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22명 입건…"아직 신병처리 방향 논할 단계 아니다"
경찰, 광주 지역주택조합 중복분양 사기 피의자 소재 확보
광주 지산동지역주택조합 중복분양 사기 사건의 주요 피의자에 대해 경찰이 소재를 확보하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광주지방경찰청은 24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수사 진행 상황을 언론에 공개했다.

고소사건 처리 절차에 따라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에 입건된 사람은 현재 22명이다.

다중계약 사기 행각을 벌인 뒤 잠적했다고 알려진 업무대행사 임직원 등 핵심 피의자의 신병을 확보한 상태라고 경찰은 밝혔다.

경찰은 중요도와 고소장 접수순서 등을 고려해 지금까지 15명에게 출석을 요구하고 진술을 청취했다.

피의자들은 1차 조사에서 대부분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긴급체포 또는 사전구속 등으로 피의자를 구금해 강제조사를 이어갈 단계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엇갈리는 진술에 대한 내용 확인과 일부 관계자의 신원 파악 등 추가 조사를 거치고 나서 신병처리 방향을 정할 계획이다.

이 사건 고소인은 현재 117명이다.

피해 금액은 합산 76억원 상당이다.

고소인들은 대부분 비조합원으로 조합원 자격을 약속받아 아파트 한 채당 최대 4명까지 다중계약을 맺은 사실을 모르고 돈을 보냈다.

일부 고소인은 일반분양 시점에서 시세보다 저렴한 조합원 조건으로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거짓 제안을 받았다.

조합원 중에서도 사기 피해를 봤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신탁회사가 아닌 업무대행사 관계자의 계좌로 돈을 보내 분담금 미납자로 분류됐다.

고소인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민사절차에 의한 피해 복구 등을 준비하고 있다.

중복분양 등 사기 피해자들은 조합 추진위원회가 만든 계좌가 범행에 사용된 정황 등을 토대로 조합 관계자도 업무대행사 임직원과 함께 경찰에 고소했다.

조합 측은 이번 사기 행각과 관련이 없다고 호소하며 사업 좌초 등 2차 피해를 우려해 사건 진상규명에 방점을 둔 고발장을 경찰에 제출했다.

지산동지역주택조합은 올해 4월 7일 사업계획을 승인받았다.

조합원분 413가구와 일반분양분 41가구 등 아파트 454세대를 신축하는 사업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