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고가` 찍은 삼성전자, 어디까지 가나…"외국인 베팅했다"
국내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가 지난 9일 사상 최고가로 마감해 주가가 어디까지 상승할지 주목된다.

이날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3.17% 오른 5만8천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수정주가 기준으로 지난 1975년 6월 11일 상장 이후 약 45년 만의 최고 기록이다.

종전 최고 기록은 2017년 11월 1일의 5만7천220원(수정주가)이었다.

또 이날 종가는 지난해 1월 4일 기록한 52주 최저가(3만6천850원)보다 59.02%나 뛰어오른 수준이기도 하다. 1년여 전인 당시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의 경우 60%에 달하는 수익률을 올린 셈이다.

주가 상승을 이끈 것은 외국인 투자자였다. 이날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삼성전자로, 순매수 금액은 약 2천163억원(장 마감 기준)에 달했다. 이로써 외국인은 올해 들어 삼성전자 주식 5천29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는 반도체 업황이 `바닥`을 찍고 회복하리라는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외국인은 미국과 이란의 전운이 고조되는 가운데도 반도체 경기 회복에 `베팅`하는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발표된 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실적도 낙관론에 힘을 실어줬다.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은 7조1천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0조8천6억원)와 비교해 34.26% 감소했고 전 분기(7조7천779억원)보다도 8.74% 줄었으나 시장 기대치는 넘어섰다.

증권업계는 이를 실적 반등의 신호탄으로 봤다. 4분기 실적 자체보다 D램 가격의 상승세 등 전반적인 업황의 방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반도체 수요 감소에 따른 가격 하락 등으로 실적 부진을 겪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잠정치는 27조7천억원으로 전년보다 52.9% 급감하면서 2015년(26조4천억원) 이후 최저 수준에 머물렀고 매출 잠정치(229조5천억원) 역시 전년보다 5.85% 줄어들었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만 놓고 보면 삼성전자는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7조1천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지난 8일 공시했다.

이는 증권사 전망치 평균(6조5천억원대)을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 경기 회복에 따른 실적 반등 전망이 점점 더 힘을 얻는 모양새다.

이수빈 대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부문 이익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를 작년 잠정치(27조7천억원) 대비 약 42% 증가한 39조2천550억원으로 제시했다.

최근 주가가 급등한 가운데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하다.

인포맥스에 따르면 이날 현재 증권사들이 제시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 평균치는 6만7천431원으로 집계됐다.

목표주가 기준으로 보면 현재 주가 대비 15.07%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이다.
`사상 최고가` 찍은 삼성전자, 어디까지 가나…"외국인 베팅했다"
한편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회사를 합친 시가총액만도 421조원을 훌쩍 넘어서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의 30% 돌파를 눈앞에 뒀다.

SK하이닉스는 지난 9일 9만9천원에 장을 마감하며 이틀 연속 사상 최고가를 새로 썼다. 10만원 고지도 멀지 않아 보인다.

또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삼성전자 시총은 글로벌 기업 가운데 21위에 올라 20위권 진입을 바라보게 됐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