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생산성 높이는 기회"...현실적 공론화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임시로 재택근무가 실시되고 있지만 선진국에선 이미 보편적인 근무형태로 자리 잡은지 오래됐습니다.
대면근무에 비해 생산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인데요.
국내 현실을 반영한 구체적인 실행안이 만들어진다면 기업도 근로자도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신용훈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기업들 가운데 재택근무를 도입한 비율은 4.1% 수준.(2016년기준,고용노동부)
네덜란드는 59%, 미국 38%, 일본이 11.5%인 것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입니다.
경직된 근로환경 탓에 일·가정 양립지수는 4.1로 OECD 40개국 중 37위입니다.
1위인 네덜란드(9.5)와 비교하면 절반이 채 되지 않고, 헝가리아 칠레보다도 낮습니다.
선진국에선 이미 수십년 전부터 활성화 된 재택근무가 유독 우리나라에 뿌리내지리 못하는 이유는 대면보고와 회의, 근태위주의 조직문화가 꼽힙니다.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가 내놓은 `한국기업의 조직건강도와 기업문화 진단` 보고서를 보면 총 업무시간의 43%가 회의와 임원보고에 쓰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시간당 노동 생산성은 `36`으로 재택근무 도입률이 높은 미국(64.2)과 네널란드(61.5)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뒤쳐지고 있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도 재택근무를 도입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정섭 한국정보화진흥원 수석연구원
"(기업들도) 비용도 절감되고 인력운용의 효율성이 향상됐다, 그리고 대외 기업 이미지도 개선이 됐고 직원 채용시에도 직원들이 긍정적으로 보는 측면이 있다고..."
다만 재택근무를 직종별·직군별 일괄 적용할 수는 없다는 점
업무집중도 하락과 아이디어 공유 부재 등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수용가능한 업종을 중심으로 재택근무를 우선 도입하고 그 밖의 업종은 유연근무제 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특히, 회사와 직원간의 신뢰를 구축하고 성과중심의 평가시스템을 도입해 원격근무의 단점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인터뷰>박준 대한상공회의소 기업문화팀장
"사무실에서 일하나 집에서 일하나 우리직원들은 일을 충실히 하고 열심히 하고 있다는 신뢰관계가 문화로 자리잡아야 하겠고, 성과중심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 구축이 되면..."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과 고용 탄력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재택근무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임시로 적용되고 있지만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만큼 현실적인 공론화 시점이 됐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 입니다.
신용훈기자 syh@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앞서 보신 것처럼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임시로 재택근무가 실시되고 있지만 선진국에선 이미 보편적인 근무형태로 자리 잡은지 오래됐습니다.
대면근무에 비해 생산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인데요.
국내 현실을 반영한 구체적인 실행안이 만들어진다면 기업도 근로자도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신용훈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기업들 가운데 재택근무를 도입한 비율은 4.1% 수준.(2016년기준,고용노동부)
네덜란드는 59%, 미국 38%, 일본이 11.5%인 것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입니다.
경직된 근로환경 탓에 일·가정 양립지수는 4.1로 OECD 40개국 중 37위입니다.
1위인 네덜란드(9.5)와 비교하면 절반이 채 되지 않고, 헝가리아 칠레보다도 낮습니다.
선진국에선 이미 수십년 전부터 활성화 된 재택근무가 유독 우리나라에 뿌리내지리 못하는 이유는 대면보고와 회의, 근태위주의 조직문화가 꼽힙니다.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가 내놓은 `한국기업의 조직건강도와 기업문화 진단` 보고서를 보면 총 업무시간의 43%가 회의와 임원보고에 쓰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시간당 노동 생산성은 `36`으로 재택근무 도입률이 높은 미국(64.2)과 네널란드(61.5)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뒤쳐지고 있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도 재택근무를 도입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정섭 한국정보화진흥원 수석연구원
"(기업들도) 비용도 절감되고 인력운용의 효율성이 향상됐다, 그리고 대외 기업 이미지도 개선이 됐고 직원 채용시에도 직원들이 긍정적으로 보는 측면이 있다고..."
다만 재택근무를 직종별·직군별 일괄 적용할 수는 없다는 점
업무집중도 하락과 아이디어 공유 부재 등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수용가능한 업종을 중심으로 재택근무를 우선 도입하고 그 밖의 업종은 유연근무제 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특히, 회사와 직원간의 신뢰를 구축하고 성과중심의 평가시스템을 도입해 원격근무의 단점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인터뷰>박준 대한상공회의소 기업문화팀장
"사무실에서 일하나 집에서 일하나 우리직원들은 일을 충실히 하고 열심히 하고 있다는 신뢰관계가 문화로 자리잡아야 하겠고, 성과중심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 구축이 되면..."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과 고용 탄력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재택근무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임시로 적용되고 있지만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만큼 현실적인 공론화 시점이 됐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 입니다.
신용훈기자 syh@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