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경제성장률 2.0%, 10년만에 최저…4분기는 선방(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중 분쟁·반도체 부진에 수출·설비투자 연초 전망보다 악화
4분기에는 1.2% 성장…민간부문도 반등 신호
지난해 한국 경제가 2.0% 성장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미친 2009년(0.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세다.
잠재성장률(한국은행 추산 2.5∼2.6%)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 민간 부문 성장기여도가 2분기 연속 플러스(+)를 보이는 등 민간 부문이 부진에서 벗어나는 징후를 보인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 통계를 보면 지난해 GDP는 전년보다 2.0% 증가했다.
당초 민간 전망기관에선 이보다 못한 1.9%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예측이 많았다.
그러나 4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1.2% 성장해 예상을 웃돌면서 2%대 성장률을 유지했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2%를 밑돈 적은 제2차 석유파동이 터진 1980년(-1.7%), 외환위기 때인 1998년(-5.5%), 2009년(0.8%) 등 3차례에 불과하다.
모두 경제 위기 국면이었다.
이처럼 지난해 경제가 유독 부진했던 배경은 건설투자와 설비투자의 조정이 이어진 가운데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로 수출마저 추가로 타격을 입었던 영향이 컸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무역환경이 좋지 못했고, 반도체 경기 회복이 지연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작년 1월 한은이 제시했던 전망치와 이날 발표된 속보치를 비교해 보면 설비투자(작년 1월 전망 2.6%→속보치 -8.1%)가 전망보다 크게 부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수출 증가율도 속보치에서 1.5%를 나타내 작년 1월의 상품수출 전망치(3.1%) 대비 좋지 않았다.
연초만 해도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던 미중 무역분쟁이 5월 이후 격화하고, 하반기 반등을 기대했던 반도체 경기가 회복되지 못했던 탓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미중 무역분쟁 격화가 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4%포인트 떨어뜨렸다는 분석 결과를 공개하기도 했다.
미중 간 갈등은 세계경기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한 지난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2.9%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1%)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을 전망이다.
내수도 좋지 않았다.
건설투자(-3.2%→-3.3%)는 연초 전망대로 조정 국면을 이어갔고, 민간소비(2.6%→1.9%)는 연초 전망보다 더 부진했다.
정부소비는 2018년 5.6% 성장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6.5%의 높은 성장률을 이어갔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낸 설명자료에서 "정부는 예산의 이월이나 불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추가경정예산 규모 이상에 해당하는 5조8천억원의 재정집행 제고를 통해 경기보완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밝혔다.
2019년 한 해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를 살펴보면 정부 부문 기여도가 1.5%포인트였고, 민간 부문 기여도는 0.5%포인트에 그쳤다.
지난해 경제 성장의 75%를 재정이 담당했다는 뜻이다.
그만큼 민간부문 부진이 심했다는 의미다.
정부가 슈퍼예산으로 확장 재정정책을 펼치며 경기 하강을 막는 한편 민간 경제 활력 제고에 올인했지만 민간 경제가 기대만큼 살아나지 않은 모습을 보인 셈이다.
연간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다.
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이 원자재 등 수입품 가격보다 더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실질 GDI 하락률은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7.0%) 이후 21년 만에 가장 컸다.
한편 4분기 성장률이 선방한 것은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가 개선되면서 수출 둔화를 만회한 영향이 컸다.
분기 성장률 1.2%는 2017년 3분기(1.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4분기 중 민간소비가 전기 대비 0.7% 증가했고, 건설투자는 6.3%, 설비투자는 1.5% 각각 증가했다.
수출은 전기 대비 0.1% 감소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정 집행률을 높이는 데 총력을 다한 게 4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4분기 성장률을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측면에서 살펴보면 정부 부문의 기여도가 1.0%포인트로 3분기(0.2%포인트) 대비 크게 확대했다.
민간 부문 성장기여도는 3분기 수준인 0.2%포인트에 그쳤다.
작년 2분기 이후 6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던 민간투자의 성장기여도가 0.5%포인트를 나타내 플러스(+)로 전환한 것은 향후 경기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낳게 하는 대목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설비투자가 수출에 앞서 움직인다는 점에서 설비투자 회복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민간 부문 성장기여도가 2개 분기 연속 플러스를 나타냈고, 민간투자 기여도가 7개 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며 "아직 만족할 순 없지만 민간 부문도 긍정적인 신호가 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4분기에는 1.2% 성장…민간부문도 반등 신호
지난해 한국 경제가 2.0% 성장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미친 2009년(0.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세다.
잠재성장률(한국은행 추산 2.5∼2.6%)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 민간 부문 성장기여도가 2분기 연속 플러스(+)를 보이는 등 민간 부문이 부진에서 벗어나는 징후를 보인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 통계를 보면 지난해 GDP는 전년보다 2.0% 증가했다.
당초 민간 전망기관에선 이보다 못한 1.9%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예측이 많았다.
그러나 4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1.2% 성장해 예상을 웃돌면서 2%대 성장률을 유지했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2%를 밑돈 적은 제2차 석유파동이 터진 1980년(-1.7%), 외환위기 때인 1998년(-5.5%), 2009년(0.8%) 등 3차례에 불과하다.
모두 경제 위기 국면이었다.
이처럼 지난해 경제가 유독 부진했던 배경은 건설투자와 설비투자의 조정이 이어진 가운데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로 수출마저 추가로 타격을 입었던 영향이 컸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무역환경이 좋지 못했고, 반도체 경기 회복이 지연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작년 1월 한은이 제시했던 전망치와 이날 발표된 속보치를 비교해 보면 설비투자(작년 1월 전망 2.6%→속보치 -8.1%)가 전망보다 크게 부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수출 증가율도 속보치에서 1.5%를 나타내 작년 1월의 상품수출 전망치(3.1%) 대비 좋지 않았다.
연초만 해도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던 미중 무역분쟁이 5월 이후 격화하고, 하반기 반등을 기대했던 반도체 경기가 회복되지 못했던 탓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미중 무역분쟁 격화가 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4%포인트 떨어뜨렸다는 분석 결과를 공개하기도 했다.
미중 간 갈등은 세계경기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한 지난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2.9%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1%)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을 전망이다.
내수도 좋지 않았다.
건설투자(-3.2%→-3.3%)는 연초 전망대로 조정 국면을 이어갔고, 민간소비(2.6%→1.9%)는 연초 전망보다 더 부진했다.
정부소비는 2018년 5.6% 성장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6.5%의 높은 성장률을 이어갔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낸 설명자료에서 "정부는 예산의 이월이나 불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추가경정예산 규모 이상에 해당하는 5조8천억원의 재정집행 제고를 통해 경기보완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밝혔다.
2019년 한 해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를 살펴보면 정부 부문 기여도가 1.5%포인트였고, 민간 부문 기여도는 0.5%포인트에 그쳤다.
지난해 경제 성장의 75%를 재정이 담당했다는 뜻이다.
그만큼 민간부문 부진이 심했다는 의미다.
정부가 슈퍼예산으로 확장 재정정책을 펼치며 경기 하강을 막는 한편 민간 경제 활력 제고에 올인했지만 민간 경제가 기대만큼 살아나지 않은 모습을 보인 셈이다.
연간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다.
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이 원자재 등 수입품 가격보다 더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실질 GDI 하락률은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7.0%) 이후 21년 만에 가장 컸다.
한편 4분기 성장률이 선방한 것은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가 개선되면서 수출 둔화를 만회한 영향이 컸다.
분기 성장률 1.2%는 2017년 3분기(1.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4분기 중 민간소비가 전기 대비 0.7% 증가했고, 건설투자는 6.3%, 설비투자는 1.5% 각각 증가했다.
수출은 전기 대비 0.1% 감소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정 집행률을 높이는 데 총력을 다한 게 4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4분기 성장률을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측면에서 살펴보면 정부 부문의 기여도가 1.0%포인트로 3분기(0.2%포인트) 대비 크게 확대했다.
민간 부문 성장기여도는 3분기 수준인 0.2%포인트에 그쳤다.
작년 2분기 이후 6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던 민간투자의 성장기여도가 0.5%포인트를 나타내 플러스(+)로 전환한 것은 향후 경기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낳게 하는 대목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설비투자가 수출에 앞서 움직인다는 점에서 설비투자 회복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민간 부문 성장기여도가 2개 분기 연속 플러스를 나타냈고, 민간투자 기여도가 7개 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며 "아직 만족할 순 없지만 민간 부문도 긍정적인 신호가 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