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아침이 전쟁"…MS 실무자가 돌아본 원격수업 프로젝트 1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BS 플랫폼 동시접속 2천→300만명 1천500배 긴급확장…"급박한 간절함으로"
"코로나19 다시 올 것…그때도 지금 같이 대응해선 안 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맞서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은 의료진만이 아니다.
전국 모든 초·중·고등학생의 개학이 온라인으로 이뤄지면서 부랴부랴 원격수업 시스템을 준비한 IT업계도 전쟁 치르듯 한 달을 치열하게 보냈다.
EBS 원격수업 플랫폼을 지원한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의 김영욱 부장은 25일 '글로벌 애저 버추얼 코리아' 행사에서 이를 회고하며 "모든 게 결정되고 작업이 진행되기까지 한 달도 채 안 됐다"며 "많은 프로젝트를 해봤지만 이번엔 정말 시간이 없었다"고 운을 뗐다.
김 부장은 "요구사항도 갑자기 바뀌었다"며 "동시접속 2천명에서 중간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300만명으로 1천500배가 커졌다"고 전했다.
그는 "직업의식이나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사명감도 있었지만, 훨씬 더 급박한 간절함도 있었다"며 "매일 아침 대응을 위해서 MS 광화문 사무실에서 '워룸'이란 상황실을 만들었다.
정말 전쟁같이 준비했다"고 회고했다.
곧이어 EBS와 관련부처 및 업체 등이 모여 IT업체 '유비온'의 구로 사무실에 상황실을 차렸고, 여기서부터 일은 빠르게 진행되기 시작했다.
김 부장은 "서로 눈치 보지 않고 빠르게 의견을 제시했고, 어려운 정보들도 열어놓고 얘기하면서 기술적 문제가 해결됐다"고 전했다.
또 주무 부처인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물론 청와대에서도 지원을 나와 막힌 문제를 푸는 데 도움을 줬다고 그는 회고했다.
가령, 교사들이 학습 자료를 올리는 시간이 오전에 집중되며 부하 문제가 발생했는데, 그런 시간을 피해서 올리게 하는 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갔다는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로그인 지연 현상이었다.
오전 수업 시작 시간에 학생들이 한꺼번에 몰려오면서 접속 관문에서 병목현상이 일어났고, 교육 현장에서도 많은 불만이 터져 나왔다.
이때 구로동 워룸에서는 콘텐츠분산네트워크(CDN)를 적용해보는 게 어떠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CDN은 정적인 정보를 여러 지역의 서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로, 유튜브·넷플릭스 등 업체가 주로 활용한다.
김 부장은 "CDN을 놓고 나서는 게이트웨이에 접속 저하, 지연 현상이 없어졌다"며 "이 아이디어는 나중에 일반적인 사이트를 만들더라도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클라우드는 싸우는 과정에서도 성벽을 높일 수 있는 게 힘"이라며 "MS 한국 리전(데이터센터)은 아직 자원이 부족하진 않지만, 특정 부분에서는 EBS 때문에 쿼터(한도)를 넘어서는 증설을 해야 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사례를 거울삼아 새로운 원격수업 플랫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부장은 "관(官)에서 나온 높은 분들이 '뭐가 필요하냐' 물어봤을 때 '처음부터 만드는 게 필요하다.
미래를 위해서 꼭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코로나는 다시 올 것이다.
그때도 지금 같은 구조로 대응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다시 올 것…그때도 지금 같이 대응해선 안 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맞서 사투를 벌이는 사람들은 의료진만이 아니다.
전국 모든 초·중·고등학생의 개학이 온라인으로 이뤄지면서 부랴부랴 원격수업 시스템을 준비한 IT업계도 전쟁 치르듯 한 달을 치열하게 보냈다.
EBS 원격수업 플랫폼을 지원한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의 김영욱 부장은 25일 '글로벌 애저 버추얼 코리아' 행사에서 이를 회고하며 "모든 게 결정되고 작업이 진행되기까지 한 달도 채 안 됐다"며 "많은 프로젝트를 해봤지만 이번엔 정말 시간이 없었다"고 운을 뗐다.
김 부장은 "요구사항도 갑자기 바뀌었다"며 "동시접속 2천명에서 중간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300만명으로 1천500배가 커졌다"고 전했다.
그는 "직업의식이나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사명감도 있었지만, 훨씬 더 급박한 간절함도 있었다"며 "매일 아침 대응을 위해서 MS 광화문 사무실에서 '워룸'이란 상황실을 만들었다.
정말 전쟁같이 준비했다"고 회고했다.
곧이어 EBS와 관련부처 및 업체 등이 모여 IT업체 '유비온'의 구로 사무실에 상황실을 차렸고, 여기서부터 일은 빠르게 진행되기 시작했다.
김 부장은 "서로 눈치 보지 않고 빠르게 의견을 제시했고, 어려운 정보들도 열어놓고 얘기하면서 기술적 문제가 해결됐다"고 전했다.
또 주무 부처인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물론 청와대에서도 지원을 나와 막힌 문제를 푸는 데 도움을 줬다고 그는 회고했다.
가령, 교사들이 학습 자료를 올리는 시간이 오전에 집중되며 부하 문제가 발생했는데, 그런 시간을 피해서 올리게 하는 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갔다는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로그인 지연 현상이었다.
오전 수업 시작 시간에 학생들이 한꺼번에 몰려오면서 접속 관문에서 병목현상이 일어났고, 교육 현장에서도 많은 불만이 터져 나왔다.
이때 구로동 워룸에서는 콘텐츠분산네트워크(CDN)를 적용해보는 게 어떠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CDN은 정적인 정보를 여러 지역의 서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로, 유튜브·넷플릭스 등 업체가 주로 활용한다.
김 부장은 "CDN을 놓고 나서는 게이트웨이에 접속 저하, 지연 현상이 없어졌다"며 "이 아이디어는 나중에 일반적인 사이트를 만들더라도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클라우드는 싸우는 과정에서도 성벽을 높일 수 있는 게 힘"이라며 "MS 한국 리전(데이터센터)은 아직 자원이 부족하진 않지만, 특정 부분에서는 EBS 때문에 쿼터(한도)를 넘어서는 증설을 해야 했다"고 부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사례를 거울삼아 새로운 원격수업 플랫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부장은 "관(官)에서 나온 높은 분들이 '뭐가 필요하냐' 물어봤을 때 '처음부터 만드는 게 필요하다.
미래를 위해서 꼭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코로나는 다시 올 것이다.
그때도 지금 같은 구조로 대응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