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산업 붕괴 우려…골든타임 놓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코로나19 사태로 모든 하늘길이 막히면서 대형 항공사부터 하청업체까지 항공업계 전반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습니다.
이미 시작된 `감원 칼바람`에 업계 안팎에선 국내 항공산업이 붕괴 되는 건 아니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세계 하늘길이 막히면서 국제선 이용객수가 지난해에 비해 96% 급감했습니다.
국적 항공사 여객기 87%는 주기장에 세워져 있지만 언제 날 수 있을지 기약도 없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형 항공사부터 하청업체까지 곡소리가 납니다.
이스타항공은 수습 부기장 80여 명을 계약 해지한데 이어 직원의 20%인 300여 명을 정리 해고키로 했습니다.
국적항공사 1위 대한항공도 직원 10명 중 7명이 반 년 간 휴직에 들어갑니다.
국내 8개 항공사 모두 임금 반납과 유·무급 휴직으로 버티고 있는 가운데 조만간 희망퇴직 카드를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비행기가 멈추면서 기내식과 청소 등을 담당하는 항공사 하청업체에도 `감원 칼바람`이 불어 닥쳤습니다.
<인터뷰> 김세용 대한항공 기내식센터 수석
"협력업체 직원 2천 명 중 절반 이상이 권고사직을 한 상태고, 남은 1천 명 중 많은 분들이 유·무급 휴직중입니다"
문제는 구조조정만으로는 위기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하늘길이 막히고 손님이 없어도 항공기 대여료와 정비비, 공항 주기비용 등은 계속 나갑니다.
항공 산업의 고정비 비중은 35~40% 수준.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영업비용과 이자 비용만 계산해도 대한항공은 월평균 8,800억 원, 제주항공은 1,000억 원 가량의 현금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국적항공사 절반이 한 달 치 고정비용을 낼 현금(보유 현금성 자산)조차 없는 상황입니다.
이스타항공에 이어 에어서울도 자본잠식 상태고, 대형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도 자본잠식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업계에선 "당장 업체 1~2곳이 부도 선언을 해도 이상할 것 없는 상황"이라는 얘기까지 나옵니다.
항공업계 줄도산이 우려되고 있지만 정부는 기업의 자구노력과 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선미입니다.
신선미기자 ss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로나19 사태로 모든 하늘길이 막히면서 대형 항공사부터 하청업체까지 항공업계 전반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습니다.
이미 시작된 `감원 칼바람`에 업계 안팎에선 국내 항공산업이 붕괴 되는 건 아니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신선미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세계 하늘길이 막히면서 국제선 이용객수가 지난해에 비해 96% 급감했습니다.
국적 항공사 여객기 87%는 주기장에 세워져 있지만 언제 날 수 있을지 기약도 없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형 항공사부터 하청업체까지 곡소리가 납니다.
이스타항공은 수습 부기장 80여 명을 계약 해지한데 이어 직원의 20%인 300여 명을 정리 해고키로 했습니다.
국적항공사 1위 대한항공도 직원 10명 중 7명이 반 년 간 휴직에 들어갑니다.
국내 8개 항공사 모두 임금 반납과 유·무급 휴직으로 버티고 있는 가운데 조만간 희망퇴직 카드를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비행기가 멈추면서 기내식과 청소 등을 담당하는 항공사 하청업체에도 `감원 칼바람`이 불어 닥쳤습니다.
<인터뷰> 김세용 대한항공 기내식센터 수석
"협력업체 직원 2천 명 중 절반 이상이 권고사직을 한 상태고, 남은 1천 명 중 많은 분들이 유·무급 휴직중입니다"
문제는 구조조정만으로는 위기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하늘길이 막히고 손님이 없어도 항공기 대여료와 정비비, 공항 주기비용 등은 계속 나갑니다.
항공 산업의 고정비 비중은 35~40% 수준.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영업비용과 이자 비용만 계산해도 대한항공은 월평균 8,800억 원, 제주항공은 1,000억 원 가량의 현금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국적항공사 절반이 한 달 치 고정비용을 낼 현금(보유 현금성 자산)조차 없는 상황입니다.
이스타항공에 이어 에어서울도 자본잠식 상태고, 대형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부산도 자본잠식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업계에선 "당장 업체 1~2곳이 부도 선언을 해도 이상할 것 없는 상황"이라는 얘기까지 나옵니다.
항공업계 줄도산이 우려되고 있지만 정부는 기업의 자구노력과 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선미입니다.
신선미기자 ss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