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사 권익 뒷전인 금투협회…금감원 '눈치보기'인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장에서
라임 사태 이후 업계 불신 커지자
자체 현황 조사…'이상 없음' 확인
금감원 핑계로 발표 미루다 비공개
업계 "회원사 대변하는 기관 맞나"
이호기 증권부 기자
라임 사태 이후 업계 불신 커지자
자체 현황 조사…'이상 없음' 확인
금감원 핑계로 발표 미루다 비공개
업계 "회원사 대변하는 기관 맞나"
이호기 증권부 기자
“금융투자협회가 정말 회원사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기관이 맞기는 한 겁니까.”
‘한국형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한 국내 자산운용사 대표는 최근 금융투자협회의 행보에 분통을 터뜨렸다. 금융투자협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회원 조직으로 국내 증권·자산운용·선물·신탁회사 등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정회원 304개사 가운데 75%인 229개사가 자산운용사다. 이들 중 대다수는 전문사모운용사로 주식 채권 파생금융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 시황에 관계없이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한국형 헤지펀드를 운용한다.
최근 라임자산운용과 알펜루트자산운용 등의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로 한국형 헤지펀드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지자 전문사모운용사들은 지난달 말 긴급 사장단 모임을 열었다. ‘라임 유사펀드가 또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시장에 팽배한 상황에서 이를 해소해줄 협회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따라 협회는 사모 헤지펀드를 대상으로 긴급 현황 조사에 착수했다. 우선 상위 50개사로부터 운용 펀드 자료를 제출받아 자체 분석에 나섰다.
그 결과 전체 개방형 펀드(173조원) 가운데 비유동성 사모사채 및 메자닌(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채권) 자산 비중은 1조5000억원으로 1%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라임 사태를 키운 주범으로 알려진 증권사의 총수익스와프(TRS) 규모 비중도 3.7%(6조40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TRS를 낀 무리한 개방형 펀드 운용이 대다수 다른 운용사엔 별다른 해당 사항이 없었음이 드러난 셈이다.
협회는 당초 이 같은 결과를 언론에 공식 발표하려고 했지만 한 달가량을 미적거린 끝에 결국 공개 방침을 접었다. 협회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에서 전체 전문사모운용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고 있어 일부 회사만 먼저 발표될 경우 오히려 시장에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해 왔다”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사진)이 금감원 눈치를 보느라 정작 회원사 권익 보호에는 소홀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 전문사모운용사 대표는 “라임 사태로 업계 전체가 부도덕한 집단으로 매도되고 있는데도 협회가 금감원만을 지나치게 의식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나 회장 스스로도 이번 라임 사태와 무관하지 않은 게 ‘족쇄’로 작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지난해 말까지 나 회장이 최고경영자(CEO)로 근무한 대신증권은 라임 펀드를 가장 많이 팔았던 판매사로 불완전판매·사기 등 혐의를 받아 27일 서울남부지검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향후 대신증권에 대한 금감원 제재 결과에 따라 회장직 수행에 영향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본시장법과 지배구조법에 따르면 대신증권이 금감원으로부터 대표이사 해임 등의 중징계를 받을 경우 당시 CEO였던 나 회장은 회장직을 상실한다. 협회 내부에선 나 회장이 최근 자신의 업무와 별 관련 없는 금감원 특별사법경찰 고위 관계자를 면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전 소명을 하려 한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제기된다.
나 회장이 이 같은 의혹을 불식시키려면 협회가 라임 사태를 계기로 투자자 및 회원사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펼치고 있는지부터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할 것 같다.
hglee@hankyung.com
‘한국형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한 국내 자산운용사 대표는 최근 금융투자협회의 행보에 분통을 터뜨렸다. 금융투자협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회원 조직으로 국내 증권·자산운용·선물·신탁회사 등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정회원 304개사 가운데 75%인 229개사가 자산운용사다. 이들 중 대다수는 전문사모운용사로 주식 채권 파생금융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 시황에 관계없이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한국형 헤지펀드를 운용한다.
최근 라임자산운용과 알펜루트자산운용 등의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로 한국형 헤지펀드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지자 전문사모운용사들은 지난달 말 긴급 사장단 모임을 열었다. ‘라임 유사펀드가 또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시장에 팽배한 상황에서 이를 해소해줄 협회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따라 협회는 사모 헤지펀드를 대상으로 긴급 현황 조사에 착수했다. 우선 상위 50개사로부터 운용 펀드 자료를 제출받아 자체 분석에 나섰다.
그 결과 전체 개방형 펀드(173조원) 가운데 비유동성 사모사채 및 메자닌(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채권) 자산 비중은 1조5000억원으로 1%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라임 사태를 키운 주범으로 알려진 증권사의 총수익스와프(TRS) 규모 비중도 3.7%(6조40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TRS를 낀 무리한 개방형 펀드 운용이 대다수 다른 운용사엔 별다른 해당 사항이 없었음이 드러난 셈이다.
협회는 당초 이 같은 결과를 언론에 공식 발표하려고 했지만 한 달가량을 미적거린 끝에 결국 공개 방침을 접었다. 협회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에서 전체 전문사모운용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고 있어 일부 회사만 먼저 발표될 경우 오히려 시장에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해 왔다”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사진)이 금감원 눈치를 보느라 정작 회원사 권익 보호에는 소홀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 전문사모운용사 대표는 “라임 사태로 업계 전체가 부도덕한 집단으로 매도되고 있는데도 협회가 금감원만을 지나치게 의식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나 회장 스스로도 이번 라임 사태와 무관하지 않은 게 ‘족쇄’로 작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지난해 말까지 나 회장이 최고경영자(CEO)로 근무한 대신증권은 라임 펀드를 가장 많이 팔았던 판매사로 불완전판매·사기 등 혐의를 받아 27일 서울남부지검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향후 대신증권에 대한 금감원 제재 결과에 따라 회장직 수행에 영향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본시장법과 지배구조법에 따르면 대신증권이 금감원으로부터 대표이사 해임 등의 중징계를 받을 경우 당시 CEO였던 나 회장은 회장직을 상실한다. 협회 내부에선 나 회장이 최근 자신의 업무와 별 관련 없는 금감원 특별사법경찰 고위 관계자를 면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전 소명을 하려 한 것 아니냐는 추측까지 제기된다.
나 회장이 이 같은 의혹을 불식시키려면 협회가 라임 사태를 계기로 투자자 및 회원사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펼치고 있는지부터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할 것 같다.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