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제주박물관, '제주 유배인 이야기' 특별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한도' 가상현실 체험 '백미'…이달 26일부터 내년 3월 1일까지
국립제주박물관이 제주 유배 문화를 소개하는 특별전 '낯선 곳으로의 여정, 제주 유배인 이야기'를 오는 26일부터 연다.
이번 전시는 국립제주박물관이 '섬 문화'라는 브랜드를 활성화하고, 섬이 가진 다양한 역사문화 콘텐츠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배(流配)란 중죄를 지은 사람을 먼 곳으로 보내 다시 돌아오지 못하게 하는 형벌로 예로부터 귀양, 귀향 등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사형 바로 전 단계의 중한 형벌로 당쟁으로 얼룩진 시대엔 반대파를 탄압하고 고립해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였다.
제주는 조선 시대에 가장 많이 유배인들이 왔던 제1의 유배지였다.
제주로 유배 온 이들의 신분은 왕 뿐만 아니라 사대부 양반을 비롯해 중인, 평민 등 계층은 물론 남녀노소의 구분도 없었다.
유배 이유도 정치적 다툼에서 도둑질까지 다양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유배인들의 삶, 사랑, 학문 그리고 제주 사람들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전시다.
전시는 크게 3부로 구성돼 제주라는 낯선 땅에서 느끼고 살아가야 했던 유배인들의 모습을 살펴보도록 했다.
1부 '먼 길 낯선 여정, 제주 유배를 들여다보다'는 유배의 역사와 다양한 이유로 제주에 유배 온 인물들을 조명한다.
조선 제15대 임금이었지만 한순간 유배인의 신분으로 추락한 광해군의 '광해군일기(국보 제151-4호)'를 비롯해 사대부였던 김정의 '충암집', 송시열 초상화와 글씨, 의병장 '최익현 초상(보물 제1510호)', 조선 말기 정치가였던 박영효의 글씨, 제주의 마지막 유배인 이승훈의 재판기록 등이 소개된다.
그리고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일반인들의 유배기록이 있는 대정현 호적자료도 전시돼 우리가 알고 있던 것 보다 상당히 많은 유배인들이 왔었음을 살펴볼 수 있다.
2부 '낯선 땅 가혹하고도 간절했던 시간을 기다리다'에서는 정치적인 이유로 3대가 제주에 유배 온 가문, 외롭고 처참했던 유배 생활에서 찾아온 사랑, 자신을 돌아보고 학문에 정진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조명된다.
특히 숙종 대 인현왕후와 희빈 장씨의 권력다툼에 연루된 김춘택 일가와 정조 시해 사건에 연루된 조정철 일가의 초상화와 문집, 조정철이 제주 여인 홍윤애를 위해 써준 '홍의녀의 묘' 탁본이 전시된다.
또 제주의 대표 유배인으로 제주 유배 시 추사체를 이룩한 김정희의 '수선화 시 초고', 충남 예산 김정희 종가에서 전해지는 벼루와 붓을 비롯해 김정희가 친구 권돈인에게 써준 '묵소거사자찬(보물 제1685-1호)', 김정희 제자 허련이 그린 '완당선생해천일립상' 등이 전시된다.
이중 제주에서 쓴 것은 아니지만 김정희 추사체의 일면을 담은 해서체의 경지인 '묵소거사자찬'도 눈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외에도 김정희의 벗이었던 초의선사의 초상화, 임금을 그리며 쓴 사모곡, 제주 목사와 주고받았던 편지들도 전시돼 유배인들의 인간적인 면모도 느낄 수 있다.
3부 '제주 유배, 그 후'에서는 유배인이 제주에 남긴 흔적과 제주 사람들과의 관계를 소개한다.
유학의 불모지였던 제주에 불어온 유학이 바람과 '오현', 유배인에게 수학하여 과거시험에 합격한 제자들의 자료, 제주에 정착하여 가문을 일으킨 입도조 자료 등이 전시된다.
제주의 오현인 김정·정온·송상인·김상헌·송시열의 시문집과 오현의 사적을 기록한 '오선생사적', 일제강점기 때 탁본된 '우암송선생유허비 탁본'을 통해 제주에 뿌리내린 오현에 대한 면모도 살펴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유배인의 심정을 느낄 수 있는 영상과 '세한도'를 가상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세한도 VR(가상현실) 코너가 마련됐다.
이 코너는 제주라는 고립된 섬에서 세한도를 그렸을 김정희의 쓸쓸하고 외로운 마음을 체험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영상으로 나인블록스와 경기콘텐츠진흥원이 공동으로 제작했다.
전시 기간 중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도 진행된다.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비롯해 대상별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제주박물관 누리집(jeju.museu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에 쉽고 재미있게 전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주요 유물 소개 리플릿, 체험 활동지 및 전시 연계 온라인 이벤트 등이 준비됐다.
전시는 국립제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무료로 진행되며, 2020년 3월 1일까지 관람할 수 있다.
/연합뉴스
국립제주박물관이 제주 유배 문화를 소개하는 특별전 '낯선 곳으로의 여정, 제주 유배인 이야기'를 오는 26일부터 연다.
이번 전시는 국립제주박물관이 '섬 문화'라는 브랜드를 활성화하고, 섬이 가진 다양한 역사문화 콘텐츠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배(流配)란 중죄를 지은 사람을 먼 곳으로 보내 다시 돌아오지 못하게 하는 형벌로 예로부터 귀양, 귀향 등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사형 바로 전 단계의 중한 형벌로 당쟁으로 얼룩진 시대엔 반대파를 탄압하고 고립해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였다.
제주는 조선 시대에 가장 많이 유배인들이 왔던 제1의 유배지였다.
제주로 유배 온 이들의 신분은 왕 뿐만 아니라 사대부 양반을 비롯해 중인, 평민 등 계층은 물론 남녀노소의 구분도 없었다.
유배 이유도 정치적 다툼에서 도둑질까지 다양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유배인들의 삶, 사랑, 학문 그리고 제주 사람들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전시다.
전시는 크게 3부로 구성돼 제주라는 낯선 땅에서 느끼고 살아가야 했던 유배인들의 모습을 살펴보도록 했다.
1부 '먼 길 낯선 여정, 제주 유배를 들여다보다'는 유배의 역사와 다양한 이유로 제주에 유배 온 인물들을 조명한다.
조선 제15대 임금이었지만 한순간 유배인의 신분으로 추락한 광해군의 '광해군일기(국보 제151-4호)'를 비롯해 사대부였던 김정의 '충암집', 송시열 초상화와 글씨, 의병장 '최익현 초상(보물 제1510호)', 조선 말기 정치가였던 박영효의 글씨, 제주의 마지막 유배인 이승훈의 재판기록 등이 소개된다.
그리고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일반인들의 유배기록이 있는 대정현 호적자료도 전시돼 우리가 알고 있던 것 보다 상당히 많은 유배인들이 왔었음을 살펴볼 수 있다.
2부 '낯선 땅 가혹하고도 간절했던 시간을 기다리다'에서는 정치적인 이유로 3대가 제주에 유배 온 가문, 외롭고 처참했던 유배 생활에서 찾아온 사랑, 자신을 돌아보고 학문에 정진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가 조명된다.
특히 숙종 대 인현왕후와 희빈 장씨의 권력다툼에 연루된 김춘택 일가와 정조 시해 사건에 연루된 조정철 일가의 초상화와 문집, 조정철이 제주 여인 홍윤애를 위해 써준 '홍의녀의 묘' 탁본이 전시된다.
또 제주의 대표 유배인으로 제주 유배 시 추사체를 이룩한 김정희의 '수선화 시 초고', 충남 예산 김정희 종가에서 전해지는 벼루와 붓을 비롯해 김정희가 친구 권돈인에게 써준 '묵소거사자찬(보물 제1685-1호)', 김정희 제자 허련이 그린 '완당선생해천일립상' 등이 전시된다.
이중 제주에서 쓴 것은 아니지만 김정희 추사체의 일면을 담은 해서체의 경지인 '묵소거사자찬'도 눈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외에도 김정희의 벗이었던 초의선사의 초상화, 임금을 그리며 쓴 사모곡, 제주 목사와 주고받았던 편지들도 전시돼 유배인들의 인간적인 면모도 느낄 수 있다.
3부 '제주 유배, 그 후'에서는 유배인이 제주에 남긴 흔적과 제주 사람들과의 관계를 소개한다.
유학의 불모지였던 제주에 불어온 유학이 바람과 '오현', 유배인에게 수학하여 과거시험에 합격한 제자들의 자료, 제주에 정착하여 가문을 일으킨 입도조 자료 등이 전시된다.
제주의 오현인 김정·정온·송상인·김상헌·송시열의 시문집과 오현의 사적을 기록한 '오선생사적', 일제강점기 때 탁본된 '우암송선생유허비 탁본'을 통해 제주에 뿌리내린 오현에 대한 면모도 살펴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유배인의 심정을 느낄 수 있는 영상과 '세한도'를 가상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세한도 VR(가상현실) 코너가 마련됐다.
이 코너는 제주라는 고립된 섬에서 세한도를 그렸을 김정희의 쓸쓸하고 외로운 마음을 체험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영상으로 나인블록스와 경기콘텐츠진흥원이 공동으로 제작했다.
전시 기간 중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도 진행된다.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비롯해 대상별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제주박물관 누리집(jeju.museu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에 쉽고 재미있게 전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주요 유물 소개 리플릿, 체험 활동지 및 전시 연계 온라인 이벤트 등이 준비됐다.
전시는 국립제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무료로 진행되며, 2020년 3월 1일까지 관람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