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은행 팔 비틀기"…금융위,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로운 금융서비스 개척, 해외진출 적극 지원
업계 관계자 "은행 기존 추진 사업, 정부가 새로운 대안처럼 제시"
업계 관계자 "은행 기존 추진 사업, 정부가 새로운 대안처럼 제시"
국내 시중은행들의 일자리 창출 실태를 조사한 정부의 '금융권 일자리 창출 효과 측정 결과'가 17일 공개됐다. 금융위원회가 '일자리 중심 경제'를 달성하겠다며 조사 계획을 발표한 지 5개월 만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에 대한 금융업계의 분위기는 긍정적이지 않다. 대부분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보이지 않다"라며 "은행들이 수 년째 추진 중인 사업을 정부가 새로운 대안인 것처럼 제시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금융위가 이날 발표한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금융·보험업 국내 취업자 수는 80만9000명으로 전년 동기(84만명) 3만명 이상 줄었다. 역대 최대 수준이었던 2013년과 비교해 7만명가량 줄어든 규모다.
은행권 취업자 수의 감소 폭이 컸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면서 은행 취업자 수는 2015년 13만8000명에서 지난해 12만4000명으로 1만4000명 가량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시중은행 점포 수도 7445개(2015년)에서 지난해 6953개로 500개 가까이 사라졌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의 직접 고용 인원은 10만1000명으로 콜센터, 앱 개발(IT 외주), 대출 모집 등 연관 산업을 통한 간접 고용 인원도 3만1000명으로 추산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산출된 '대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의 경우 지난해 206조1000억원의 신규 기업 대출을 통해 약 1만3000명의 추가 고용을 유발한 것으로 계산됐다. 한국은행의 업종별 고용유발계수(10억원으로 직·간접적 창출하는 고용자 수)를 세분화해 조사한 숫자다.
금융위는 금융업계의 일자리 상황에 대해 "비대면 거래 증가로 전통적인 판매 채널 인력 수요가 감소하고 있지만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화 등에 따라 금융회사 인력 수요의 구성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전체 인력의 70%를 차지하는 영업, 경영 지원 등의 인력은 빠르게 줄어든 반면 비대면 거래에 필요한 IT 부문 인력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위는 대응 방안으로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개척하고 금융회사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은퇴인력을 활용해 금융업 일자리 여건을 개선하는 등 금융업 종사자의 재취업 지원방안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업계는 이에 대해 대부분 '결국 은행 팔 비틀어 일자리 늘리겠다는 것 아니냐'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어디에서도 금융위가 무엇을 하겠다는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라면서 "결국 은행 팔 비틀어 일자리 늘린 뒤 마치 자신들의 정책이 성공한 것처럼 홍보하겠다는 것 아니냐"라고 꼬집었다.
대응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비판의 목소리도 있었다. 4대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회사가 해외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지화가 필수인데, 외국 정부는 본국 주재원들이 파견되는 걸 극도로 경계한다"면서 "결국 현지 인력을 늘리고 관력 인력을 수 백명 뽑는 게 전부인데, 이게 정부 차원의 일자리 창출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부 차원의 대응보다 금융회사가 마음껏 영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게 먼저라는 주장도 나왔다. 한 증권사 임원은 "정부가 고용 참사 정책의 실패를 전가하기 위해 모든 책임을 금융업계로 떠넘기고 있다"면서 "정부가 이런 식으로 나서는 건 후진국형 관치와 다를 게 없다. 보이지 않는 비효율이 쌓이지 않게 규제를 완화해줄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그러나 조사 결과에 대한 금융업계의 분위기는 긍정적이지 않다. 대부분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보이지 않다"라며 "은행들이 수 년째 추진 중인 사업을 정부가 새로운 대안인 것처럼 제시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금융위가 이날 발표한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금융·보험업 국내 취업자 수는 80만9000명으로 전년 동기(84만명) 3만명 이상 줄었다. 역대 최대 수준이었던 2013년과 비교해 7만명가량 줄어든 규모다.
은행권 취업자 수의 감소 폭이 컸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면서 은행 취업자 수는 2015년 13만8000명에서 지난해 12만4000명으로 1만4000명 가량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시중은행 점포 수도 7445개(2015년)에서 지난해 6953개로 500개 가까이 사라졌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의 직접 고용 인원은 10만1000명으로 콜센터, 앱 개발(IT 외주), 대출 모집 등 연관 산업을 통한 간접 고용 인원도 3만1000명으로 추산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산출된 '대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의 경우 지난해 206조1000억원의 신규 기업 대출을 통해 약 1만3000명의 추가 고용을 유발한 것으로 계산됐다. 한국은행의 업종별 고용유발계수(10억원으로 직·간접적 창출하는 고용자 수)를 세분화해 조사한 숫자다.
금융위는 금융업계의 일자리 상황에 대해 "비대면 거래 증가로 전통적인 판매 채널 인력 수요가 감소하고 있지만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화 등에 따라 금융회사 인력 수요의 구성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전체 인력의 70%를 차지하는 영업, 경영 지원 등의 인력은 빠르게 줄어든 반면 비대면 거래에 필요한 IT 부문 인력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위는 대응 방안으로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개척하고 금융회사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은퇴인력을 활용해 금융업 일자리 여건을 개선하는 등 금융업 종사자의 재취업 지원방안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업계는 이에 대해 대부분 '결국 은행 팔 비틀어 일자리 늘리겠다는 것 아니냐'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어디에서도 금융위가 무엇을 하겠다는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라면서 "결국 은행 팔 비틀어 일자리 늘린 뒤 마치 자신들의 정책이 성공한 것처럼 홍보하겠다는 것 아니냐"라고 꼬집었다.
대응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비판의 목소리도 있었다. 4대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회사가 해외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지화가 필수인데, 외국 정부는 본국 주재원들이 파견되는 걸 극도로 경계한다"면서 "결국 현지 인력을 늘리고 관력 인력을 수 백명 뽑는 게 전부인데, 이게 정부 차원의 일자리 창출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부 차원의 대응보다 금융회사가 마음껏 영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게 먼저라는 주장도 나왔다. 한 증권사 임원은 "정부가 고용 참사 정책의 실패를 전가하기 위해 모든 책임을 금융업계로 떠넘기고 있다"면서 "정부가 이런 식으로 나서는 건 후진국형 관치와 다를 게 없다. 보이지 않는 비효율이 쌓이지 않게 규제를 완화해줄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