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한은, 사스·메르스땐 즉각 금리인하…이번에도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예전보다 코로나19가 더 심각…선제적 대응 필요"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급속히 확산하면서 오는 27일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의 선택에 금융시장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은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1.25%에서 1.00%로 낮출 것으로 예상하는 증권업계 전문가들이 점차 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21일자 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강한 전파력이 확인되면서 시장의 분위기가 달라졌다"며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김명실 연구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과 실물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가 경기 방어에 적극 나서는 상황에서 한은의 금리 인하 명분도 커졌다"고 진단했다.
대신증권도 "이달 중순까지 안정세를 보이던 코로나19 확진자 숫자가 이후 급증하면서 경제적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 대응이 필요해졌다"며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교보증권은 지난달 금통위가 국내 경기 부진이 일부 완화하고 있다고 평가한 데 대해 "코로나19 이슈가 확대되면서 이런 평가는 더는 유효하지 않다"며 "추경 편성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앞서 지난 14일 이주열 한은 총재는 코로나19 사태에 대해 "국내경제 영향을 예단하기에는 아직은 이르고 지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혀 사실상 인하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당시는 확진자가 28명에 그쳤고 나흘째 새 환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사태 조기 종식의 기대감이 적지 않았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 사태의 경제적 타격에 대해 "선제적인 특단의 대응을 강구해 주길 바란다"고 주문하고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에 통화·재정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을 권고하면서 기류가 바뀌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지난 18일까지 31명에 그쳤던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19일 51명, 20일 107명, 21일 204명, 22일 433명 등 폭발적으로 늘고 사망자도 2명 발생하는 등 상황이 한층 심각해지면서 증권업계에서는 한은이 조속히 행동에 나서리라는 전망에 점차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과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당시 한은의 움직임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된다.
지난 2003년 4월 29일 국내 첫 사스 추정환자가 발생한 이후 한은은 바로 그 직후 금통위(5월 13일)에서 "사스·북핵 문제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4%를 밑돌 것으로 전망돼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기준금리를 종전 4.25%에서 4.00%로 낮췄다.
2015년에도 5월 20일 국내 첫 메르스 환자 확진 판정이 나오자 한은은 다음 달인 6월 11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1.50%에서 1.25%로 인하했다.
당시 이주열 총재는 "메르스로 인해 서비스업 등의 타격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며 "경제 주체들의 심리와 실물경제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미리 완화하려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메르스 사태 당시 총 확진자 수 186명을 이미 훌쩍 뛰어넘은 상황에서 이 총재와 한은이 이번에도 메르스 때처럼 즉각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내수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고 경제 심리가 극단적으로 위축되는 단계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1분기 거시지표가 나오기 전에 한은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시장 안정 등 실제적인 효과를 내고 경제 주체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명실 연구원도 "이주열 총재와 한은이 메르스 당시 대응한 방식이나 작년 7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보다 먼저 금리 인하를 전격적으로 단행한 점을 보면 금리 인하를 다음으로 늦추는 것은 그간 한은의 자세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메르스 때와 비교하면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 속도가 더 빠르고 중국 경제의 세계적 영향력이 훨씬 커져서 우리 경제 타격도 당시보다 더 클 수 있다"며 "이번에 금리를 낮춰야 소비자 심리 안정 등 상징적인 효과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한은이 기존 자세대로 이번에 일단 경기 추이를 지켜본 뒤 오는 4월 금통위에서 인하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도 여전히 적지 않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런 이벤트가 벌어졌을 때 1순위는 금리 인하보다는 직접적인 재정정책"이라며 "추경을 빨리 해서 정부가 자금을 직접 지원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리 정책은 효과가 즉각 나타나지 않는 중장기적인 정책이므로 인하를 이번 또는 다음에 할지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한은이 이번에는 금리를 동결하고 정부 재정정책이 나온 이후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박희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도 "코로나19 확진자 수 급증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도 커졌지만, 시간을 두고 효과가 나타나는 금리 인하보다 즉각 효력을 기대할 수 있는 재정정책이나 긴급 유동성 조치가 더 적절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금리 동결 쪽에 무게를 실었다.
이에 따라 다음 주에도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추세가 지속할지가 경제 주체 심리와 내수 경기를 좌우하는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여 한은의 선택이 주목된다.
/연합뉴스
2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은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1.25%에서 1.00%로 낮출 것으로 예상하는 증권업계 전문가들이 점차 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21일자 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강한 전파력이 확인되면서 시장의 분위기가 달라졌다"며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김명실 연구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과 실물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가 경기 방어에 적극 나서는 상황에서 한은의 금리 인하 명분도 커졌다"고 진단했다.
대신증권도 "이달 중순까지 안정세를 보이던 코로나19 확진자 숫자가 이후 급증하면서 경제적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 대응이 필요해졌다"며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교보증권은 지난달 금통위가 국내 경기 부진이 일부 완화하고 있다고 평가한 데 대해 "코로나19 이슈가 확대되면서 이런 평가는 더는 유효하지 않다"며 "추경 편성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앞서 지난 14일 이주열 한은 총재는 코로나19 사태에 대해 "국내경제 영향을 예단하기에는 아직은 이르고 지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혀 사실상 인하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당시는 확진자가 28명에 그쳤고 나흘째 새 환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사태 조기 종식의 기대감이 적지 않았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후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19 사태의 경제적 타격에 대해 "선제적인 특단의 대응을 강구해 주길 바란다"고 주문하고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에 통화·재정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을 권고하면서 기류가 바뀌기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지난 18일까지 31명에 그쳤던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19일 51명, 20일 107명, 21일 204명, 22일 433명 등 폭발적으로 늘고 사망자도 2명 발생하는 등 상황이 한층 심각해지면서 증권업계에서는 한은이 조속히 행동에 나서리라는 전망에 점차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과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당시 한은의 움직임도 이 같은 전망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된다.
지난 2003년 4월 29일 국내 첫 사스 추정환자가 발생한 이후 한은은 바로 그 직후 금통위(5월 13일)에서 "사스·북핵 문제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4%를 밑돌 것으로 전망돼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기준금리를 종전 4.25%에서 4.00%로 낮췄다.
2015년에도 5월 20일 국내 첫 메르스 환자 확진 판정이 나오자 한은은 다음 달인 6월 11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1.50%에서 1.25%로 인하했다.
당시 이주열 총재는 "메르스로 인해 서비스업 등의 타격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며 "경제 주체들의 심리와 실물경제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미리 완화하려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메르스 사태 당시 총 확진자 수 186명을 이미 훌쩍 뛰어넘은 상황에서 이 총재와 한은이 이번에도 메르스 때처럼 즉각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내수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고 경제 심리가 극단적으로 위축되는 단계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1분기 거시지표가 나오기 전에 한은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시장 안정 등 실제적인 효과를 내고 경제 주체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명실 연구원도 "이주열 총재와 한은이 메르스 당시 대응한 방식이나 작년 7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보다 먼저 금리 인하를 전격적으로 단행한 점을 보면 금리 인하를 다음으로 늦추는 것은 그간 한은의 자세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메르스 때와 비교하면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 속도가 더 빠르고 중국 경제의 세계적 영향력이 훨씬 커져서 우리 경제 타격도 당시보다 더 클 수 있다"며 "이번에 금리를 낮춰야 소비자 심리 안정 등 상징적인 효과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한은이 기존 자세대로 이번에 일단 경기 추이를 지켜본 뒤 오는 4월 금통위에서 인하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도 여전히 적지 않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런 이벤트가 벌어졌을 때 1순위는 금리 인하보다는 직접적인 재정정책"이라며 "추경을 빨리 해서 정부가 자금을 직접 지원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리 정책은 효과가 즉각 나타나지 않는 중장기적인 정책이므로 인하를 이번 또는 다음에 할지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한은이 이번에는 금리를 동결하고 정부 재정정책이 나온 이후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박희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도 "코로나19 확진자 수 급증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도 커졌지만, 시간을 두고 효과가 나타나는 금리 인하보다 즉각 효력을 기대할 수 있는 재정정책이나 긴급 유동성 조치가 더 적절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금리 동결 쪽에 무게를 실었다.
이에 따라 다음 주에도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추세가 지속할지가 경제 주체 심리와 내수 경기를 좌우하는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보여 한은의 선택이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