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 위기 대구 학원가 "인내 한계…지원 없으면 문 열 수밖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달 넘도록 휴원율 90%대…코로나19 장기화로 임대료·인건비 부담 '눈덩이'
개원 늘고 재정 보조까지 받는 타지역에 상대적 박탈감까지 대구지역 학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문을 열지 못하는 기간이 기약 없이 길어지자 "더는 견디기 어렵다"며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적잖은 학원들은 현실적인 지원책이 없으면 영업을 재개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도 보인다.
대구시교육청과 대구시학원총연합회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대구에는 학원 4천286곳, 교습소 3천432곳 등 총 7천718곳이 운영 중이다.
이들 학원·교습소는 코로나19 확산하기 시작한 2월 21일에는 휴원율이 46%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달 23일 대구에서만 확진자 수가 300명을 넘어서고 지역 첫 사망자까지 발생하면서 휴원율은 94%까지 치솟았다.
10곳 중 9곳이 넘는 비율로 운영을 중단한 것이다.
휴원율은 98%(2월 27∼28일)까지 올라 정점을 찍은 후 3월 내내 94% 안팎 수준을 유지했다.
이처럼 높은 휴원율은 코로나19의 급속 확산과 막심한 피해, 이를 극복하려는 보건·교육 당국의 조처, 시민들의 '사회적 거리 두기' 동참 등을 고려하면 필수적이고 불가피한 결과다.
그러나 사태 장기화로 정부가 수차례 개학을 연기한 데 이어 4월 중 온라인 개학을 결정함에 따라, 지역 학원들은 휴원을 계속 이어가기 어려운 임계점에 도달한 상태라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휴원율에도 개원이 점차 늘고, 일부 지자체가 학원들에 재정적 보조를 하는 상황까지 고려하면 대구 학원들의 박탈감은 더 큰 실정이다.
3월 말 기준 서울지역 학원·교습소 휴원율은 약 17%에 불과하다.
광역시는 광주 8%, 부산 60%, 울산 23% 등으로 지역별 편차가 크지만, 모두 대구와는 큰 격차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북도는 학원당 70만원을, 대전시는 50만원을 지급하는 등 일부 지자체가 휴원 학원 운영비와 강사 임금 보전을 약속했지만, 대구에서는 이런 지원책마저 없다.
한 학원장은 "원장 한 명이 운영하는 교습소는 당장 생계가 문제고, 대형 학원은 막대한 임대료와 강사 임금 부담으로 더는 버티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강의실 소독을 철저히 하면서 소수 수강생을 대상으로 시차를 두고 수업을 진행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 개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대구시학원총연합회는 3월 말 전체 회원들을 상대로 지자체 긴급지원과 휴원 지속 여부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다.
조사에 응한 1천400여 학원·교습소의 70%가 '4월 중 개원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지자체 차원의 구체적인 지원책이 있으면 휴원을 이어갈 수 있다'는 응답률도 82%로 나왔다.
연합회는 코로나19 피해로 도움이 필요한 분야와 지원 규모로 학원 강사와 교습소 운영자 생계비 236억원, 평생교육시설 강사 생계비 20억원, 학원·교습소 임대료 118억원 등으로 산정했다.
이 단체는 이런 자료를 근거로 시교육청과 대구시에 재정 보조 등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다.
정동화 대구시학원총연합회장은 "대구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오랜 기간 휴원에 동참했지만, 이제는 존폐가 불투명할 정도로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한 학원들이 많다"면서 "'언제까지 어느 수준을 지원한다'는 수준의 확답이 없으면 개원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은 만큼, 지방정부와 교육청의 협력과 도움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개원 늘고 재정 보조까지 받는 타지역에 상대적 박탈감까지 대구지역 학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문을 열지 못하는 기간이 기약 없이 길어지자 "더는 견디기 어렵다"며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적잖은 학원들은 현실적인 지원책이 없으면 영업을 재개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도 보인다.
대구시교육청과 대구시학원총연합회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대구에는 학원 4천286곳, 교습소 3천432곳 등 총 7천718곳이 운영 중이다.
이들 학원·교습소는 코로나19 확산하기 시작한 2월 21일에는 휴원율이 46%를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달 23일 대구에서만 확진자 수가 300명을 넘어서고 지역 첫 사망자까지 발생하면서 휴원율은 94%까지 치솟았다.
10곳 중 9곳이 넘는 비율로 운영을 중단한 것이다.
휴원율은 98%(2월 27∼28일)까지 올라 정점을 찍은 후 3월 내내 94% 안팎 수준을 유지했다.
이처럼 높은 휴원율은 코로나19의 급속 확산과 막심한 피해, 이를 극복하려는 보건·교육 당국의 조처, 시민들의 '사회적 거리 두기' 동참 등을 고려하면 필수적이고 불가피한 결과다.
그러나 사태 장기화로 정부가 수차례 개학을 연기한 데 이어 4월 중 온라인 개학을 결정함에 따라, 지역 학원들은 휴원을 계속 이어가기 어려운 임계점에 도달한 상태라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휴원율에도 개원이 점차 늘고, 일부 지자체가 학원들에 재정적 보조를 하는 상황까지 고려하면 대구 학원들의 박탈감은 더 큰 실정이다.
3월 말 기준 서울지역 학원·교습소 휴원율은 약 17%에 불과하다.
광역시는 광주 8%, 부산 60%, 울산 23% 등으로 지역별 편차가 크지만, 모두 대구와는 큰 격차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북도는 학원당 70만원을, 대전시는 50만원을 지급하는 등 일부 지자체가 휴원 학원 운영비와 강사 임금 보전을 약속했지만, 대구에서는 이런 지원책마저 없다.
한 학원장은 "원장 한 명이 운영하는 교습소는 당장 생계가 문제고, 대형 학원은 막대한 임대료와 강사 임금 부담으로 더는 버티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강의실 소독을 철저히 하면서 소수 수강생을 대상으로 시차를 두고 수업을 진행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 개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대구시학원총연합회는 3월 말 전체 회원들을 상대로 지자체 긴급지원과 휴원 지속 여부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다.
조사에 응한 1천400여 학원·교습소의 70%가 '4월 중 개원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지자체 차원의 구체적인 지원책이 있으면 휴원을 이어갈 수 있다'는 응답률도 82%로 나왔다.
연합회는 코로나19 피해로 도움이 필요한 분야와 지원 규모로 학원 강사와 교습소 운영자 생계비 236억원, 평생교육시설 강사 생계비 20억원, 학원·교습소 임대료 118억원 등으로 산정했다.
이 단체는 이런 자료를 근거로 시교육청과 대구시에 재정 보조 등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다.
정동화 대구시학원총연합회장은 "대구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오랜 기간 휴원에 동참했지만, 이제는 존폐가 불투명할 정도로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한 학원들이 많다"면서 "'언제까지 어느 수준을 지원한다'는 수준의 확답이 없으면 개원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은 만큼, 지방정부와 교육청의 협력과 도움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