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자유연대, 유기동물 실태 조사결과…"유기동물 관리 제도 마련해야"
지난 4년 동안 전국 지방자치단체 유기동물 보호소에서 자연사한 동물이 10만 마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18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유기동물의 인도적 보호·관리를 위한 대책 토론회'에서 '유기동물 보호 및 관리 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5∼2018년 4년 동안 전국 지자체 유기동물 보호소에서 자연사한 동물은 총 10만2천915마리다.

유기동물이 보호소에서 자연사하는 비율은 2008년 15.9%에서 지난해 23.9%로 8%포인트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안락사율은 30.9%에서 20.2%로 10.7%포인트 떨어졌다.

노킬(No-Kill) 정책을 선언하거나 보호 기간을 늘리는 지자체가 늘면서 안락사 비율은 떨어지고 자연사 비율은 올라간 것이다.

문제는 안락사 비율이 줄었다고 유기동물의 삶이 개선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오히려 보호해야 하는 유기 동물이 늘어나면서 보호소 환경은 더욱 열악해 지고 있다.

조 대표는 "자연사 원인 중 고령은 단 1.7%에 불과했고 병사가 33.7%, 사고나 상해가 13.8%였다"며 "자연사라고는 하지만 실상은 폐사라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태조사 결과 대부분 지자체 보호소가 유기동물 입소 시 질병 검사를 하거나 치료를 제대로 시행하지 않았다.

예방접종이나 구충제 등 기초 건강관리 등도 기대하기 어려웠다.

일부 보호소는 동물 사체나 배설물이 동물들과 함께 방치되는 등 위생 상태도 매우 열악했다.

조 대표는 "현재 유기동물 보호소 관련 규제를 보면 유기동물 구조는 강제하고 있으나 관리 방법은 지자체 사정에 맞춰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지자체별 관리 수준이 하늘과 땅 차이"라며 "동물들이 최소한의 복지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로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유기동물 정책은 자격을 갖춘 사람이 동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부터 시작해 발생 억제와 최소한의 복지제공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