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연구용역 곧 종료…상반기에 지자체 협의 마무리 계획
대구-구미 취수원 이전 11년 갈등 풀리나
대구시, 구미시 등 낙동강 상류 취수원 이전을 놓고 팽팽하게 맞서온 지방자치단체들이 상반기 중 합의안을 도출해 11년간 이어온 갈등을 해소할지 관심이 쏠린다.

6일 환경부·대구시·구미시 등에 따르면 낙동강 물 문제 해소 방안 마련을 위해 환경부가 주관하는 연구용역 2건이 조만간 종료한다.

대구시, 구미시, 경북도 등은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협의에 나선다.

환경부는 지난해 3월 구미산업단지 폐수 무방류 시스템 적용 방안,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폐수 무방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방안과 경제적 타당성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구미 해평취수장을 두 도시가 함께 사용해도 수량·수질에 문제가 없다는 2014년 국토부 용역 결과를 재검증하기 위해서다.

낙동강 수자원을 합리적으로 배분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폐수 무방류 시스템 구축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 데 관련 지자체 의견이 모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재원 마련, 운영비 감축 방안 등이 관건으로, 환경단체 등 의견도 묻고 있다.

물 문제 해소방안에는 낙동강으로 폐수가 배출되지 않는 최적 방법과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물 이용체계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용역 후 대구시·구미시가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 방안을 마련해 상반기 중 지자체와 협의를 마칠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연구용역 과정에 자치단체와 협의해 의견을 받는 등 피드백을 진행하고 있다"며 "상반기에 용역을 완료하고 전문가 조언도 받겠다"고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낙동강 본류 수질 안정성이 현재보다 높아져야 한다"며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등 뿐 아니라 과불화화합물 같은 유해화학물질 검출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구미시는 환경부, 대구시 등과 협의하면서 구미지역 물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구미시 관계자는 "환경부 연구용역, 최종 합의안 협의에서 지역에 공급되는 수질, 수량 등에 이상이 없도록 하겠다"며 "일방적 추진에는 강력히 반대한"고 말했다.

연구용역은 지난해 4월 대구·울산·경북·구미 등 영남권 지방자치단체장 4명, 환경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문화재청장이 국무총리 주재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한 데 따른 것이다.

취수원 이전 갈등은 2009년 2월 구미국가산단 유해 화학물질이 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달성군 다사읍 매곡·문산 취수장 원수를 오염시킨다는 이유로 대구시가 취수장 이전을 정부에 건의하면서 시작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