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재발 막는다'…경기도, 5∼10월 특별방역 대책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천·고양 등 접경지 6개 시 양돈 농가에 '차량 진입 금지'
경기도는 파주, 연천, 포천 등 접경지역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 양돈 농가 재발 방지를 위해 다음 달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특별방역 대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6∼10월은 영농활동이 증가하고 멧돼지의 활동과 출몰이 빈번한 시기다.
이에 경기도는 한달 앞선 다음 달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특별방역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야생멧돼지를 통해 ASF가 전파되는 것을 막을 방침이다.
우선 지난해부터 운영한 'ASF 방역대책본부'를 계속해서 가동하고 24시간 상황반을 편성해 신고 접수 및 신속 대응할 계획이다.
ASF 발병 위험이 높은 포천, 고양, 양주, 동두천, 가평, 남양주 등 경기북부 6개 시 양돈 농가에는 원칙적으로 차량 진입을 금지한다.
또 한돈협회와 합동으로 쥐 잡기, 해충 작업 등을 해 매개체를 통한 ASF 바이러스 전파를 막는다.
도내에는 거점소독시설 28곳과 농가초소 162개를 운영하고 야생멧돼지 ASF 검출지역 10㎞ 이내 양돈 농가는 이동제한 등 특별관리에 들어간다.
이밖에 파주, 연천, 김포 등 ASF가 발병했던 농가를 대상으로 방역 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도를 평가해 재발을 막고 한강 이북지역의 돼지 반·출입을 원천 봉쇄할 방침이다.
김성식 경기도 축산산림국장은 "특별방역 대책 추진으로 ASF가 야생멧돼지에서 사육 돼지로 확산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하겠다"며 "효과적인 차단 방역을 위해서는 농장 내 출입 차량 통제, 울타리 설치와 기피제 살포, 생석회 살포 등 축산농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ASF는 돼지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급성의 경우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그러나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대부분 국가가 살처분 정책을 시행 중이다.
경기도에서는 지난해 9월 16일부터 10월 9일까지 모두 9건의 ASF가 발생, 207개 농가의 돼지 32만502마리가 살처분됐다.
야생멧돼지에서는 지난해 10월 3일부터 파주, 연천, 포천에 모두 326건이 발생했으며 올해 들어 급증하는 추세다.
/연합뉴스
6∼10월은 영농활동이 증가하고 멧돼지의 활동과 출몰이 빈번한 시기다.
이에 경기도는 한달 앞선 다음 달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특별방역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야생멧돼지를 통해 ASF가 전파되는 것을 막을 방침이다.
우선 지난해부터 운영한 'ASF 방역대책본부'를 계속해서 가동하고 24시간 상황반을 편성해 신고 접수 및 신속 대응할 계획이다.
ASF 발병 위험이 높은 포천, 고양, 양주, 동두천, 가평, 남양주 등 경기북부 6개 시 양돈 농가에는 원칙적으로 차량 진입을 금지한다.
또 한돈협회와 합동으로 쥐 잡기, 해충 작업 등을 해 매개체를 통한 ASF 바이러스 전파를 막는다.
도내에는 거점소독시설 28곳과 농가초소 162개를 운영하고 야생멧돼지 ASF 검출지역 10㎞ 이내 양돈 농가는 이동제한 등 특별관리에 들어간다.
이밖에 파주, 연천, 김포 등 ASF가 발병했던 농가를 대상으로 방역 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도를 평가해 재발을 막고 한강 이북지역의 돼지 반·출입을 원천 봉쇄할 방침이다.
김성식 경기도 축산산림국장은 "특별방역 대책 추진으로 ASF가 야생멧돼지에서 사육 돼지로 확산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하겠다"며 "효과적인 차단 방역을 위해서는 농장 내 출입 차량 통제, 울타리 설치와 기피제 살포, 생석회 살포 등 축산농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ASF는 돼지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급성의 경우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그러나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대부분 국가가 살처분 정책을 시행 중이다.
경기도에서는 지난해 9월 16일부터 10월 9일까지 모두 9건의 ASF가 발생, 207개 농가의 돼지 32만502마리가 살처분됐다.
야생멧돼지에서는 지난해 10월 3일부터 파주, 연천, 포천에 모두 326건이 발생했으며 올해 들어 급증하는 추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