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 우려 커지면…"증시서 발 빼고, 달러 자산 늘려야"['D'공포 논쟁⑦-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피 1800선 붕괴, 변동성 큰폭 확대
안전자산 쏠림…채권 가격↑, 금리↓
원·달러 환율 '1400원' 급등 가능성도
안전자산 쏠림…채권 가격↑, 금리↓
원·달러 환율 '1400원' 급등 가능성도
올해 9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65년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초로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올 들어 11월까지 0%대를 기록 중이다. 일본을 '잃어버린 20년'에 빠뜨린 디플레이션(deflation)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이유다. 대한민국 경제가 맞닿은 새로운 국면을 진단해본다.[편집자주]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장 기간인 11개월 간 0%대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특히 농산물과 유가 등 가격 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한 물가 움직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20년 만에 최저치를 보이면서 걱정의 목소리가 높다. 실질적인 소비 여력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낮다는 건 경기가 좋지 않아 소비 수요가 줄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디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기업 실적 부진, 가계 소비 감소, 경제 성장률 하락 등으로 이어지는 경기 침체를 말한다.
정부는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는 입장이지만 "내년까지 저물가 흐름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디플레이션 가정하에 국내 주식, 채권, 외환 시장에서 벌어지게 될 일들과 투자자 입장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주식시장, 코스피 1800선 붕괴…"사실상 발 빼야"
디플레이션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곳은 단연 국내 주식시장이다. 국내 경기를 우려한 외국인 투자자들이 떠나면서 현재 2100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코스피지수는 1년내 1900선 이하로 급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1800선까지 무너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주식시장이 붕괴될 경우 정부는 기준금리 인하 등 적극적인 통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시중에 자금을 풀어 경기를 끌어 올리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될 경우 실물경기는 악화된 상황에서 유동성으로만 증시가 오르는 불안정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조재성 신한은행 투자자산전략부장은 "주식시장은 소비 정체와 기업의 투자 위축 등으로 자금이 돌지 않는 부동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변동성이 확대되고 시장 가치에 왜곡이 생기면서 해외 자금이 빠져나가는 악순환이 연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이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난달 7일부터 21일간 5조원 넘는 주식을 팔아치운 것을 디플레이션 전조 현상으로 해석하는 이유다.
반면 안전자산(달러, 선진국 국채, 금)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박희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디플레이션이 올 경우 사실상 주식시장에서 발을 빼는 게 좋다"면서 "달러나 안전자산인 미 증시의 배당 종목에 투자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채권시장, 안전자산 선호에 금리 떨어지고…장기채 가격은 급등
채권시장은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때아닌 호황을 누릴 수 있다. 다만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장기적으로는 수요 확대에 따른 가격 상승과 금리 인하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수요가 몰리면서 채권 가격은 오르는데 반대로 금리는 떨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수석연구원은 "디플레이션으로 채권 수요가 확대되고 금리가 떨어질 경우 장기 채권을 중심으로 큰 폭의 가격 상승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이렇게 될 경우 안전자산으로 채권의 매력도 그만큼 떨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박 센터장도 "채권으로 돈이 몰리면서 장기 채권 금리가 단기 채권 금리보다 낮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면서 "가격은 오르는데 금리는 내려가는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채권 시장도 붕괴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 급등…달러 비중 늘려야
외환시장은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시장 이탈로 원화 약세가 예상된다. 현재 1200원선에서 머물고 있는 원·달러 환율은 디플레이션이 확인되면 1300원을 넘어 1400원까지 급등할 수 있다.
서정훈 KEB하나은행 연구위원은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원화의 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다"면서 "달러 강세로 수출 산업은 단기간에는 이득을 볼 수도 있겠지만 국내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약해진 만큼 이득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주식 비중을 낮추고 선진국 국채와 달러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환율이 예상을 넘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환율을 미리 고정해 수익률을 정하는 '환헤지' 상품보다 환율 변동을 그대로 반영하는 '환노출' 상품이 유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 센터장은 "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달러 자산과 해외 자산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면서 "환노출 펀드 등이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유리한 상품"이라고 언급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디플레이션은 경제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기업 실적 부진, 가계 소비 감소, 경제 성장률 하락 등으로 이어지는 경기 침체를 말한다.
정부는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는 입장이지만 "내년까지 저물가 흐름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디플레이션 가정하에 국내 주식, 채권, 외환 시장에서 벌어지게 될 일들과 투자자 입장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주식시장, 코스피 1800선 붕괴…"사실상 발 빼야"
디플레이션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곳은 단연 국내 주식시장이다. 국내 경기를 우려한 외국인 투자자들이 떠나면서 현재 2100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코스피지수는 1년내 1900선 이하로 급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1800선까지 무너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주식시장이 붕괴될 경우 정부는 기준금리 인하 등 적극적인 통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시중에 자금을 풀어 경기를 끌어 올리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될 경우 실물경기는 악화된 상황에서 유동성으로만 증시가 오르는 불안정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조재성 신한은행 투자자산전략부장은 "주식시장은 소비 정체와 기업의 투자 위축 등으로 자금이 돌지 않는 부동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변동성이 확대되고 시장 가치에 왜곡이 생기면서 해외 자금이 빠져나가는 악순환이 연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이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난달 7일부터 21일간 5조원 넘는 주식을 팔아치운 것을 디플레이션 전조 현상으로 해석하는 이유다.
반면 안전자산(달러, 선진국 국채, 금)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박희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디플레이션이 올 경우 사실상 주식시장에서 발을 빼는 게 좋다"면서 "달러나 안전자산인 미 증시의 배당 종목에 투자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채권시장, 안전자산 선호에 금리 떨어지고…장기채 가격은 급등
채권시장은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때아닌 호황을 누릴 수 있다. 다만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장기적으로는 수요 확대에 따른 가격 상승과 금리 인하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수요가 몰리면서 채권 가격은 오르는데 반대로 금리는 떨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수석연구원은 "디플레이션으로 채권 수요가 확대되고 금리가 떨어질 경우 장기 채권을 중심으로 큰 폭의 가격 상승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이렇게 될 경우 안전자산으로 채권의 매력도 그만큼 떨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박 센터장도 "채권으로 돈이 몰리면서 장기 채권 금리가 단기 채권 금리보다 낮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면서 "가격은 오르는데 금리는 내려가는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채권 시장도 붕괴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 급등…달러 비중 늘려야
외환시장은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시장 이탈로 원화 약세가 예상된다. 현재 1200원선에서 머물고 있는 원·달러 환율은 디플레이션이 확인되면 1300원을 넘어 1400원까지 급등할 수 있다.
서정훈 KEB하나은행 연구위원은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원화의 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질 수 있다"면서 "달러 강세로 수출 산업은 단기간에는 이득을 볼 수도 있겠지만 국내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약해진 만큼 이득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주식 비중을 낮추고 선진국 국채와 달러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환율이 예상을 넘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환율을 미리 고정해 수익률을 정하는 '환헤지' 상품보다 환율 변동을 그대로 반영하는 '환노출' 상품이 유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 센터장은 "원·달러 환율 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달러 자산과 해외 자산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면서 "환노출 펀드 등이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유리한 상품"이라고 언급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