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구에 있는 솔젠트 연구소에서 한 연구원이 실험을 하고 있다.  솔젠트 제공
대전 유성구에 있는 솔젠트 연구소에서 한 연구원이 실험을 하고 있다. 솔젠트 제공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 계열사인 분자진단 기업 솔젠트가 100% 국산화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를 내세워 해외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국내 원재료 생산 기업들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씨젠 등 국내 업체 상당수가 수작업에 의존하는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 등 진단업계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미국 등 50여 개국에 수출

솔젠트는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코로나19 진단키트 ‘다이아플렉스큐(DiaPlexQ)’의 긴급사용승인(EUA)을 획득했다. 한국과 미국에서 EUA를 받은 것은 씨젠, SD바이오센서에 이어 세 번째다. 솔젠트는 이번 승인으로 연방정부, 주정부, 의료기관 등에 코로나19 진단키트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 지난 4월 이 회사는 국내 진단기업 최초로 미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에 비축전략물자 조달업체로 등록하고 진단키트 15만 명분을 공급했다. 솔젠트는 FDA의 정식 판매 허가도 추진 중이다.

솔젠트 제품은 북미, 유럽, 동남아시아, 남미 등 50여 개국에 공급되고 있다. 유재형 솔젠트 대표는 “4월 초 100만 명이던 해외 코로나19 환자가 500만 명을 넘어섰다”며 “미국을 중심으로 각국에서 발주가 급증할 것에 대비해 생샨량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솔젠트, 씨젠도 못한 '진단키트 100% 국산화'
국내 업체와 협력해 원재료 국산화

솔젠트는 ‘투 트랙 전략’을 세우고 있다. 핵심 원재료의 국산화와 대량 생산을 위한 스마트 공장 구축이다. 솔젠트는 국내에서 코로나19 진단키트에 대한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업체 6곳 중 유일하게 핵심 원재료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국내 1위 분자진단기업 씨젠은 핵산 추출 시약 등 주요 원재료의 절반 정도를 수입한다.

솔젠트는 진단키트에 들어가는 RNA 증폭 효소 등 핵심 원재료 세 가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가 급증하자 4월 솔젠트는 국내 업체 제노포커스에 원재료 생산 기술을 이전했다. 유 대표는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기 전까지 안정적으로 원재료를 조달하기 위해 제노포커스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독일 중국 등에서 주로 수입하던 진단키트용 튜브도 국산화했다. 노블바이오 등 국내 업체와 함께 기존 튜브를 코로나19 진단키트에 맞게 최적화했다. 유 대표는 “우리에게 튜브를 납품하던 독일 업체가 지난달 공급을 끊는 등 각국이 주요 원재료를 전략물자로 삼고 있다”며 “7개 주요 원재료 중 4개를 자체 생산하고 3개는 국내 협력사를 통해 공급받을 것”이라고 했다.

“연내 주당 1000만 명분 생산”

솔젠트는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진단키트 생산을 자동화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통해서다. 업계에서는 국내 진단업체의 문제점 중 하나로 수작업에 의존한 제품 생산을 꼽아왔다. 사람이 직접 제품을 제조하면 작업 중 과실로 제품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EDGC 관계자는 “사람이 나르던 원재료를 기계가 자동으로 운반하는 등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면 생산량이 기존 대비 30~50%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솔젠트는 공장도 새로 짓고 있다. 3개월 안에 완공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현재 주당 100만 명분인 생산량을 다음달 300만~500만 명, 올해 안에 1000만 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유 대표는 “대량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여러 국가와 장기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며 “코로나19뿐 아니라 폐렴, 결핵, 뎅기열 등 각종 감염병 진단키트를 해외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할 것”이라고 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