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무기한·전권' 비대위원장 시사…"조기 전대 안돼"(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선 제대로 치를 준비까지는 해야…공천·막말·재난지원금이 참패 원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거론되는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은 22일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비대위원장을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당대회를 7월, 8월에 하겠다는 전제가 붙으면 나한테 와서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얘기할 필요도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통합당 당헌·당규상 규정된 '8월 31일 전당대회' 규정을 겨냥한 것으로,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한 '관리형'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위원장은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비대위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며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전 위원장은 '전당대회를 언제 한다는 것을 못 박지 말고 비대위를 출범해야 하느냐', '비대위원장에게 전권이 주어져야 하느냐'는 질문에 "당연하다.
당을 추스를 수 있는 기간은 일을 해봐야 안다"며 "전권이라는 것도 비대위원장이 되면 현행 당 대표의 권한을 갖는 것이다.
비대위 과정에서 웬만한 잡음은 제어할 수 있으니 신경 쓸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대선이 확실하게 보일 수 있도록 (비대위) 일을 해주고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
대선을 제대로 치를 수 있는 준비까지는 해줘야 한다"며 "대통령 임기가 2년밖에 안 남았고, 내년 3∼4월 이후부터는 대선 후보 선정 등이 시작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김 전 위원장은 통합당읜 총선 참패 원인으로 공천, 막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을 꼽았다.
그는 "잡음이 있었던 공천이 선거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며 "선거전에 들어가서는 황교안 전 대표의 n번방 발언과 김대호·차명진 후보의 막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처리를 미루면서 유권자들에게 실망을 줄 수밖에 없었다"고 진단했다.
이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니 정부의 역할이 높이 평가되는 상황도 나타났다"며 "특히 재난지원금을 준 것 자체가 유권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에 대해서는 "합칠 수도 있고, 합치지 않고 갈 수도 있지만 명목상 (미래한국당이) 정당인 것만은 틀림이 없다"며 "제가 보기엔 빨리 합친다고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무소속 당선인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 서두를 문제는 아니다"라며 "무소속 당선자들은 다들 다선 의원들이니 빨리 (당에) 들어와 나름대로 위치 설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겠지만, 그건 본인들 생각이고 실질적으로 당 사정은 검토해봐야 한다"고 했다.
당 쇄신 과정에서 '80년대·30대·00학번' 세대를 지칭하는 이른바 '830 세대' 역할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젊은 세대가 주도하는 정당이 나왔으면 해서 선거 시작 전 여러 접촉을 해봤는데,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능하지 않은 것 같다"며 "3040 세대가 나름의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고 노력해야 한다.
막연히 이 세대를 인위적으로 전면에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통합당이 당을 새롭게 창당하는 수준에서 지금까지 잘못을 국민에게 솔직히 시인하고 사과할 것은 사과한 뒤 다음 해야 할 일을 설정해야 한다"며 "국민이 더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당명으로 바꾸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밝혔다.
(끝)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거론되는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은 22일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비대위원장을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당대회를 7월, 8월에 하겠다는 전제가 붙으면 나한테 와서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얘기할 필요도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통합당 당헌·당규상 규정된 '8월 31일 전당대회' 규정을 겨냥한 것으로,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한 '관리형'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위원장은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비대위가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며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전 위원장은 '전당대회를 언제 한다는 것을 못 박지 말고 비대위를 출범해야 하느냐', '비대위원장에게 전권이 주어져야 하느냐'는 질문에 "당연하다.
당을 추스를 수 있는 기간은 일을 해봐야 안다"며 "전권이라는 것도 비대위원장이 되면 현행 당 대표의 권한을 갖는 것이다.
비대위 과정에서 웬만한 잡음은 제어할 수 있으니 신경 쓸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대선이 확실하게 보일 수 있도록 (비대위) 일을 해주고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
대선을 제대로 치를 수 있는 준비까지는 해줘야 한다"며 "대통령 임기가 2년밖에 안 남았고, 내년 3∼4월 이후부터는 대선 후보 선정 등이 시작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김 전 위원장은 통합당읜 총선 참패 원인으로 공천, 막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을 꼽았다.
그는 "잡음이 있었던 공천이 선거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며 "선거전에 들어가서는 황교안 전 대표의 n번방 발언과 김대호·차명진 후보의 막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처리를 미루면서 유권자들에게 실망을 줄 수밖에 없었다"고 진단했다.
이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니 정부의 역할이 높이 평가되는 상황도 나타났다"며 "특히 재난지원금을 준 것 자체가 유권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미래한국당과의 합당에 대해서는 "합칠 수도 있고, 합치지 않고 갈 수도 있지만 명목상 (미래한국당이) 정당인 것만은 틀림이 없다"며 "제가 보기엔 빨리 합친다고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무소속 당선인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 서두를 문제는 아니다"라며 "무소속 당선자들은 다들 다선 의원들이니 빨리 (당에) 들어와 나름대로 위치 설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겠지만, 그건 본인들 생각이고 실질적으로 당 사정은 검토해봐야 한다"고 했다.
당 쇄신 과정에서 '80년대·30대·00학번' 세대를 지칭하는 이른바 '830 세대' 역할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젊은 세대가 주도하는 정당이 나왔으면 해서 선거 시작 전 여러 접촉을 해봤는데,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능하지 않은 것 같다"며 "3040 세대가 나름의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고 노력해야 한다.
막연히 이 세대를 인위적으로 전면에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통합당이 당을 새롭게 창당하는 수준에서 지금까지 잘못을 국민에게 솔직히 시인하고 사과할 것은 사과한 뒤 다음 해야 할 일을 설정해야 한다"며 "국민이 더 쉽고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당명으로 바꾸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밝혔다.
(끝)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