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주한 외교단을 상대로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노력을 설명하기 위해 국제회의장에 도착해 자리에 앉고 있다./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주한 외교단을 상대로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노력을 설명하기 위해 국제회의장에 도착해 자리에 앉고 있다./연합뉴스
한국으로부터의 입국을 제한하는 국가들 숫자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주한 외교단을 초청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한국 정부의 방역 현황과 노력을 직접 설명까지 했지만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8일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 한국 방문자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한 국가 및 지역은 모두 103곳이다. 유엔 회원국(193국)을 기준으로 여전히 절반이 넘는 곳에서 한국발 입국자들을 제한하고 있는 셈이다.

강 장관은 지난 6일 112개 대사관 및 국제기구 관계자들을 불러 놓고 한국 정부가 일일 1만8000건의 검사를 진행하고 있고, 차를 타고 검진이 가능한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도입하는 등의 정부의 방역 노력을 설명했다. 이튿날 아프리카 중서부의 섬나라 상투메프린시페가 입국금지 조치를 철회했지만, 부탄과 오스트리아가 한국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하면서 한국발 입국자들을 제한하는 국가는 오히려 늘어났다.

그동안 정부는 한국발 입국제한 조치가 소규모 섬나라나 방역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뤄졌다고 강조해왔다. 그러나 최근 호주와 싱가포르 일본 등 방역 선진국으로 알려진 나라들도 입국제한 조치를 들고 나오는 모양새다.

현재까지 한국 전역에 대한 입국금지 조치를 취한 국가 지역은 몽골, 사모아, 싱가포르, 호주, 홍콩, 카자흐스탄, 터키, 이라크, 요르단, 이스라엘, 카타르, 모리셔스, 앙골라 등 36곳이다. 대구와 경북 등 한국 일부 지역에 대한 입국금지 조치를 한 나라는 말레이시아, 몰디브, 미얀마,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등 6곳이다.

한국발 승객이 입국하면 격리시키는 국가 및 지역은 중국 일부 성을 비롯해 베트남, 마카오, 루마니아, 우즈베키스탄, 오만, 가봉 등 15개다. 도착비자 발급 중단, 자가격리, 도착 시 발열검사, 검역 신고서 확인 등 검역을 강화하거나 권고사항을 제시한 국가 및 지역은 뉴질랜드, 대만, 인도, 태국, 멕시코,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 덴마크, 러시아, 영국,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케냐 등 46개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