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대책 있었나?"…6년간 4명 목숨 앗아간 부산신항 5부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BNCT 부두 사고 사흘 만에 뒤늦게 검수원 안전강화 대책 추진
부산항만공사 "부두 운영사 안전자료 제출 거부 등 관리 한계" 20대 청년이 컨테이너 사이에 껴 숨진 부산 신항 5부두에서 최근 6년 동안 4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 사이 노동자들이 반복해서 목숨을 잃었지만, 부두 운영사 측은 안전 대책을 위한 현장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등 사고 방지에 무관심했다.
18일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2014∼2019)간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에서 노동자 8명(2014년 1명, 2018년 4명, 2019년 3명)이 안전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이중 지난 15일 검수 업체 직원 A(24) 씨가 컨테이너 끼임 사고로 목숨을 잃은 부산신항 5부두(BNCT 부두)에서만 노동자 3명이 숨졌다.
최근 5년 부산항 전체 사망사고 중 30% 이상이 BNCT 부두에서 발생했다.
또 최근 5년간 통계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2013년에 냉동 컨테이너 전원을 확인하는 업무를 맡은 30대 하청노동자가 컨테이너 깔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사고 유족은 최근까지도 블로그에 "세상이 동생 죽음에 대해서 어떻게 결론을 내렸는지 아직도 알 수 없다"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민자 부두인 신항 5부두는 운영사인 BNCT가 마케팅 등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고 하역 업무는 INK 신항만이 위탁 운영하고 있다.
INK는 분야별 업체에 하청을 줘 노동자들을 고용했다.
사고를 당한 A 씨는 부두가 아닌 선사가 하청을 준 검수 업체 직원이었다.
이처럼 복잡한 고용 구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해도 한 업체가 나서서 책임을 지고 사고를 수습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없다고 항만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BNCT 부두 측은 사고 발생 사흘 만에 뒤늦게 검수원 안전강화 대책을 내놓았다.
컨테이너 받침대(카세트)에 밀림 방지 장치를 부착하고 검수원에게 무전기와 헤드 랜턴, 경광등 등을 지급하는 등 내용이 포함됐다.
또 컨테이너를 움직이는 장비가 사각지대에 진입하면 신호등으로 진입 여부를 판단해주는 안전장치도 설치하기로 계획했다.
하지만 밀림방지 장치, 무전기, 헤드 랜턴 등 대책 대부분은 평소 검수원들이 요구했던 내용으로 뒤늦은 대책이라는 지적이 많다.
부산항만공사도 부두 운영사 측의 사고수습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부산항만공사 재난안전실 관계자는 "사고 발생 사실도 뉴스 보도를 보고 알았고 이후 구체적인 사고 내용을 보고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안전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자료 요청하거나 출입을 신청하면 민자 부두라는 이유로 번번이 거부당하는 등 외국계 민자 부두 관리에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부산항만공사 "부두 운영사 안전자료 제출 거부 등 관리 한계" 20대 청년이 컨테이너 사이에 껴 숨진 부산 신항 5부두에서 최근 6년 동안 4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 사이 노동자들이 반복해서 목숨을 잃었지만, 부두 운영사 측은 안전 대책을 위한 현장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등 사고 방지에 무관심했다.
18일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최근 5년(2014∼2019)간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에서 노동자 8명(2014년 1명, 2018년 4명, 2019년 3명)이 안전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이중 지난 15일 검수 업체 직원 A(24) 씨가 컨테이너 끼임 사고로 목숨을 잃은 부산신항 5부두(BNCT 부두)에서만 노동자 3명이 숨졌다.
최근 5년 부산항 전체 사망사고 중 30% 이상이 BNCT 부두에서 발생했다.
또 최근 5년간 통계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2013년에 냉동 컨테이너 전원을 확인하는 업무를 맡은 30대 하청노동자가 컨테이너 깔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사고 유족은 최근까지도 블로그에 "세상이 동생 죽음에 대해서 어떻게 결론을 내렸는지 아직도 알 수 없다"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민자 부두인 신항 5부두는 운영사인 BNCT가 마케팅 등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고 하역 업무는 INK 신항만이 위탁 운영하고 있다.
INK는 분야별 업체에 하청을 줘 노동자들을 고용했다.
사고를 당한 A 씨는 부두가 아닌 선사가 하청을 준 검수 업체 직원이었다.
이처럼 복잡한 고용 구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해도 한 업체가 나서서 책임을 지고 사고를 수습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없다고 항만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BNCT 부두 측은 사고 발생 사흘 만에 뒤늦게 검수원 안전강화 대책을 내놓았다.
컨테이너 받침대(카세트)에 밀림 방지 장치를 부착하고 검수원에게 무전기와 헤드 랜턴, 경광등 등을 지급하는 등 내용이 포함됐다.
또 컨테이너를 움직이는 장비가 사각지대에 진입하면 신호등으로 진입 여부를 판단해주는 안전장치도 설치하기로 계획했다.
하지만 밀림방지 장치, 무전기, 헤드 랜턴 등 대책 대부분은 평소 검수원들이 요구했던 내용으로 뒤늦은 대책이라는 지적이 많다.
부산항만공사도 부두 운영사 측의 사고수습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부산항만공사 재난안전실 관계자는 "사고 발생 사실도 뉴스 보도를 보고 알았고 이후 구체적인 사고 내용을 보고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안전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자료 요청하거나 출입을 신청하면 민자 부두라는 이유로 번번이 거부당하는 등 외국계 민자 부두 관리에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