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노동공급 확대 불구 노동수요 약화, 서비스업 대비 제조업 고용부진 현상 지속
코로나 사태 장기화될 경우 이력현상으로 고용 생태계 훼손 우려, 고용 안정화 지원 노력 시급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 노동수요 갈수록 약화"
동남권 지역의 노동수요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BNK금융(회장 김지완) 소속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2일 ‘동남권 고용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권 경제활동참가율은 2010년 59.1%에서 2019년 61.3%로 2.2%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생산가능인구는 5.1% 늘어나는데 그쳤으나 경제활동인구가 고령층 및 여성을 중심으로 두 배 가까이 빠르게 증가(9%)했기 때문이다.

지역 노동공급 증가에도 불구하고 노동수요는 약화되고 있다. 취업자수 증가율은 2011년 2.2%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9년에는 0.5%까지 떨어졌다. 실업률도 2010년 초반에는 3%를 밑돌았으나 2019년에는 3.8%까지 높아졌다.

산업별 취업자수는 제조업이 감소했으나 서비스업은 증가했다. 2013~2019년 중 동남권 제조업 취업자 수는 8.5% 감소했으나 서비스업은 7.8% 증가했다.

제조업 감소세는 조선업 등 동남권 주력산업 업황 부진에 따른 구조조정 등이 상당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은 감소(-0.5%)했으나 사업·개인·공공서비스가 17.1% 늘어나며 증가세를 견인했다.

올해도 제조업 취업자수가 서비스업보다 부진한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 등으로 지난 1~5월중 동남권 제조업 취업자수는 전년 동기 대비 3.8% 줄어들며 서비스업(-0.4%)보다 감소폭이 컸다.

고용보험 피보험자수를 기준으로 살펴본 제조업 유형별 고용은 노동집약제조업이 –3.7%로 감소율이 가장 컸다. 자원기반제조업(-2.6%), 지식집약제조업(0.1%), 주력제조업(0.4%) 등의 고용도 모두 감소하거나 정체수준이었다.

연구센터는 일자리 감소와 고실업 상태가 지속되면 구직단념, 훈련부족 등으로 이력현상(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위축된 고용이 경기회복 후에도 개선되지 않거나 이전수준으로 복귀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현상)이 나타나 고용 생태계가 훼손될 우려가 크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고용 안정화 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위기상황에서 고용을 유지하기 위한 노사간 협력과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직무교육, 취업지원 확대 등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도 늘려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백충기 동남권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주력제조업 부진에 따른 고용감소 현상이 장기화되고 있어 걱정스럽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및 일자리 확대 방안을 위한 심도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