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성평가연 "폼알데하이드 면역계 교란 가능성 밝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전성평가연구소는 호흡기질환 유효성평가 연구단 연구팀이 '폼알데하이드'가 면역계를 교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실내 대기 환경에 포함된 폼알데하이드는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면 접촉성 피부염과 호흡기, 눈 점막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실험쥐 모델에서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조절 T세포'에 폼알데하이드를 하루 4시간씩 2주 동안 노출했다.
그 결과 조절 T세포가 과발현되면서 면역억제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움 T세포'를 매개로 한 면역시스템에 폼알데하이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조절 T세포의 역할에 주목한 연구는 처음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폼알데하이드를 실험쥐의 무해 용량(㎥당 2.46㎎)보다 낮은 수준(㎥당 1.38㎎)으로 노출했음에도 면역 억제 현상이 확인됐다.
이규홍 연구단장은 "낮은 농도의 폼알데하이드에 노출되더라도 면역 교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며 "폼알데하이드와 호흡기 질환, 암 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실내 대기 환경에 포함된 폼알데하이드는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면 접촉성 피부염과 호흡기, 눈 점막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실험쥐 모델에서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조절 T세포'에 폼알데하이드를 하루 4시간씩 2주 동안 노출했다.
그 결과 조절 T세포가 과발현되면서 면역억제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움 T세포'를 매개로 한 면역시스템에 폼알데하이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조절 T세포의 역할에 주목한 연구는 처음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폼알데하이드를 실험쥐의 무해 용량(㎥당 2.46㎎)보다 낮은 수준(㎥당 1.38㎎)으로 노출했음에도 면역 억제 현상이 확인됐다.
이규홍 연구단장은 "낮은 농도의 폼알데하이드에 노출되더라도 면역 교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며 "폼알데하이드와 호흡기 질환, 암 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