 가장 높게 전망한 IBK투자증권은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을 1분기보다 37.3% 증가한 5조4천750억원으로 전망했다.
또 현대차증권은 반도체 부문의 매출을 19조6천540억원, 영업이익이 5조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로 인한 매장 폐쇄 등으로 극심한 부진이 예상됐던 모바일(IM)과 가전(CE) 부문은 작년보다는 부진하지만 당초 시장의 우려에 비해서는 양호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TV와 생활가전, 모바일은 6월 들어 미국의 베스트바이, 유럽 세코노미 등 대형 가전유통업체의 오프라인 매장 재개장으로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다.
국내 가전 시장에서도 삼성이 선보인 그랑데 AI 건조기와 에어드레서, 비스포크 냉장고 등 '신가전' 부문의 판매가 비교적 선전했다.
모바일(IM) 부문은 당초 갤럭시 S20의 판매 부진에 따른 실적 악화가 우려됐으나 6월 이후 북미와 유럽 등 글로벌 시장의 판매가 늘면서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무선·가전사업부 모두 오프라인 매장 폐쇄로 인한 마케팅 비용이 절감되며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개선됐다.
특히 모바일 부문은 예년 대비 매출이 많이 감소했음에도 마케팅 비용 절감에 힘입어 1조원대 후반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실적 호조에는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일회성 이익이 포함된 영향도 크다.
당초 디스플레이 부문은 모바일 OLED 가동률 하락으로 고정비 부담이 커지면서 5천억∼7천억원가량 적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일회성 이익이 반영되며 흑자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는 애플이 아이폰 판매 부진으로 당초 약정한 스마트폰용 OLED 패널 물량을 사지 못하게 되면서 9천억원가량의 보상금을 지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예상외의 실적을 올린 것과 관련해 재계에서는 이재용 부회장이 위기를 강조하며 현장경영을 펼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부회장은 반도체는 물론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생활가전 등 각 사업부문의 현장을 직접 챙겼고, 5월에는 코로나를 뚫고 중국 출장길에 올라 반도체 생산 시설을 둘러보고 임직원을 격려했다.
전문가들은 일단 3분기에는 2분기보다 실적 개선이 뚜렷할 것으로 예상한다.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일시적 감소와 가격 하락이 예상되지만 모바일과 게임기 등에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가전과 모바일 판매도 늘면서 매출은 60조원, 영업이익은 9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증권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다만 3분기로 예상했던 디스플레이 부문의 일회성 이익이 2분기에 선반영된 점을 고려하면 3분기 실적이 2분기 수준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
하반기는 코로나19 재확산 여부도 기업 경영의 또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가 다시 맹위를 떨치고 있어 이에 따른 경기회복 지연 가능성이 크고, 미중 갈등 지속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아 하반기 실적 호조를 장담할 수만은 없다"며 "3분기 들어 본격적인 회복세로 전환할 지, 코로나 등으로 인해 다시 상황이 악화될 지 갈림길에 서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