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자가진단 정보는 교육부·서울시·대학 등이 공유
중국 거쳐 입국한 유학생 임시거처로 서울시인재개발원 등 제공
중국을 거쳐 입국하는 서울 시내 대학 유학생이 자가격리 등으로 갈 곳이 마땅치 않을 경우 이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와 산하 자치구들이 서울시인재개발원 등에 임시 거처를 마련해 제공키로 했다.

또 교육부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의 자가진단 정보를 서울시와 대학과 공유하기로 했다.

이 조치는 중국 국적 유학생이나 중국 출신 유학생뿐만 아니라, 중국을 거쳐서 입국한 다른 나라 출신 유학생에게도 적용된다.

서울시는 21일 오전 시청사 기획상황실에서 교육부, 대학, 자치구 관계자들과 함께 코로나19 관련 유학생 보호·지원 방안 대책회의를 갖고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대학들은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을 기숙사와 대학 유휴시설 등을 활용해 우선적으로 수용하고 전담 관리한다.

다만 입국 시 의심 증상을 보인 유학생 중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이나 확진자와 접촉한 것으로 판명돼 자가격리 통보를 받았으나 갈 곳이 마땅치 않은 유학생 등은 서울시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임시 거주 공간에 머무를 수 있다.

여기서는 상시 방역이 이뤄지며 식사와 생활필수품이 제공된다.

서울시는 일단 서초구에 있는 서울시인재개발원을 이런 목적으로 내주기로 했으며, 추가로 임시 거주 공간을 확보키로 했다.

또 유학생이 부동산 신규계약을 거부당하거나 기존계약을 파기 당하는 등 불가피한 사유로 거주지 확보가 어려워지는 경우나, 기숙사에 입사할 예정이었으나 교육부가 권고한 1인 1실 원칙 때문에 공간이 모자라게 된 경우 등에 대비해 예비 공간도 확보할 예정이다.

기숙사 밖에 거주하는 유학생들의 경우 대학의 모니터 요원이 1대 1로 하루 두 차례 이상 이들의 건강 상태를 전화로 직접 모니터링한다.

또 유학생이 스스로 건강 상태를 입력하도록 하는 모바일 자가진단앱도 있다.

상당수 대학은 중국에서 유학생이 입국할 때 공항에서 학교까지 학교 버스나 콜밴 등을 이용해 셔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 운영이 어려운 대학은 자치구가 셔틀 서비스를 지원하고 시가 관련 비용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산하 25개 자치구와 중국 출신 유학생이 다니는 49개 대학과 함께 '서울시 중국입국 유학생 공동대응단'을 14일 구성해 이런 내용을 포함한 유학생 지원책을 시행해 왔다.

현재 서울 소재 대학에 다니는 중국인 유학생은 68개 대학 3만8천330명이며, 사이버대학을 제외하면 49개 대학 3만4천267명이다.

앞으로 입국 예정인 중국인 유학생은 1만7천여명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이 '자가진단 앱'에 입력한 정보를 서울시 및 각 대학과 공유키로 했다고 이날 회의에서 밝혔다.

유학생 관련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지자체와 대학이 빠르게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회의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학생 밀집 지역인 중구·종로구·성동구·광진구·동대문구·성북구·서대문구·마포구·동작구 등 9개 구의 구청장, 유학생이 1천명 이상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의 총장이 참석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는 교육부, 대학교, 자치구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중국입국 유학생들의 입국에 따른 감염병 확산을 최대한 예방해 지역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 유학생에 대한 막연한 반감과 경계심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못지않게 우리가 극복해야 할 혐오 바이러스"라며 "지역주민과 유학생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이를 해소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