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물량 41.2% 감소…"불매운동 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식약처 '2019년 식품 등 수입 동향 자료'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물량이 40% 넘게 줄었다.
지난해 여름 거세게 일어난 일본 상품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9년 식품 등 수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 등은 168개국에서 약 1천825개 품목에 걸쳐 약 73만8천건, 1천860만t, 281억 달러어치(한화 약 32조8천억원)가 수입됐다.
국가별 수입금액은 미국이 67억8천616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중국(47억1천690만 달러), 호주(24억6천44만 달러), 베트남(12억1천88만 달러), 러시아(8억7천854만 달러) 순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금액은 전체의 56.9%를 차지했다.
수입 중량은 역시 미국이 483만t으로 가장 많았고, 호주(300만t), 중국(300만t), 브라질(86만t), 태국(84만t) 순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량은 전체의 67.5%를 차지했다.
지난해 1만t 이상 수입 품목 중에서 2018년과 견줘서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냉동 청어'(362.1%)였다.
이어 우유(182.0%), 가공치즈(129.5%), 수산물가공품(102.2%), 두류 가공품(83.2%) 순으로 수입 증가율이 높았다.
국가별 수입물량은 2018년과 비교해 미국은 3.4% 증가했지만, 중국과 일본은 각각 1.6%, 23.6% 감소했다.
특히 국가별로 수입물량 감소 폭이 큰 주요 품목은 중국은 양파(57.9%), 냉동 오징어(32.2%)가, 일본은 맥주(41.2%), 청주(37.6%)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입식품 부적합 비율 0.18%(73만8천90건 중 1천296건 부적합)였다.
2018년 부적합 비율(020%)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전체 수입국 168개국 중 68개국이, 1천825개 품목 중 250개 품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국가별로는 중국 405건(부적합률 0.20%)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131건, 0.13%), 베트남(117건, 0.38%), 태국(74건, 0.23%), 인도(57건, 0.92%)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과채 가공품이 74건으로 가장 많았고, 과자(53건), 천연향신료(47건), 빵류(35건), 기타가공품(33건) 순이었다.
부적합 사유로는 기준 및 규격(함량, 산가 등) 위반이 가장 많았고, 식품첨가물 사용기준(보존료, 색소 등) 위반, 미생물(세균수, 대장균 등) 기준 위반 순이었다.
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 제품은 수출국으로 반송되거나 다른 나라로의 반출 또는 폐기 조처됐다.
[연도별 수입현황]
*(%) : 전년 대비 증가율
┌─────┬────────┬────────┬───────┬─────┐
│ 연도 │ 건수 │ 중량(톤) │ 금액(천$) │금액(한화)│
├─────┼────────┼────────┼───────┼─────┤
│ 2015 │ 598,082 (7.9%)│17,064,298 (4.3%│23,294,689 (0.│26조 3,751│
│ │ │ )│ 8%)│ 억│
├─────┼────────┼────────┼───────┼─────┤
│ 2016 │ 625,443 (4.6%)│17,260,902 (1.2%│23,437,632 (0.│27조 2,192│
│ │ │ )│ 6%)│ 억│
├─────┼────────┼────────┼───────┼─────┤
│ 2017 │ 672,273 (7.5%)│18,295,687 (6.0%│24,972,153 (6.│28조 2,425│
│ │ │ )│ 5%)│ 억│
├─────┼────────┼────────┼───────┼─────┤
│ 2018 │ 728,114 (8.3%)│18,553,556 (1.4%│27,337,055 (9.│30조 1,111│
│ │ │ )│ 5%)│ 억│
├─────┼────────┼────────┼───────┼─────┤
│ 2019(p) │ 738,090 (1.4%)│18,605,390 (0.3%│28,107,481 (2.│32조 7,935│
│ │ │ )│ 8%)│ 억│
├─────┼────────┼────────┼───────┼─────┤
│연평균 증 │ 5.40% │ 2.19% │ 4.81% │ 5.60% │
│ 가율 │ │ │ │ │
└─────┴────────┴────────┴───────┴─────┘
* 2019년 수치는 잠정치이며, 확정 통계는 2020년 12월에 공표됨
** 환율($) : 2015년 1,132.24원, 2016년 1,161.35원, 2017년 1,130.96원, 2018년 1,101.476원, 2019년 1,166.72원(출처 : KEB하나은행 연도별 평균환율)
/연합뉴스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물량이 40% 넘게 줄었다.
지난해 여름 거세게 일어난 일본 상품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9년 식품 등 수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 등은 168개국에서 약 1천825개 품목에 걸쳐 약 73만8천건, 1천860만t, 281억 달러어치(한화 약 32조8천억원)가 수입됐다.
국가별 수입금액은 미국이 67억8천616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중국(47억1천690만 달러), 호주(24억6천44만 달러), 베트남(12억1천88만 달러), 러시아(8억7천854만 달러) 순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금액은 전체의 56.9%를 차지했다.
수입 중량은 역시 미국이 483만t으로 가장 많았고, 호주(300만t), 중국(300만t), 브라질(86만t), 태국(84만t) 순이었다.
이들 5개국 수입량은 전체의 67.5%를 차지했다.
지난해 1만t 이상 수입 품목 중에서 2018년과 견줘서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냉동 청어'(362.1%)였다.
이어 우유(182.0%), 가공치즈(129.5%), 수산물가공품(102.2%), 두류 가공품(83.2%) 순으로 수입 증가율이 높았다.
국가별 수입물량은 2018년과 비교해 미국은 3.4% 증가했지만, 중국과 일본은 각각 1.6%, 23.6% 감소했다.
특히 국가별로 수입물량 감소 폭이 큰 주요 품목은 중국은 양파(57.9%), 냉동 오징어(32.2%)가, 일본은 맥주(41.2%), 청주(37.6%)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입식품 부적합 비율 0.18%(73만8천90건 중 1천296건 부적합)였다.
2018년 부적합 비율(020%)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전체 수입국 168개국 중 68개국이, 1천825개 품목 중 250개 품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국가별로는 중국 405건(부적합률 0.20%)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131건, 0.13%), 베트남(117건, 0.38%), 태국(74건, 0.23%), 인도(57건, 0.92%)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과채 가공품이 74건으로 가장 많았고, 과자(53건), 천연향신료(47건), 빵류(35건), 기타가공품(33건) 순이었다.
부적합 사유로는 기준 및 규격(함량, 산가 등) 위반이 가장 많았고, 식품첨가물 사용기준(보존료, 색소 등) 위반, 미생물(세균수, 대장균 등) 기준 위반 순이었다.
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 제품은 수출국으로 반송되거나 다른 나라로의 반출 또는 폐기 조처됐다.
[연도별 수입현황]
*(%) : 전년 대비 증가율
┌─────┬────────┬────────┬───────┬─────┐
│ 연도 │ 건수 │ 중량(톤) │ 금액(천$) │금액(한화)│
├─────┼────────┼────────┼───────┼─────┤
│ 2015 │ 598,082 (7.9%)│17,064,298 (4.3%│23,294,689 (0.│26조 3,751│
│ │ │ )│ 8%)│ 억│
├─────┼────────┼────────┼───────┼─────┤
│ 2016 │ 625,443 (4.6%)│17,260,902 (1.2%│23,437,632 (0.│27조 2,192│
│ │ │ )│ 6%)│ 억│
├─────┼────────┼────────┼───────┼─────┤
│ 2017 │ 672,273 (7.5%)│18,295,687 (6.0%│24,972,153 (6.│28조 2,425│
│ │ │ )│ 5%)│ 억│
├─────┼────────┼────────┼───────┼─────┤
│ 2018 │ 728,114 (8.3%)│18,553,556 (1.4%│27,337,055 (9.│30조 1,111│
│ │ │ )│ 5%)│ 억│
├─────┼────────┼────────┼───────┼─────┤
│ 2019(p) │ 738,090 (1.4%)│18,605,390 (0.3%│28,107,481 (2.│32조 7,935│
│ │ │ )│ 8%)│ 억│
├─────┼────────┼────────┼───────┼─────┤
│연평균 증 │ 5.40% │ 2.19% │ 4.81% │ 5.60% │
│ 가율 │ │ │ │ │
└─────┴────────┴────────┴───────┴─────┘
* 2019년 수치는 잠정치이며, 확정 통계는 2020년 12월에 공표됨
** 환율($) : 2015년 1,132.24원, 2016년 1,161.35원, 2017년 1,130.96원, 2018년 1,101.476원, 2019년 1,166.72원(출처 : KEB하나은행 연도별 평균환율)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