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때 하락 후 곧바로 회복하던 과거 패턴과 달라져
한은 '최근 소비성향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


50대 이상 가구가 노후 소득에 대한 불안감으로 지갑을 닫으면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소비성향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한국은행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김대용 차장과 서정원 조사역은 24일 조사통계월보에 실린 '최근 소비성향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를 내놨다.

이들은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가구의 소비성향 변동요인을 분석했다.

소비성향(평균소비성향)이란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의 비율을 나타낸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들어 일정 수준을 유지하던 소비성향은 2012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2015년 들어 소폭 반등하긴 했지만 경기침체 때 단기간 하락 후 바로 회복하곤 하던 과거 패턴과는 달리 장기간 하락 후에도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상황이다.

분석 결과 이 같은 소비성향 하락은 50대 이상 가구와 고소득층 가구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구재보다 의식주와 관련한 필수지출 항목이 전체 소비성향 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2년來 소비성향 하락 배경…"노후불안에 지갑닫은 50대이상"
이런 소비성향 하락 배경에는 50대 이상 가구의 미래 기대소득 변화가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고서는 판단했다.

김 차장은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노후 소득원이 안정적이지 않다 보니 50대 이상 가구를 중심으로 미래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적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런 미래소득 우려가 2012년 이후 소비성향 하락에 상당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통상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의 가치가 상승할 경우 씀씀이를 늘리는 경향(자산효과)이 나타난다는 게 경제이론의 설명인데, 국내 가구의 경우 가구주 연령대가 높아지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이런 효과도 낮게 나타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김 차장은 "최근 소비성향 변동은 인구 고령화라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어 2000년대 초중반과 같은 수준의 소비성향으로의 복귀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50대 이상 가구가 기대소득 변동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만큼 향후 정책을 추진할 때 미래소득에 대한 급격한 기대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