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맛뒷맛] 스테이크 즐기는 당신은 웰던파? 레어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테이크 굽기는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스테이크하우스나 레스토랑에서 스테이크를 주문하려면 선택의 갈림길에 서야 한다.
고기가 어느 정도 익혀서 나오길 바라느냐는 질문에 대답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부 레스토랑에선 손님에게 따로 묻지 않고 셰프가 가장 맛있는 상태라고 판단한 대로 구워서 주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레스토랑에서 고기 굽기 정도는 손님의 판단에 따른다.
테이블에 앉은 이가 주방의 조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특별한 과정이기도 하다.
선택지는 웰던, 미디엄, 레어라는 세 가지로 크게 나뉜다.
웰던은 스테이크 단면에 붉은 기가 거의 없을 때까지 익힌 것을 말하고, 레어는 고기 표면만 살짝 익고 속은 거의 붉게 조리한 것을 말한다.
중간 단계인 미디엄은 생고기의 선홍빛이 가신 옅은 붉은 기가 돈다.
고기 내부 온도로 이야기하자면 웰던은 70℃, 미디엄은 60℃, 레어는 50℃ 정도에 도달한 상태.
단계를 좀 더 세분화해서 '웰던-미디엄 웰-미디엄-미디엄 레어-레어' 순으로 5단계로 분류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안 먹지만 '블루 레어'라고 해서 고기 겉면에만 스치듯 열을 가해 거의 생고기에 가까운 상태로 먹을 수도 있다.
이 중 어느 것이 가장 맛이 있을까.
탕수육 '찍먹 vs 부먹'(튀긴 고기를 소스에 찍어 먹느냐 고기에 소스를 부어 먹느냐) 논쟁과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가 정답이라고 단언하기는 쉽지 않다.
개인의 취향은 너무도 주관적이고, 입맛이라는 취향은 그중에서도 가장 견고한 것 중 하나기 때문이다.
스테이크를 즐긴 지 얼마 안 된 우리나라뿐 아니라 스테이크의 본고장 미국에도 '정답'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지난 8월 미국 성인 1천200명을 대상으로 어떻게 조리된 스테이크를 가장 선호하는지 설문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24%가 웰던을 좋아한다고 대답했다.
미디엄과 레어의 중간 단계인 미디엄-레어를 택한 이들이 23%로 집계돼 간발의 차로 2위였다.
미디엄과 웰던의 중간 단계인 미디엄 웰이 16%로 뒤를 이었고, 미디엄은 13%, 레어는 11%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미국인들이 "스테이크라면 ○○로 먹어야지!"라고 압도적으로 입을 모으는 건 없다는 소리다.
좋아하는 굽기 상태가 사람마다 다른 셈이다.
웰던으로 주문한다고 해서 '촌스러운 사람 아닌가' 눈치를 보거나 줄 필요도, 레어 또는 블루 레어로 먹는다고 '고기 좀 먹을 줄 아는 사람'인 것도 딱히 아닌 것.
각자가 가장 맛있다고 생각하는 고기의 온도와 식감, 육즙의 정도를 가진 단계를 골라 "○○로 구워주세요"라고 자신 있게 주문하고 즐기면 된다.
다만 굽기 단계에 관해 잘못 알려진 몇몇 정보는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웰던보다 덜 익혀져 나온 단계의 고기에서 나오는 액체가 피라는 통념이다.
스테이크를 썰 때 흘러나오거나 접시에 흥건하게 고이는 붉은 액체는 피가 아닌 미오글로빈(myoglobin)이라는 단백질이 고기 속 수분에 녹은 것이다.
도축된 소의 피는 부패를 막기 위해 도축 직후 빼내는 만큼 남아있지 않다.
미오글로빈이 산소와 반응해 선홍색으로 보이는 것이 피로 쉽게 오인되는 것이다.
조금 덜 익힌 스테이크를 먹으려면 피를 함께 먹는 것 같아 거북한 느낌에 지금까지 웰던만 고집해 왔다면 미디엄이나 레어로 좀 더 부드럽고 촉촉하게 익힌 고기에 도전해보는 것은 어떨까.
미디엄이나 레어로 구운 고기가 속이 빨개서 덜 익은 것처럼 보이더라도 먹고 나서 탈이 날 염려는 내려놓아도 좋다.
요즘처럼 위생적으로 관리되는 사육환경에서 자란 소의 고기가 내부까지 세균 등에 오염됐을 확률은 지극히 낮기 때문. 조리 전의 고기 표면은 오염됐을 수 있지만 이런 위험 역시 조리 과정에서 강한 열에 노출되면서 사라진다.
'주방의 화학자' 또는 '요리의 과학자'로 불리는 미국의 음식 과학자 해럴드 맥기는 저서 '음식과 요리'에서 소고기의 경우 내부 온도가 55∼60℃에 도달하도록 조리하라고 권했다.
즉, 속까지 바짝 익혀 먹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햄버거같이 한번 갈아놓은 고기를 조리한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는 점엔 주의해야 한다.
간 고기는 고깃덩어리의 내부와 달리 공기와 세균에 노출됐기 때문.
미디엄, 레어와 비교해 속까지 잘 익힌 웰던에 대해서도 먹을거리 안전에 대한 우려는 있다.
바싹 구워진 고기 표면에 발암 물질이 있지 않으냐는 것이 대표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식품 속 발암물질 저감법'을 소개하면서 발암 가능 물질인 'HAA', 'PAH' 섭취가 걱정된다면 고기의 타거나 검게 그을린 부위를 최대한 먹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웰던 스테이크를 먹으면 발암 물질을 함께 섭취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는 그러나 기우에 가까워 보인다.
고기 일부가 까맣게 되도록 그릴 자국을 내면서 굽는 조리법이 있긴 하나, 격자무늬 그릴 자국이 박힌 스테이크의 유행이 지나버린 요즘엔 이렇게 내는 레스토랑이 줄어들고 있다.
웰던은 미디엄이나 레어보다 고기 표면을 팬에 지지듯 굽는 '시어링'(searing)을 오래 하긴 하지만 검게 변할 정도까지는 아니다.
고기 표면이 짙은 갈색으로 보이는 것은 단백질이 열에 의해 변하며 맛을 내는 '마이야르 반응' 때문일 뿐 탄 것이 아니다.
팬 위에서 고기를 지지는 시간은 웰던이나 미디엄, 레어나 크게 다르지 않고, 웰던의 경우 고기 내부까지 익히려고 오븐 속 뜨거운 공기에 더 오래 둘 뿐이다.
웰던 스테이크라고 해서 유해 물질이 더 많이 나오리라는 걱정은 접어둬도 좋겠다.
/연합뉴스
스테이크하우스나 레스토랑에서 스테이크를 주문하려면 선택의 갈림길에 서야 한다.
고기가 어느 정도 익혀서 나오길 바라느냐는 질문에 대답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부 레스토랑에선 손님에게 따로 묻지 않고 셰프가 가장 맛있는 상태라고 판단한 대로 구워서 주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레스토랑에서 고기 굽기 정도는 손님의 판단에 따른다.
테이블에 앉은 이가 주방의 조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특별한 과정이기도 하다.
선택지는 웰던, 미디엄, 레어라는 세 가지로 크게 나뉜다.
웰던은 스테이크 단면에 붉은 기가 거의 없을 때까지 익힌 것을 말하고, 레어는 고기 표면만 살짝 익고 속은 거의 붉게 조리한 것을 말한다.
중간 단계인 미디엄은 생고기의 선홍빛이 가신 옅은 붉은 기가 돈다.
고기 내부 온도로 이야기하자면 웰던은 70℃, 미디엄은 60℃, 레어는 50℃ 정도에 도달한 상태.
단계를 좀 더 세분화해서 '웰던-미디엄 웰-미디엄-미디엄 레어-레어' 순으로 5단계로 분류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안 먹지만 '블루 레어'라고 해서 고기 겉면에만 스치듯 열을 가해 거의 생고기에 가까운 상태로 먹을 수도 있다.
이 중 어느 것이 가장 맛이 있을까.
탕수육 '찍먹 vs 부먹'(튀긴 고기를 소스에 찍어 먹느냐 고기에 소스를 부어 먹느냐) 논쟁과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가 정답이라고 단언하기는 쉽지 않다.
개인의 취향은 너무도 주관적이고, 입맛이라는 취향은 그중에서도 가장 견고한 것 중 하나기 때문이다.
스테이크를 즐긴 지 얼마 안 된 우리나라뿐 아니라 스테이크의 본고장 미국에도 '정답'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지난 8월 미국 성인 1천200명을 대상으로 어떻게 조리된 스테이크를 가장 선호하는지 설문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24%가 웰던을 좋아한다고 대답했다.
미디엄과 레어의 중간 단계인 미디엄-레어를 택한 이들이 23%로 집계돼 간발의 차로 2위였다.
미디엄과 웰던의 중간 단계인 미디엄 웰이 16%로 뒤를 이었고, 미디엄은 13%, 레어는 11%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미국인들이 "스테이크라면 ○○로 먹어야지!"라고 압도적으로 입을 모으는 건 없다는 소리다.
좋아하는 굽기 상태가 사람마다 다른 셈이다.
웰던으로 주문한다고 해서 '촌스러운 사람 아닌가' 눈치를 보거나 줄 필요도, 레어 또는 블루 레어로 먹는다고 '고기 좀 먹을 줄 아는 사람'인 것도 딱히 아닌 것.
각자가 가장 맛있다고 생각하는 고기의 온도와 식감, 육즙의 정도를 가진 단계를 골라 "○○로 구워주세요"라고 자신 있게 주문하고 즐기면 된다.
다만 굽기 단계에 관해 잘못 알려진 몇몇 정보는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웰던보다 덜 익혀져 나온 단계의 고기에서 나오는 액체가 피라는 통념이다.
스테이크를 썰 때 흘러나오거나 접시에 흥건하게 고이는 붉은 액체는 피가 아닌 미오글로빈(myoglobin)이라는 단백질이 고기 속 수분에 녹은 것이다.
도축된 소의 피는 부패를 막기 위해 도축 직후 빼내는 만큼 남아있지 않다.
미오글로빈이 산소와 반응해 선홍색으로 보이는 것이 피로 쉽게 오인되는 것이다.
조금 덜 익힌 스테이크를 먹으려면 피를 함께 먹는 것 같아 거북한 느낌에 지금까지 웰던만 고집해 왔다면 미디엄이나 레어로 좀 더 부드럽고 촉촉하게 익힌 고기에 도전해보는 것은 어떨까.
미디엄이나 레어로 구운 고기가 속이 빨개서 덜 익은 것처럼 보이더라도 먹고 나서 탈이 날 염려는 내려놓아도 좋다.
요즘처럼 위생적으로 관리되는 사육환경에서 자란 소의 고기가 내부까지 세균 등에 오염됐을 확률은 지극히 낮기 때문. 조리 전의 고기 표면은 오염됐을 수 있지만 이런 위험 역시 조리 과정에서 강한 열에 노출되면서 사라진다.
'주방의 화학자' 또는 '요리의 과학자'로 불리는 미국의 음식 과학자 해럴드 맥기는 저서 '음식과 요리'에서 소고기의 경우 내부 온도가 55∼60℃에 도달하도록 조리하라고 권했다.
즉, 속까지 바짝 익혀 먹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햄버거같이 한번 갈아놓은 고기를 조리한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는 점엔 주의해야 한다.
간 고기는 고깃덩어리의 내부와 달리 공기와 세균에 노출됐기 때문.
미디엄, 레어와 비교해 속까지 잘 익힌 웰던에 대해서도 먹을거리 안전에 대한 우려는 있다.
바싹 구워진 고기 표면에 발암 물질이 있지 않으냐는 것이 대표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식품 속 발암물질 저감법'을 소개하면서 발암 가능 물질인 'HAA', 'PAH' 섭취가 걱정된다면 고기의 타거나 검게 그을린 부위를 최대한 먹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
웰던 스테이크를 먹으면 발암 물질을 함께 섭취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는 그러나 기우에 가까워 보인다.
고기 일부가 까맣게 되도록 그릴 자국을 내면서 굽는 조리법이 있긴 하나, 격자무늬 그릴 자국이 박힌 스테이크의 유행이 지나버린 요즘엔 이렇게 내는 레스토랑이 줄어들고 있다.
웰던은 미디엄이나 레어보다 고기 표면을 팬에 지지듯 굽는 '시어링'(searing)을 오래 하긴 하지만 검게 변할 정도까지는 아니다.
고기 표면이 짙은 갈색으로 보이는 것은 단백질이 열에 의해 변하며 맛을 내는 '마이야르 반응' 때문일 뿐 탄 것이 아니다.
팬 위에서 고기를 지지는 시간은 웰던이나 미디엄, 레어나 크게 다르지 않고, 웰던의 경우 고기 내부까지 익히려고 오븐 속 뜨거운 공기에 더 오래 둘 뿐이다.
웰던 스테이크라고 해서 유해 물질이 더 많이 나오리라는 걱정은 접어둬도 좋겠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