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미래 대응 제주경제 조기경보시스템 도입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주연구원 지역경제 세미나 "인구순유입.관광객 감소로 경기하향"
불확실한 미래의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가칭 '제주경제 조기경보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연구원 상생경제연구부장 고봉현 박사는 3일 라마다프라자 제주호텔에서 '불확실성 시대의 제주경제'란 주제로 열린 2019 하반기 지역경제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고 박사는 "2017년 기준 제주 지역내총생산(GRDP)은 20조원이며, 경제성장률은 4.6%를 기록했다"며 "제주는 2011년 이후 5∼8%대의 고도성장을 이뤘으나 2016년을 정점으로 인구 순유입 규모와 관광객이 감소하고 건설경기 부진 등 영향으로 경기 하방리스크가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러 가지 전제조건과 시나리오를 가정해 전망할 때 제주경제는 중장기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고 박사는 "불확실한 미래의 경제위기에 대응해 가칭 '제주경제 조기경보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기경보시스템(EWS)은 경제위기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포착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위기관리체계로, 현재 정부는 대외·금융·원자재·부동산·노동·곡물 등 6개 부문에 EWS를 구축해 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 박사는 "지방자치단체로는 충청남도가 지난 2017년에 '충청남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구축·운영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관련연구를 거쳐 경제위기 대응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 박사는 이외에도 "제주의 미래성장동력을 적극적으로 발굴·육성하는 한편 제주경제의 균형성장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지역 경제성장의 특징 및 시사점에 대해 발표한 우준명 한국은행 제주본부 경제조사팀장도 "앞으로 제주경제 정책 의사결정은 고성장보다는 안정적 성장에 기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바이오, 전기차 등 신성장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관광과 1차 산업, ICT(정보통신기술)간 연계를 확대해야 한다"며 "서비스업 생산성을 향상하고 생산가능인구를 확충할 수 있는 다양한 인구유입정책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불확실한 미래의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가칭 '제주경제 조기경보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연구원 상생경제연구부장 고봉현 박사는 3일 라마다프라자 제주호텔에서 '불확실성 시대의 제주경제'란 주제로 열린 2019 하반기 지역경제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고 박사는 "2017년 기준 제주 지역내총생산(GRDP)은 20조원이며, 경제성장률은 4.6%를 기록했다"며 "제주는 2011년 이후 5∼8%대의 고도성장을 이뤘으나 2016년을 정점으로 인구 순유입 규모와 관광객이 감소하고 건설경기 부진 등 영향으로 경기 하방리스크가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러 가지 전제조건과 시나리오를 가정해 전망할 때 제주경제는 중장기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하는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고 박사는 "불확실한 미래의 경제위기에 대응해 가칭 '제주경제 조기경보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기경보시스템(EWS)은 경제위기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포착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위기관리체계로, 현재 정부는 대외·금융·원자재·부동산·노동·곡물 등 6개 부문에 EWS를 구축해 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 박사는 "지방자치단체로는 충청남도가 지난 2017년에 '충청남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구축·운영 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관련연구를 거쳐 경제위기 대응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 박사는 이외에도 "제주의 미래성장동력을 적극적으로 발굴·육성하는 한편 제주경제의 균형성장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지역 경제성장의 특징 및 시사점에 대해 발표한 우준명 한국은행 제주본부 경제조사팀장도 "앞으로 제주경제 정책 의사결정은 고성장보다는 안정적 성장에 기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바이오, 전기차 등 신성장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관광과 1차 산업, ICT(정보통신기술)간 연계를 확대해야 한다"며 "서비스업 생산성을 향상하고 생산가능인구를 확충할 수 있는 다양한 인구유입정책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