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유지' 수준…심상정 제외 현역 도전자들 낙선 확실시
비례후보 '마지노선' 이자스민 당선 불투명…"악조건 속 의석 지켰지만 아쉬움 남아"
[선택 4·15] 정의당 5∼7석 전망…지역구 심상정만 '생환' 기대(종합)
정의당이 비례정당 출현이라는 '악조건'을 뚫고 분투한 끝에 6석 안팎의 의석을 확보하며 20대 총선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얻을 전망이다.

21대 총선 개표가 진행되는 16일 0시 기준 KBS 개표결과 예측 시스템에 따르면 정의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모두 포함해 5∼7석의 의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측됐다.

일단 현재 정의당의 의석수가 6석임을 고려하면 '현상 유지'는 가능할 전망이다.

하지만 당초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정의당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설명이다.

당초 정의당은 교섭단체(20석) 구성을 목표로 총선에 임했고, 적어도 10명 이상의 의원 배출을 내심 기대했다.

하지만 지역구에서는 심상정(경기 고양갑) 대표만 미래통합당 이경환 후보와의 초접전 끝에 승기를 잡았다.

정의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심 대표의 경우) 중계상 초접전으로 나오지만, 현장 투표를 확인한 결과 승리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나머지 지역구 후보들은 낙선이 확실시되는 상황이다.

특히 고(故) 노회찬 전 의원의 지역구를 물려받은 여영국(경남 창원 성산) 후보를 비롯해 윤소하(전남 목포)·이정미(인천 연수을)·추혜선(경기 안양 동안을)·김종대(충북 청주 상당) 후보 등 현역 의원들의 경우 당선권에서 멀어졌다.

여기에 진보·개혁진영의 '전략적 분산투표'를 기대했던 정당득표에서도 현재 8.5%를 기록하며 두 자릿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하면 류호정 당 IT산업노동특별위원장, 장혜영 다큐멘터리 감독, 강은미 전 부대표, 배진교 전 인천 남동구청장, 이은주 전 서울지하철노조 정책실장, 박창진 전 공공운수노조 대한항공 직원연대지부장까지 대략 6명의 후보가 당선권으로 예상된다.

정의당이 내심 '마지노선'으로 삼았던 비례대표 명부 8번의 이자스민 전 의원의 경우 당선 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이번 총선으로 정의당은 지역구 경쟁력 문제를 다시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민주당과의 후보 단일화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소선거구제인 지역구의 벽을 뚫기는 어렵다는 현실을 다시 절감한 것이다.

여기에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왜곡하는 거대정당의 비례정당과의 경쟁에서 뾰족이 대응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이었다는 점도 향후 되돌아봐야 할 대목으로 거론된다.

지역구의 높은 벽을 넘지 못하는 소수정당의 원내 진출이라는 '대의'를 내세워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가장 적극적으로 밀어붙였지만, 결과적으로는 비례 위성정당의 출현에 효과적으로 대비하지 못한 모양새다.

다만 일각에서는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선전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실제 정당득표율을 놓고 보면, 정의당 창당 이후 처음 치른 지난 총선(7.23%) 때보다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비례정당 등 많은 어려움 속에서 현재 의석을 지키긴 했지만, 아쉬움은 남는다"며 "정의당은 21대 국회에서도 개혁을 위해 목소리를 계속 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