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0대와 50대의 비자발적 퇴직자가 49만 명에 이르러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40대는 고용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2010년 이후 최저로 떨어지기도 했다. 40대와 50대는 가계 경제를 책임지는 연령대라는 점에서 이들의 고용난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16일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9000명으로 나타났다. 2014년(55만2000명) 후 5년 만의 최대치다.

비자발적 퇴직자는 △직장의 휴·폐업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네 개 항목에 해당하는 퇴직자를 말한다.

40·5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2014년 이후 매년 감소해 2017년 40만6000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2018년(45만7000명) 증가세로 돌아섰고 지난해엔 3만 명 이상 늘었다.

지난해 비자발적 퇴직자가 증가한 연령대는 40·50대와 10대뿐이었다. 전체 비자발적 퇴직자는 2만8000명 줄었다.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사유를 보면 40대는 직장의 휴·폐업으로,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으로 직장을 잃은 사람이 급증했다. 지난해 직장 휴·폐업으로 실직한 40대는 전년(1만8000명) 대비 8000명 가까이 늘어난 2만6000명으로, 2014년 이후 5년 만의 최고치였다.

50대에서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11만7000명→13만 명)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4만6000명→5만2000명) 사유를 중심으로 비자발적 퇴직자가 급증했다. 일거리가 없거나 사업 부진으로 일터를 떠난 경우도 전년보다 2000명 가까이 늘어난 9만8000명으로, 전체 50대 비자발적 퇴직자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40대는 고용률도 부진했다. 지난해 고용률은 78.4%로, 2010년(77.9%) 후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추 의원은 “경제 허리층인 40대와 50대의 고용 상황이 최악인데도 정부는 어르신 단기 일자리와 같은 세금 일자리 늘리기에만 급급해 있다”며 “민간 활력을 높이고 경제 체질을 바꾸는 근본 처방 없이 현 정책 기조가 계속되면 고용 상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